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598-1142(Print)
ISSN : 2383-9066(Onlin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25 No.1 pp.7-21
DOI : https://doi.org/10.7738/JAH.2016.25.1.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ite Planning of Hadrian’s Villa

Seok-Man Kim*
Corresponding Author : kimseokman@kumoh.ac.kr
August 4, 2015 December 28, 2015 January 8, 201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ite planning of Hadrian’s villa. The whole site planning of Hadrian’s villa can be divided by different characteristic four groups(Ⅰ-Ⅳ). It is analysed to the whole site plan of such huge complex and the site planning of partial each group which is organically connected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adrian’s villa was arranged in adapt to natural condition according to a gentle inclination by topography and terrain of the whole site which many different buildings are oriented towards natural landscape of the site and the site surroundings. 2. The site planning of Hadrian’s villa is composed of dividing into four groups as plan segmentalized through various land use plan, considering for territory of functional aspect and direction of axis formed by situation and direction of topography and terrain. 3. The concept of site planning to buildings of Hadrian’s villa is composed through each other connection; the first, meeting, crossing and merging with each other from arrangement by several axises, the second, change of direction with as the center a part of corner of buildings and the third, facing or inserting system to side and side, side and a part of corner of building.


하드리안 별장에서의 배치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 석 만*
(금오공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초록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1.서론

    1-1.연구배경 및 목적

    로마 시대의 주거 건축은 개인 주거인 도무스(Domus)와 서민용 주거인 다층 구조의 아파트 개념의 인슐라 (Insula) 및 교외의 주거양식인 별장으로 구분되어진다. 일반적으로 별장건축은 계절적으로 여름철과 겨울철의 개인적인 여가 및 휴식, 혹은 제 2의 거주공간의 목적 으로 이용되어지고 있으며, 별장의 많은 부분들이 건축 주의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특징 있게 계획되어진다.

    하드리안 별장은 로마 시대에 황제들의 모든 별장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종합적인 휴양시설이었으며, 궁전, 목욕탕, 도서관, 극장, 신전, 전망대, 테라스, 정원과 수공 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실제로 위와 같은 별장은 오 히려 별장건축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조그만 도시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대규모의 종합적인 시설로서 계획되었다.

    하드리안 별장은 하드리안 황제(76∼138년, 재위기간 117∼138년)에 의해 전체적으로 계획되어졌으며, 그는 별 장의 전반적인 계획뿐만 아니라, 공사감독까지 자신이 직 접 간여할 정도로 별장 건축의 매우 열성적이었다. 이러 한 별장은 118년에 로마 근교 티볼리(Tivoli)에 대규모의 별장을 위한 건설을 시작하여 134년에 완공되었다. 전체 적인 부지의 규모는 약 300만㎡ 정도이지만 아직도 많은 부분이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현재는 약 120만㎡ 정도의 약 30개 건축물들이 발굴이 이루어졌다.1) 하드리 안 별장의 배치계획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필지에 하나 혹은 두세 개의 건축물의 배치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단위적인 건축물들이 배치되어 각각의 그룹의 부분적인 배치계획 이후에, 이러한 네 개의 그룹이 통합되어 거대 한 복합체의 전체적인 배치계획에 의해 구성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하드리안 별장에서의 배치 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별장의 위치와 부지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배치계획과 부분적인 배치계획으로 구분하여 어떠한 관계로부터 계획되었으며, 그리고 어떠 한 배치계획의 특성이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함이다.

    1-2.연구범위 및 방법

    하드리안 별장은 절대적인 권력과 문화적으로 넓은 시 야를 소유하고 있었던 하드리안 황제의 역할과 함께, 그 의 여행 중에 찬미하였던 이집트와 그리스의 기념비적인 장소 및 구조물과 건축물뿐만 아니라, 전통적으로 계승 된 로마의 건축적인 유산의 구성체계와 요소들을 혼합하 여 계획되었기 때문에, 로마 시대의 건축적인 최고의 절 정을 나타내고 있다. 위와 같은 별장은 르네상스와 바로 크 시대의 건축가들에 의해 하드리안 별장의 발굴과 도 면작업을 통한 고전적인 건축의 재발견이라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그 이후에 19세기와 20세기 건축가들 의 작품을 위해 많은 영향을 주게 되었다.2)

    연구범위는 하드리안 별장의 건축물에 대한 평면계획, 입면계획, 단면계획, 구조계획과 재료계획 및 조각, 모자 이크, 벽화와 같은 장식보다는 배치계획을 중심으로 분 석한다. 그리고 하드리안 별장에서의 배치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는 이미 발굴된 부분을 중심으로 한 배치계획 에 대해 분석한다. 전체적인 배치계획은 부분적인 서로 다른 특징 있는 네 개의 그룹(Ⅰ-Ⅳ)으로 구분할 수 있 는데, 그러한 거대한 규모의 전체적인 배치계획과 유기 적으로 기능과 동선 및 접근성 등이 서로 연계된 부분적 인 각각의 그룹들의 배치계획에 대해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첫 번째는 하드리안 황제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한다. 두 번째는 하드리안 별장이 위치하고 있는 티볼리를 중심으로 로마와의 관계 및 입지선정에 대해 고찰한다. 세 번째는 하드리안 별장의 부지특성에 대한 분석을 한다. 네 번째는 실제적인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하드리안 별장의 배치계획에 대한 분석을 전체 적인 배치계획과 각각의 그룹별로 구분된 부분적인 배치 계획을 분석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연구와 분석된 내용을 중심으로 결론을 도출한다.

    한편, 하드리안 별장에서의 배치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 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자료는 하드리안 별장 부지의 방 위, 스케일, 지형, 등고선, 건축물과 건축물 레벨이 포함 된 별장 및 별장 주변이 포함된 배치도인데, 그러한 배치 도의 도면들은 참고문헌들의 도면자료를 참조하였다.3)

    1-3.사전연구

    본 연구에서의 사전연구는 하드리안 별장의 건축물에 대한 조각, 모자이크, 벽화와 같은 장식을 제외한 그 이 외의 부분을 중심으로 연구된 자료들을 선정하였다. 그 리고 최근의 발행된 하드리안 별장과 관련된 국내저널 및 국외논문 및 국외저널을 중심으로 한정하면서, 위와 같은 자료를 각각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1)국내저널

    곽기표, 「빌라 아드리아나의 건축적 특성과 영 향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7 권, 제3호(통권269호), 2011년 3월, 51∼60쪽

    : 하드리안 별장의 건설 및 특성과 함께,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부터 18세기까지의 건축가들에 의해 하드 리안 별장의 발굴과 도면작업을 통한 고전적인 건축의 재발견에 대한 소개와 그 이후에 19세기와 20세기 건 축가들의 작품을 위해 많은 영향을 받은 하드리안 별 장의 건축물을 비교하면서 분석된 논문이다.

    (2)국외논문

    Ytterberg, M. R, The perambulations of Hadrian: A walk through Hadrian’s Villa, Doctoral Thesis of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5

    : 하드리안 별장의 주변 환경과 함께, 건축물을 중심으 로 한 내부공간과 자연적이고 인공적인 녹지와 수공간 과 같은 자연요소의 도입에 의한 외부공간에 대해 전 반적인 사항을 고찰한 연구논문이다.

    Bletsou, O, Hadrian’s other world, A study of the structures in the High Ground of Villa Adriana, Master Thesis of Lund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ncient History, June 2013

    : 하드리안 별장의 남동쪽 방향에 위치한 아직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다리꼴 형태의 지하 구조물과 주변 의 작은 규모의 폐허들의 대한 발굴조사와 실측된 자 료에 관한 연구논문이다.

    (3)국외저널

    • 곽기표, 빌라 아드리아나의 건축적 특성과 영 향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7 권, 제3호(통권269호), 2011년 3월, 51∼60쪽

      : 하드리안 별장의 건설 및 특성과 함께,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부터 18세기까지의 건축가들에 의해 하드 리안 별장의 발굴과 도면작업을 통한 고전적인 건축의 재발견에 대한 소개와 그 이후에 19세기와 20세기 건 축가들의 작품을 위해 많은 영향을 받은 하드리안 별 장의 건축물을 비교하면서 분석된 논문이다.

    (2)국외논문

    • Ytterberg, M. R, The perambulations of Hadrian: A walk through Hadrian’s Villa, Doctoral Thesis of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5

      : 하드리안 별장의 주변 환경과 함께, 건축물을 중심으 로 한 내부공간과 자연적이고 인공적인 녹지와 수공간 과 같은 자연요소의 도입에 의한 외부공간에 대해 전 반적인 사항을 고찰한 연구논문이다.

    • Bletsou, O, Hadrian’s other world, A study of the structures in the High Ground of Villa Adriana, Master Thesis of Lund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ncient History, June 2013

      : 하드리안 별장의 남동쪽 방향에 위치한 아직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다리꼴 형태의 지하 구조물과 주변 의 작은 규모의 폐허들의 대한 발굴조사와 실측된 자 료에 관한 연구논문이다.

    (3)국외저널

    • Pinto, J, Piranesi at Hadrian’s Villa, Studies in the History of Art, Vol.43, 1989, pp.465∼478

      : 하드리안 별장에 대한 피라네시(Giovanni Battista Piranesi, 1720∼1778)의 고고학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동 판화 작업으로 이루어진 폐허로 이루어진 건축물들의 세 밀한 경관화와 평면도 및 배치도에 관한 연구논문이다.

    • Pinto, J, Pastoral Landscape and Antiquity: Hadrian’s Villa, Studies in the History of Art, Vol.36, 1989, pp.179∼195

      : 하드리안 별장에 대한 주변 자연경관과 환경 및 별장 내부의 녹지와 수공간을 중심으로 한 자연경관과 환경계 획에 관한 연구논문이다.

    • Gordan-Rastelli, L, Traces of Egypt at Hadrian’s Villa: A New Exhibition at Tivoli in Italy, Kmt-San Francisco, Vol.17, No.3, 2006, pp.47∼59

      : 하드리안 황제가 이집트를 여행 중에 방문하였던 알렉 산드리아로부터 동쪽 방향으로 가까이 위치한 카노푸스로 가는 길에 세라피스 신에게 봉헌되었던 신전과 함께, 정 원과 운하로 연결되어 있었던 것을 자신의 별장에 카노푸 스와 세라피데를 재현시킨 계획에 대한 연구논문이다.

    • Mari, Z. - Sgalambro, S, The Antinoeion of Hadrian’s Villa: Interpretation and Architectural Reconstruction,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Vol.111, No.1, 2007, pp.83∼104

      : 하드리안 별장에 대한 고고학적인 관점에서 건축물들에 대한 해석과 건축적인 재구성에 대해 연구된 논문이다.

    • Radcliffe, F, A Visit to Hadrian’s Villa at Tivoli, Roman Archaeology Group Inc, V.4, Issue 4, December 2009, pp.2∼4

      : 하드리안 황제의 소개와 여행일정, 별장에 대한 규모와 건축역사, 주요 건축물들인 해상극장, 카노푸스와 세라피 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논문이다.

    • Ytterberg, M, The Hidden Order of Hadrian’s Villa, and the Order of Modern Architecture, Nexus Network Journal, Vol.15, No.1, 2013, pp.127∼154

      : 하드리안 별장에 대한 주요한 건축물에 대한 기둥들의 주두양식과 현대건축에서의 주두양식에 대해 서로 비교 하면서 분석된 연구논문이다.

    • Balmer, J, Digital Hadrian’s Villa Project, by Bernard Frischer and John Fillwalk,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tectural Historians, Vol.73, No.3, 2014, pp.444∼446

      :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하드리안 별장에 대한 모습을 원형으로 복원한 이후에, 현재의 건축물들의 모습과 과거 의 실제적인 모습을 서로 비교하면서 분석된 논문이다.

    • Canciani, M. et al., A New GIS-Based Map of Villa Adriana, A Multimedia Guide for Ancients Paths,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 XL-5, 2014, pp.129∼136

      : 하드리안 별장을 지리 정보 시스템(GIS)에 의해 지 리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건축물이 배치된 부분에 대한 해변으로부터의 높이에 관한 지형과 시거수준측 량법(視距水準測量法, stadia leveling method)에 의해 측량된 배치도와 관련된 분야의 연구논문이다.

    위와 같이, 하드리안 별장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관 련된 논문들의 사전연구를 고찰하였는데, 대체로 하드 리안 별장에 대한 건축적인 특성은 이미 연구되어 있 지만, 배치계획에 관련된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2.하드리안 황제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

    하드리안 황제는 로마제국 시대의 제 14대 황제로서 원래의 이름은 프브리우스 아에리우스 트라이아누스 하드리아누스(Publius Aelius Traianus Hadrianus)이었 다. 하드리안 황제는 정치적이고 군사적인 목적으로 세 차례에 걸쳐 로마제국 전역을 시찰하여 제국 영토의 방위나 각지에서 일어나는 반란에 대해 대처하였으 며,4) 통치를 위한 기구정비를 통해 제국 내부를 튼튼 하게 만드는 데 노력하여 제국을 재구축한 황제이었다.

    하드리안 황제는 로마제국 역사상 위대한 황제 중의 한 사람으로 인정될 만큼 위대한 정치가이자 군인이었 으며, 건축과 문학 및 예술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도 탁월한 지식을 소유하고 있었다. 하드리안 황제에 의 한 건축과 관련된 사업은 로마에는 121년에 로마신화 에서의 비너스와 로마의 신을 위한 거대한 신전인 비 너스와 로마 신전을 로만 포룸(Roman Forum)의 동쪽 끝부분에 계획하였다. 그리고 판테온 신전을 118년과 128년 사이에 재건에 착수하여 그의 재위 중에 완전히 재건되었고, 천사의 성 전면에 성 천사의 다리가 계획 되어 134년에 완성되었으며,5) 로마 이외에도 로마제국 의 영토에 신전과 개선문 등의 많은 건축물을 계획하 였다.6)

    하드리안 황제의 건축사업 가운데 가장 중요한 사업 은 그의 별장계획인데, 그러한 계획은 자신이 황제가 된 이후에 118년부터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자신의 황 비이었던 비비아 사비나(Vibia Sabina)가 이미 상속을 받았던 로마 공화국 시대인 BC 2세기 말경에 건축된 작은 별장의 보수를 통해, 자신의 거처로 사용할 궁전 과 식당 및 손님들의 숙소를 위한 계획으로부터 시작 되었다.7) 따라서 하드리안 별장에 초기의 계획은 이전 의 별장에 부가하는 개념으로부터 시작되었지만, 황제 를 위한 궁전의 건설이 시작되었을 때에는 이미 전체 적인 부지가 구획되어 일체화된 종합적인 배치계획이 이루어졌다.

    하드리안 별장의 계획은 대체로 두 가지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단계는 그의 이집트와 그리 스 및 소아시아의 여행으로부터 로마로 돌아오는 시기 와 서로 일치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하드리안 황제 가 첫 번째의 여행을 위해 121년에 출발하여 돌아올 때인 125년까지 진행되었다. 당시에 별장의 중앙부분의 지역이 대부분 완성되었기 때문에, 그는 자신의 별장에 125년 여름부터 거주하기 시작하여 128년에 세 번째의 그리스 여행을 떠날 때까지 여름철을 중심으로 별장에 머무를 수 있게 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125년부터 134 년까지 이루어졌는데, 하드리안 황제는 별장에 머무르 면서 별장계획에 대한 부분적인 수정과 함께, 첫 번째 단계이후에 나머지 부분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에 의해 완성되었다.8) 한편, 그는 건축에 매우 관심이 많았고, 본인 스스로 능력이 있는 건축가로서 인식하여 별장의 계획단계부터 시작하여 배치계획뿐만 아니라, 건축물계 획과 상세계획 및 공사감독까지 자신이 직접 간여할 정도로 별장 건축의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리 고 그는 고대 이집트의 웅장한 건축에서부터 섬세하고 우아한 그리스 건축에 이르기까지 자신이 보고 느낀 것들 중에서 가장 아름답고 인상 깊은 건축물들로부터 구체적인 주제와 영감을 받았던 부분들을 하드리아누 스 별장에 그대로 모방하여 재현하였다.

    3.하드리안 별장의 위치에 대한 고찰

    하드리안 별장이 위치하고 있는 티볼리는 역사적으 로 BC 4세기경에 로마제국의 영토로서 흡수된 오래된 도시이며, 고대 로마 시대에는 티부르(Tibur)라고 불리 었던 도시이었다. 이 도시는 로마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티볼리를 중심으로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온 화한 기후조건에 의해 주변 환경이 쾌적하였기 때문에, 로마 시대의 공화정 말기부터는 황제와 귀족들의 여름 철 별장지역으로 많이 이용되었다.9) 현재 티볼리는 이 태리의 로마 주(Province of Rome), 라티움 현(Region of Latium)에 위치한 자치도시로서 이루어져 있다.

    티볼리는 로마로부터 동쪽방향으로 약 28㎞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고, 로마의 북쪽으로부터 남서쪽 방향으 로 로마를 가로지르면서 흐르고 있는 테베레(Tevere) 강 의 지류인 아니에네(Aniene) 강의 하류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의 구릉 지역에서는 로마 방향의 넓은 평원 을 내려다 볼 수 있다. <Fig.1>에서와 같이, 로마에서 티볼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현재 5번 국도로 사용되고 있는 티부르티나 가도(Via Tiburtina)와 테베레 강으로 부터 아니에네 강을 통해 배를 이용하여 도달할 수 있 었다. 그리고 하드리안 별장은 로마로부터 티볼리에 도 달하기 이전에 티부르티나 가도의 우측방향으로 진입하 여 약 1㎞ 정도의 거리로부터 접근할 수 있다. 그러한 별장은 티볼리에서 남서쪽 방향으로 약 6㎞ 정도 떨어 져 있으면서 티볼리에 리포리(Ripoli) 산의 경사면이 연 장된 부분인 구릉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10)

    위와 같은 지리적인 조건으로부터 하드리안 황제가 티볼리에 그의 별장의 위치를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 다. 첫 번째는 기존의 부지를 이용하는 측면에서, 자신의 황비이었던 비비아 사비나가 이미 상속을 받았던 작은 별장에 건축물을 부가하는 개념에서 보다 다양한 기능의 대규모 별장을 계획하면서 자연스럽게 선택되었다.11) 두 번째는 로마와의 근접성을 고려하는 측면에서, 로마로부 터 너무 멀지 않은 티볼리에 별장의 위치를 선택하였다. 그는 로마의 팔라티노(Palatino) 언덕에 있었던 자신의 궁전에 거처하는 것을 싫어하였기 때문에 제 2의 거처를 마련하기 위함이었는데, 실제로 그의 통치기간 후반에는 별장에 거처하면서 제국을 통치하였다. 이러한 황제의 별장계획은 본인의 거처를 스스로 로마로부터 너무 멀지 않은 위치에 두기 위함이기도 하였지만, 한편으로는 점 차적으로 커져 가는 자신의 절대적인 권력의 상징을 나 타내기 위함이었다.12) 세 번째는 구축재료에 대한 유용 성의 측면에서, 석회암, 응회암, 포졸라나와 석회 등과 같은 풍부한 구축재료들이 부지 주변의 많은 채석장들에 산재되어 있었으며, 또한 먼 지역에서의 구축재료들은 아니에네 강을 통해 배로 운반할 수 있는 양호한 조건에 있었다. 네 번째는 부지와 부지주변의 자연경관에 대한 아름다움의 측면에서 선택되었다. 마지막으로, 티볼리 지 역은 아니에네 강뿐만 아니라, 부지와 부지 주변에는 수 로가 형성되어 있었다. 특히 부지 외곽의 남서쪽에 리시 코리(Risicoli) 계곡과 북동쪽에 아쿠아 훼르라타(Acqua Ferrata) 계곡에는 두 개의 하천이 있어 비교적 물이 풍부한 곳이었기 때문에, 별장의 위치가 선택되었다.13)

    4.하드리안 별장의 부지특성에 대한 분석

    하드리안 별장의 부지특성은 부지의 경계와 방위, 형태, 지형 및 지세에 의한 고도와 경사도 분석, 지질, 수계, 녹지, 기후 등의 자연적인 요소와 부지 내부에서 부지의 외곽부분들을 지각할 수 있는 시각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하드리안 별장의 전체적인 부지는 <Fig.2>와 같이 티 부르티나 가도의 우측방향으로 진입한 이후에, 별장의 좌측인 북서쪽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도로를 중심으 로 비교적 낮은 경사지에 부지의 경계가 이루어져 있다. 부지의 상부부분인 부지 북동쪽의 경계는 부지 외부에 형성된 템페(Tempe) 계곡과 남동쪽에 깊고 긴 계곡에 의한 아쿠아 훼르라타 계곡, 그리고 부지의 하부부분인 부지 남쪽과 남서쪽의 경계는 경계선을 중심으로 부지 내부와 외부에는 급한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한 외부에 형성된 계곡들과 같은 자연 요소가 그대로 이용 된 경계요소로부터 형성되었다.14) 부지의 우측인 남동쪽 방향으로는 부지가 계속하여 연장되어 있지만, 부지의 폭은 점점 좁아지고, 부지 레벨은 점점 높아지는 형태로 서 되어 있는데, 그러한 지역은 아직도 발굴이 이루어지 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부지의 방위는 티부르티나 가도로부터 별장으로 진입하는 도로를 중심으로 북서쪽 에서 남동쪽 방향의 장축(Y1-Y2)과 동쪽에서 남서쪽의 방향의 단축(X1-X2)으로 형성되어 있다.15)

    전체적인 부지의 형태는 부지의 장축(Y1-Y2) 방향을 중심으로 거의 좌․우 대칭의 모습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북서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점점 높아지는 경 사지 형태로서 구성되었다. 부지의 단축(X1-X2)은 장축 에 비해 폭이 좁으면서 부지의 경계인 계곡들의 요소로 부터 북동쪽과 남서쪽 방향으로 점점 낮아지는 경사지 에 의한 자연스러운 등고선의 형태로서 구성되었다.

    전체적인 부지의 지형과 지세는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구릉 지역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부지에서 북 서쪽의 가장 낮은 지역은 해발 약 53m이며, 남동쪽의 가장 높은 지역은 해발 약 130m 정도에서 형성되어 있 다. 그리고 발굴된 부지의 중앙부분에 해당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장축인 세로축(Y1-Y2)은 북서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점점 높아지면서 낮은 부분인 현재 별장의 출 입구 부분의 해발 약 62m부터 높은 부분인 사다리꼴 형 태의 지하 구조물의 해발 약 115m까지 거의 평지와 가 까운 완만한 자연적인 경사로 되어 있다. 부지의 폭이 비교적 넓은 부분의 단축인 가로축(X1-X2)은 해상극장 (8)을 중심으로 북동쪽에서 남서쪽 방향에 형성된 부지 의 경계는 해발 약 75m에서 이루어져 있지만, 중앙부분 이 약간 높은 해발 약 94m 높이에 의해 부지경계의 방 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축방향과 같 이 거의 평지와 가까운 완만한 자연적인 경사로 되어 있다.16)<Fig.2, 3> 그리고 부지의 동쪽과 남쪽 및 남서 쪽에는 부지 경계의 방향으로 낮아지는 급한 경사지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부지의 전체적인 지형과 지세는 급 경사지와 같은 지형적인 장애요소, 절토와 성토 및 자연 경관의 훼손이 거의 없이 전반적으로 건축물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양호하게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부지의 지질은 대체로 시멘트 원료가 되고 있는 포졸 라나라고 하는 화산재에 의해 구성된 다공질의 응회암 과 석회암으로서 이루어져 있다.17) 한편, 응회암과 석회 암은 지내력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지의 지질은 대 체로 양호하게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계는 부지의 가까이에 유황성분의 수원지와 두 개 의 하천이 있었기 때문에 생활용수를 위해 물이 풍부한 지역이었고, 부지와 부지 주변에는 로마로 물을 공급하 기 위한 네 개의 수로가 구축되어 있었다. 특히, 부지 외곽의 남서쪽과 북동쪽 방향의 계곡에는 두 개의 하천 이 있어 물이 풍부한 곳이었기 때문에18), 부지 주변의 수원지와 수로로부터 생활용수를 공급이 가능하도록 양 호하게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녹지체계는 부지를 중심으로 주변의 산줄기에 의해 완만하게 경사진 구릉과 계곡에 의해 기존의 자연적인 녹지가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부지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온화한 기후조 건에 의해 주변 환경이 쾌적하기 때문에, 별장의 부지를 위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부지 내부에서 외곽부분을 지각할 수 있는 시각적인 분석은 부지의 경계를 중심으로 부지의 외곽부분보다 내부부분이 비교적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지 내 부에서 남동쪽 방향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방향에서 대 체로 시계가 넓게 확보되어 있었다. 그리고 건축물의 배치계획은 대지의 자연적인 형태를 그대로 이용하였 기 때문에, 조망권이 확보된 위치뿐만 아니라, 조망권 이 확보된 부분에서 부지 경계선까지의 경사도에 따라 부지 주변의 자연경관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멀리 내려 다 볼 수 있는 열려진 조망권이 비교적 양호하게 이루 어져 있었다.19)<Fig.3>

    5.하드리안 별장의 배치계획에 대한 분석

    5-1.하드리안 별장의 전체적인 배치계획에 대한 분석

    하드리안 별장의 전체적인 배치계획을 위한 부지의 범위는 북서쪽에서 남동쪽 방향의 장축(Y1-Y2)과 북동 쪽에서 남서쪽 방향의 단축(X1-X2)이 각각 약 2,000m와 1,000m 정도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Fig.2>,20) 위와 같은 영역의 둘레는 약 6,000m 정도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현재 발굴된 지역을 중심으 로 살펴보면, <Fig.3>의 전체적인 배치도와 같이 장축과 단축을 중심으로 각각 약 1.500m와 약 800m 정도의 가로 와 세로의 길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의 전체 적인 모습은 <Fig.4>의 발굴된 부분들에 대한 현황의 항 공사진과 <Fig.5>의 발굴된 부분들에 대해 원래의 모습 대로 복원된 모형에서와 같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배치계획은 부지의 지형과 지세의 특성에 의해 북서쪽에 별장의 진입을 중심으로 이전의 별장에 부가하는 개념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배치계획 의 과정은 장축(Y1-Y2)인 세로축의 북서쪽에서 남동 쪽 방향과 단축(X1-X2)인 가로축의 부지의 폭이 비교 적 넓은 부분을 중심으로 북동쪽에서 남서쪽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전체적인 배치계획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은 경사진 부지의 자연적인 형상에 의한 적절한 경사 를 그대로 순응하면서 부지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합 리적인 토지이용계획에 의해 다양한 기능들을 위한 배 치계획으로 이루어졌다.

    전체적인 배치계획은 부지의 지형과 지세의 상황과 방위에 따라 형성된 축의 방향을 고려하여 네 개의 그룹 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졌다.<Fig.3> Ⅰ 그룹은 전체적인 부지의 장축과 같은 북서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의 정확 한 축으로부터 자연적인 형상에 의한 비교적 완만한 경 사지,21) Ⅱ 그룹은 동쪽에서 서쪽 방향의 정확한 축으로 부터 축과 같은 방향으로 점점 낮아지는 경사지,22) Ⅲ 그룹은 북북서쪽에서 남남동쪽 방향으로의 축을 중심으 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 자연적인 골짜기와 함께, 낮 은 지역으로부터 높은 지역 사이의 길게 형성된 완만한 경사지,23) Ⅳ 그룹은 전체적인 부지의 장축과 같은 북 서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의 축을 중심으로 자연적인 형상에 의한 길게 형성된 완만한 경사지에 순응하면서 배치되어 계획되었다.24) 이러한 Ⅰ-Ⅱ-Ⅲ-Ⅳ 그룹들의 배치계획은 위와 같은 그룹들의 부지의 지형과 지세의 상황 및 방위와 축의 방향에 따라 각각의 그룹에 대한 배치계획의 개념과 그룹별로 기능적인 측면의 영역을 구분하여 계획된 구성요소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특히, 전체적인 배치계획의 개념은 각각의 그룹들 간의 연계 와 인접한 그룹의 건축물과 건축물들의 연계를 통해 접 근성과 동선을 고려하면서 구성되었다.

    전체적인 배치계획에서 자연요소를 이용한 녹지와 수공간의 계획은 다양한 기능과 형태로서 이루어졌는 데, Ⅰ 그룹에서는 원통형 형태의 해상극장(8) 중앙부 분에 인공적인 수공간이 계획되었으며, Ⅱ 그룹에서는 거대한 구조물로 둘러싸인 페칠레(Pecile)(11)와 같은 인공적인 녹지와 수공간의 결합 및 인공적인 구조물에 의한 양어장(14)과 같은 수공간이 계획되었다. Ⅲ 그룹 에서는 주변의 자연적인 지형의 경사지를 그대로 이용 하면서 자연 녹지와 인접하여 카노푸스(Canopus)(20) 와 같은 인공적인 수공간이 계획되었다. 그리고 부지 의 내부뿐만 아니라, 부지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구 축된 테라스(3, 3-1, 3-2, 23)와 전망대(22)와 같은 구 조물들은 시각적인 개방감과 조망을 확보하기 위한 구 성요소로서 계획되었다.<Fig.3>

    하드리안 별장의 입구는 당시에는 현재와 거의 같은 방법으로 로마에서 접근할 수 있는 티부르티나 가도로 부터 연계되는 도로를 통해 별장의 좌측인 북서쪽 방 향에 도달한 이후에, 모두 세 개의 방향으로 별장 내 부로 접근할 수 있게 계획되어 있었다.25) 첫 번째의 입구는 Ⅰ 그룹의 좌측에 완만한 경사지를 이용하여 배치된 비너스 신전(2) 부근인 테라스(3-2) 하부부분에 계획된 마차가 다닐 수 있는 지하통로 입구로부터 Ⅰ 그룹과 부지 동쪽과 남동쪽을 통과하여 Ⅳ 그룹부분까 지 접근할 수 있게 계획되어 있었다.26)<Fig.6> 두 번 째의 입구는 현재의 모습과 같이 페칠레(11)의 좌측 상부부분의 벽을 통과하여 내부에 직접 진입할 수 있 게 계획되어 있었다.<Fig.7> 세 번째의 입구는 페칠레 남쪽 방향에 마차가 다닐 수 있게 계획된 길을 통해, 경비병들의 숙소(15)의 지하통로로 진입하여 Ⅲ 그룹 부분에 접근할 수 있게 계획되어 있었다.

    하드리안 별장의 부지 내부에서의 동선계획은 건축물 과 건축물을 직접적으로 연계시키기 위한 통로와 중정 및 지하 회랑뿐만 아니라, 외부공간과 함께 구성된 보행 동선에 의한 접근성을 고려하여 구성되었다.27) 특히, 별 장 외곽을 중심으로 연결을 위한 약 9㎞ 길이의 지하 구 조물의 통로가 계획되었는데, 이러한 통로는 <Fig.8>의 좌측 상부에 위치한 별장의 첫 번째의 입구인 지하 통로 를 진입한 이후에, 황제의 궁전(6)과 금의 광장(7), 그리 고 부지 동쪽 방향을 통과한 이후에, 거대한 사다리꼴 형 태의 지하 구조물, Ⅲ 그룹의 카노푸스(20)와 세라페오 (Serapeo)(21), Ⅳ 그룹의 극장(27)과 아카데미(26)부터 전 망대(22)까지 사람과 마차가 다닐 수 있게 <Fig.8>에서 굵은 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계획되었다. 위와 같은 지 하 통로를 계획한 이유는 별장의 중앙 부분을 통과할 필 요가 없이 별장 외곽을 중심으로 구성된 지하 통로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배치하기 위함이었다.

    5-2.하드리안 별장의 각 그룹별 배치계획에 대한 분석

    Ⅰ-Ⅱ-Ⅲ-Ⅳ 그룹들의 배치계획은 <Fig.3>의 배치 도를 중심으로 이미 분석된 각각의 그룹들의 부지의 지형과 지세의 상황에 순응하는 배치계획, 방위와 축의 방향에 의한 배치계획, 그룹별로 기능적인 측면의 영역 을 구분하여 계획된 구성요소들의 배치계획, 각각의 그 룹들간의 연계와 인접한 그룹의 건축물과 건축물들의 연계를 통해 접근성 및 동선을 고려한 배치계획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1)Ⅰ 그룹

    Ⅰ 그룹은 북서쪽의 완만한 경사지를 이용하여 가장 낮은 부분인 해발 64.0m에서 우측에 반원형 형태의 극 장(1)과 좌측에는 비너스 신전(2)이 배치되었으며, 그 러한 건축물들 사이에 구성된 진입로를 통해 외부로부 터 별장을 접근할 수 있게 계획되었다. 실제로 처음의 하드리안 별장의 건축은 Ⅰ 그룹을 중심으로 자신의 황비이었던 비비아 사비나가 이미 소유하고 있었던 작 은 별장의 보수를 통해, 자신의 거처로 사용할 궁전과 식당 및 손님들의 숙소 등의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는 증축개념의 계획으로부터 시작되었다.28)

    Ⅰ 그룹은 첫 번째로 별장건축을 위해 계획된 부분 이며, 중정과 광장을 중심으로 한 궁전과 도서관의 계 획을 통한 거주와 교양중심의 구역으로서 별장에서 가 장 중심적인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던 부분이었 다. Ⅰ 그룹의 기본적인 배치계획은 기존의 별장으로 부터 부가하는 계획이었기 때문에, 다른 그룹에 비해 건축물 배치계획의 균형 있는 조화와 질서에 의해 계 획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기능의 많은 건축물 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면과 면 및 면과 모서리가 연계 되어 집약적으로 계획되었다. Ⅰ 그룹의 부지는 가장 높은 지역에 배치된 해발 103m에서의 금의 광장(7)과 가장 낮은 지역인 그리스어와 라틴어 도서관(4) 전면 에 배치된 해발 81.8m에서의 테라스(3-2)사이에 형성 된 완만한 경사지를 이용하여 직선 축에 의해 배치되 었다.29) 전체적인 부지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남동쪽 에서 북서쪽 방향으로의 축은 자연적인 형상에 의한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는데, <Fig.2>에서와 같이, Ⅰ 그룹 부분의 부지는 위와 같은 전체적인 부 지와 같은 세로방향의 장축(Y1-Y2)인 평행한 축과 북 동쪽의 경사지와 같은 방향에 의해 별장 부지의 상부 부분에 배치계획이 이루어졌다.<Fig.9>

    Ⅰ 그룹의 중앙부분에는 별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이라고 할 수 있는 황제의 궁전(6)과 궁전의 중정(5)이 계획되었다. 이러한 건축물들을 중심으로 Ⅰ 그룹 부지 의 상부부분에는 금의 광장(7)이 배치되었으며, 하부부 분에는 전면이 외부로 열려진 그리스어와 라틴어 도서 관(4)과 테라스(3-1)가 서로 같은 방향성을 가지고 연 계되어 배치되었다. 그리고 도서관 남서쪽에는 지금까 지 잘 보존된 원통형 형태의 해상극장(8)이 하드리안 황제를 위한 여름철 용도의 개인적인 공간으로 계획되 었는데, 해상극장 중앙부분에는 건축물을 중심으로 둘 레에 수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며, 수공간 외곽에는 열주 랑과 통로에 의해 둘러싸여 계획되었다.30) <Fig.10>과 같이, 해상극장은 도서관(4), 궁전의 중정(5), 태양열 목 욕탕(9)과 철학가들의 방(10)이 해상극장의 통로로부터 서로 연계시키는 방법의 동선체계로서 건축물들이 배 치되었다.31)

    황제의 궁전(6)과 궁전의 중정(5)의 외곽부분에는 별 장을 접근하는 부분과 별장 외곽부분을 중심으로 전면 에 펼쳐지는 자연적인 경관의 조망을 위해 계곡을 향 한 경사진 부지를 이용하여 계획된 테라스는 고대 그 리스의 테살리아(Tessaglia)에 있었던 템페(Tempe)계 곡을 조망하는 모습과 유사하게 계획되었다.32) 위와 같은 계획은 시각적인 조망을 확보하기 위해 북쪽에는 해발 95.0m에서의 장방형 형태의 긴 테라스(3)와 별장 진입부분의 북서쪽에는 Ⅰ 그룹의 가장 낮은 부분인 그리스어와 라틴어 도서관(4)과 연계되어 “U”자 형태 와 같은 두 개의 거대하고 넓은 테라스(3-1, 3-2)가 각각 서로 다른 레벨에 의해 둘러싸여 배치되었다.

    (2)Ⅱ 그룹

    Ⅱ 그룹은 정원과 수공간 및 식당을 중심으로 한 산 책과 휴식을 위한 구역이며, Ⅰ 그룹이 거의 완성되어 진 125년 이후에 두 번째로 계획이 시작되었다.33) Ⅱ 그룹의 부지는 Ⅰ 그룹 우측에 배치된 철학가들의 방 (10)과 Ⅱ 그룹의 페칠레(11)가 서로의 면과 모서리가 연계되어 동쪽에서 서쪽 방향의 축에 의해 점점 낮아 지는 경사지로 형성되었으며, 페칠레의 구축을 위해 하부부분과 우측면 중간부분까지 인공적으로 구축된 축대와 함께 경사진 언덕 위에 위치되었다.34) Ⅱ 그룹 의 기본적인 배치계획은 부지와 같은 방향의 축에 의 해 거대한 구조물인 페칠레(11)를 중심으로 여름용 식 당(12)-님프(Nymph)정원(13)-양어장(14)의 건축물들이 십자가 축에 의해 서로 합류된 계획으로 이루어졌 다.35) 위와 같은 구조물들은 가장 높은 지역에 배치된 해발 102.6m에서의 양어장과 가장 낮은 지역인 해발 90.8m에서의 페칠레의 수공간 사이의 완만한 경사에 의해 배치되었다.<Fig.11>

    페칠레(11)는 녹지와 수공간의 자연요소의 도입을 위 해 약 230m×100m의 거대한 규모로서 중앙부분에는 장 방형 형태의 수공간과 둘레에는 녹지가 높이 약 9m의 벽체로 둘러싸여 있었다. 벽체 내부에는 지붕이 있는 회랑에 의해 둘러싸여 내부에서 네 개의 면 가운데 어 느 한 면이 항상 그늘이 발생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 다.36) 이러한 구조물은 현재는 좌측 벽체만 남아 있지 만, 상부와 하부부분의 작은 변이 완만한 곡선으로 이 루어진 로마 시대의 전차 경기장과 같은 형태로서 동쪽 에서 서쪽 방향으로의 장축과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의 단축에 의한 정확한 방위와 축으로서 배치되었다.37)

    페칠레(11)의 우측 상부부분은 부지의 레벨 차이에 의해 페칠레의 레벨보다 자연적으로 조금 높은 경사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규모가 큰 건축물의 계획이 필요하였다.38) 따 라서 페칠레의 우측 상부부분과 세 면이 반원형 형태 로 둘러싸여 계획된 황제를 위한 사적 공간인 여름용 식당(12)이 서로의 면과 면이 연계하여 배치되었다. 위 와 같은 부분에는 황제와 귀족들이 외부에 대한 노출 이 없이 통과할 수 있는 반 지하 구조물의 숨겨진 회 랑으로 이루어진 통로가 계획되어 있었는데, 이러한 구조물은 페칠레에서 여름용 식당으로 직접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계획되었다.39) 여름용 식당(12)을 중심 으로 십자가와 같은 축의 형태로서 남쪽과 북쪽 방향 으로 축이 서로 교차하면서 스타디움(stadium) 형태의 님프정원(13)이 길게 배치되었다. 그리고 동쪽과 서쪽 의 축 방향으로 님프정원(13)의 상부부분인 동쪽 방향 에는 외곽이 회랑으로 둘러싸인 장방형 형태의 낚시를 하기 위한 양어장(14)이 배치되었다. 위와 같은 세 개 의 건축물들은 페칠레의 우측 모서리부분과 서로 연계 하면서 일정한 방향의 축에 의해 질서 있게 배치되었 다. 한편, 양어장(14)은 2층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있는 데, 1층 구조물 내부의 외곽부분에는 <Fig.12>와 같이 반 지하 구조물의 숨겨진 통로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 에, 이러한 통로에 의해 님프정원과 연계되어 양어장 으로의 접근뿐만 아니라, 진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계획되었다.

    (3)Ⅲ 그룹

    Ⅲ 그룹은 거대한 중앙 홀(16)을 중심으로 목욕탕과 수공간을 통해 위생 및 산책과 휴식을 위한 구역으로서 Ⅱ 그룹의 페칠레(11) 우측면 벽체의 중간부분부터 연 계되어 별장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Ⅲ 그룹 부지의 우측부분은 경사진 언덕과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 골짜 기로 이루어져 있지만, 부지는 가장 높은 지역에 배치 된 해발 95.5m에서의 세라피데(Serapide)(21)와 가장 낮 은 지역인 해발 88.0m에서의 경비병들의 숙소(15) 사이 의 완만한 경사에 의해 많은 구조물들이 약 460m의 긴 축선상에 일렬로 길게 정렬되어 배치되었다.<Fig.13>

    Ⅲ 그룹에서의 계획은 페칠레(11)의 구축을 위해 우측 면 중간부분까지 인공적으로 축조된 축대부분부터 약 60 도 정도의 축방향으로 중앙 홀(16)까지 연계되어 길게 형성된 경사진 부지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페칠레 우 측면과 거대한 홀까지 연계된 부분에는 구조적인 보강을 위해 인공적으로 축조된 약 2∼4m 높이의 축대가 구축 되어 100개의 작은 방으로 구성된 약 150m 길이의 경비 병들의 숙소(15)가 일직선으로 길게 배치되었다.40)

    경비병 숙소 끝부분에는 축이 직각방향으로 서로 마 주치면서 서비스 공간인 거대한 규모의 중앙 홀(16)이 배치되었다. 이러한 중앙 홀 상부부분에는 “T”자 방향으 로 좌측에는 황제의 가족과 별장을 방문한 손님을 위한 작은 목욕탕(17)과 우측에는 별장에 소속되어 있는 근무 자들을 위한 큰 목욕탕(18)이 중앙 홀 상부부분의 면과 서로 면하고 있으면서 계획되었다. 그러한 큰 목욕탕의 우측에는 큰 목욕탕과 같은 방향으로 장방형 형태의 창 고(19)가 배치되었다.

    위와 같은 건축물들의 우측방향에는 경비병들의 숙 소(15)의 축이 연장되어 자연적으로 양 측면이 비교적 가파른 경사로 형성된 폭이 좁고 길게 되어 있는 계곡 의 부지형태를 이용하여 인공 운하형태의 거대한 수공 간인 약 120m×18m 규모의 카노푸스(20)가 계획되었 다.41) 현재에 그러한 카노푸스에는 부분적인 열주와 여 섯 개의 여인상 기둥만이 남아 있지만, 원래는 연속된 열주와 수공간의 내부방향을 보고 있는 여인상 기둥들 이 수공간을 전체적으로 둘러싸여 있었다.42) 그리고 카 노푸스 남동쪽 방향에 시각적인 초점이 되는 끝부분에 는 계곡을 둥글게 감싸고 있는 골짜기의 경사진 부지 를 이용하면서, 골짜기를 내부 방향으로 파고 들어가서 구축한 세라피스 Serapis신전을 재현한 반원형 형태의 둥근 천정으로 구성된 세라피데(21)가 계획되었다.43)

    (4)Ⅳ 그룹

    Ⅳ 그룹은 다른 그룹에 비해 가장 높은 지역에 위치 하고 있으며, 거대한 테라스(23)를 중심으로 전망대 (22)와 아카데미(26)를 통해 교양 및 교육과 휴식을 위 한 구역으로서 Ⅲ 그룹의 세라피데(21) 우측 부분에 계획된 지하 통로와 연계하여 별장의 남서쪽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44) Ⅳ 그룹의 부지는 부지 남쪽과 남서 쪽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부지 내부에는 급한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부지 외부에는 남서쪽에 급격하게 경사가 매우 깊고 길게 형성된 리시콜리 계곡과 평행 을 이루면서 형성되었다. 그러한 부지는 다른 그룹에 비해 가장 높은 부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높은 지역에 배치된 해발 115.6m에서의 노천극장(26) 과 가장 낮은 지역인 해발 100.0m에서의 전망대(22) 사이의 완만한 경사에 의해 여러 가지의 구조물들이 약 500m 길이로서 긴 축선상에 일렬로 길게 정렬되어 배치되었다.<Fig.14>

    Ⅳ 그룹은 전체적인 부지의 장축과 같은 남동쪽에 서 북서쪽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등고선을 따라 길 게 확장되어 기본적으로 폭이 넓은 테라스(23)에 의 해 형성된 거대한 구조물로서 배치되었다. 폭이 넓은 테라스는 Ⅳ 그룹의 배치 축과 같은 방향의 축을 형성 하면서 배치되었으며, 그러한 테라스에 연장되어 폭이 좁고 길게 계획된 테라스의 끝부분에는 전망대(22)가 계획되었다. 이러한 테라스와 테라스의 전망대는 비교 적 높은 레벨에 위치하여 테라스에서는 별장 내부 및 외부의 남서쪽 방향뿐만 아니라, 북서쪽 방향의 로마의 넓은 평원까지 조망할 수 있도록 배치되었다.45)

    위와 같은 테라스(23)는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부지 외곽에 구성된 지하 통로와 Ⅲ 그룹의 반원형 형태의 세라피데(21) 우측 부분에 계획된 지하 통로에 의해 폭 이 넓은 테라스 좌측 중간부분과 연계되게 배치되었 다.46) Ⅳ 그룹은 서로 연계되어 배치된 다른 그룹과는 다르게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위와 같이 연계된 지하 통로로부터의 접근방법 이외에 는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도록 계획되었다.

    한편, 거대한 테라스(23)와 같은 축 방향의 연장개념 에서 보다 높은 레벨에 또 하나의 테라스가 면과 면이 서로 연계되어 접하면서 배치되었다. 그러한 테라스에는 고대 그리스 아테네에서 철학을 연구하였던 아카데미 를 재현하기 위해 회랑으로 둘러싸인 장방형 형태의 아카데미(26)가 계획되었다. 그리고 주변에는 “S”자 형 태와 같은 곡선으로 계획된 아카데미를 위한 부속 건 축물인 파빌리온(24)과 아폴로 신전(25)이 계획되어 배 치되었으며, 테라스 외곽의 상부부분에는 반원형 형태 의 노천극장(27)이 배치되었다.

    네 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계획된 하드리아누스 별장 의 배치계획에 대한 개념과 기능 및 주요한 구성요소 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Table. 1

    6.결론

    본 연구는 하드리안 별장에서의 배치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하드리안 별장에 비해 규모가 작은 로마 시대 에 계획된 폼페이와 오스티아와 같은 도시는 당시의 도시계획의 패턴인 격자형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하 드리안 별장의 배치계획은 부지와 부지 주변의 자연경 관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의 많은 다양한 건축물들이 전체적인 부지의 지형과 지세에 의한 완만한 경사도에 따라 자연조건에 순응하면서 합리적인 토지이용계획에 의해 자연과 서로 밀접하게 혼합되어 유기적으로 계획 되었다.

    둘째, 하드리안 별장의 배치계획은 전체적인 부지의 지형과 지세의 상황과 방위에 의해 형성된 축의 방향 과 기능적인 측면의 영역을 고려하면서, 다양한 토지 이용계획을 통한 세분화된 네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졌다. 이러한 네 개의 그룹은 인접한 그룹들 간 의 연계 및 지상과 지하의 동선체계에 의해 서로 유기 적인 관계를 이루면서 종합적인 마스터 플랜에 의해 계획되었다.

    셋째, 하드리안 별장의 배치계획은 기능과 동선 및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서로의 구분과 연계뿐만 아니라, 부지 내부와 외부방향으로의 시각적으로 열려 있는 조 망에 의한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별장은 로마 시대의 별장건축에 대한 배치계획에서 혁신적이 고 창의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후에 새로운 건축연구를 위한 실험적인 대상의 역할을 하고 있다.

    넷째, 하드리안 별장의 배치계획은 지상과 지하통로 에 의해 원활한 동선체계가 이루어져 있는데, 특히 지 하통로는 전체적으로 부지 외곽을 중심으로 마차를 이 용한 하인들의 통행이나 물품들의 운반을 위해 어느 한 지역과 또 하나의 지역으로의 연계를 통해 계획되 었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각각의 그룹과 그룹 혹은 그 룹 내의 건축물의 연계를 위해 지하통로가 계획되었다.

    다섯째, 하드리안 별장의 건축물들에 대한 배치계획 을 위한 방법의 개념은 첫 번째는 여러 개의 축에 의 한 배치로부터 서로의 만남, 교차와 합류, 두 번째는 건축물들의 모서리 부분을 중심으로 방향의 전환 그리 고 세 번째는 건축물의 면과 면, 면과 모서리를 접하 거나, 혹은 끼워 넣는 체계에 의해 기능적이고 구조적 으로 독립된 건축물들에 대한 서로의 연계를 통해 이 루어졌다.

    여섯째, 하드리안 황제에 의한 자신의 별장에서의 많은 구조물들이 로마 이외에 로마제국의 다른 지역에 있는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의 기념비적인 구조물과 연 관되어져 있는데, 이러한 구조물들의 재현은 단순한 물리적인 모습의 복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 려 원래의 구조물들에 대한 의도와 가치를 재현하기 위함이었다.

    Figure

    JAH-25-7_F1.gif

    Location of Roma and Hadrian’s villa

    JAH-25-7_F2.gif

    Site plan of Hadrian’s villa-Ⅰ

    JAH-25-7_F3.gif

    Site plan of Hadrian’s villa-Ⅱ

    JAH-25-7_F4.gif

    Aerial photograph of whole view of Hadrian’s villa

    JAH-25-7_F5.gif

    Model of whole view of Hadrian’s villa

    JAH-25-7_F6.gif

    View of entrance of underground passage

    JAH-25-7_F7.gif

    View of present entrance

    JAH-25-7_F8.gif

    Underground passages planned at Hadrian’s villa

    JAH-25-7_F9.gif

    Model of group Ⅰ view

    JAH-25-7_F10.gif

    Maritime theater and around buildings

    JAH-25-7_F11.gif

    Model of group Ⅱ view

    JAH-25-7_F12.gif

    View of underground passage of fish farm

    JAH-25-7_F13.gif

    Model of group Ⅲ view

    JAH-25-7_F14.gif

    Model of group Ⅳ view

    Table

    Concept of site plan, function and main compositional element of Hadrian’s villa planned dividing into four groups

    Footnote

    • William L. MacDonald-John A. Pinto, Villa Adriana, trad. Valeria Letizia, C. - Inserra, I, Electa, 1997, p.36; Radcliffe, F, A Visit to Hadrian’s Villa at Tivoli , Roman Archaeology Group Inc, V.4, Issue 4, December 2009, p.2 로마 시대에 이태리 남부 나폴리만 연안에 위치하였던 폼페이(Pompeii) 도시국가는 약 65만㎡정도의 규 모였으며, 로마 서쪽 지중해 연안에 위치하였던 도시국가인 오스티 아(Ostia)는 약 67만㎡ 정도의 규모였다.
    • William L. MacDonald-John A. Pinto, op. cit., pp.213∼374; 곽기 표, 빌라 아드리아나의 건축적 특성과 영향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 학회논문집(계획계), 제27권, 제3호(통권269호), 2011년 3월, 51∼60쪽
    • AA. VV., Lineamenti di Storia dell’Architettura, Carucci, 1978, p.132; Fietcher, B, A History of Architecture, 19th ed., University of London 1987, p.250; Muller, W. - Vogel, G, Atlante di Architettura, Hoepli, 1996, p.214; William L. MacDonald-John A. Pinto, op. cit., p.30, pp.44∼45, 392∼393; Canciani, M. et al., A New GIS-Based Map of Villa Adriana, A Multimedia Guide for Ancients Paths,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 XL-5, 2014, p.132, Fig.4
    • Mielsch, H, La Villa Romana, trad. A. Maria Esposito, Giunti, 1990, pp.73, 185; William L. MacDonald-John A. Pinto, op. cit., p.23; Radcliffe, F, op. cit., Roman Archaeology Group Inc, V.4, Issue 4, December 2009, p.2; 첫 번째의 여행(121∼125년)에서는 갈리아(프랑 스), 게르마니아(독일), 브리타니아(영국), 히스파니아(스페인), 판노니 아(헝가리), 다키아(루마니아), 트라키아(불가리아 및 흑해 서부) 등의 유럽과 돌아오는 길에 남하하여 이집트와 그리스 및 소아시아를 둘러 보았다. 두 번째(126년) 여행에서는 그리스, 세 번째(128∼132년)의 여 행에서는 그리스, 소아시아, 터키의 흑해연안, 서아시아, 북아프리카를 둘러보았다. 하드리안 황제는 여행을 즐겼는데, 로마제국의 식민지와 속국을 포함하여 광대한 로마제국의 영토를 돌아 본 황제로서는 그가 아마도 유일한 인물이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이 여행하였던 나라와 지 역 중에서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의 예술 및 건축을 매우 좋아하였었 던 국제적인 개념의 황제였다.
    • Ward-Perkins, John B, Architettura Romana, trad. A. Bacigalupo, Electa, 1979, pp.80∼81; Maggi, S, Roma, i Fori , Istituto Geografico de Agostini, 1983, pp.20∼21 배치도, pp.58∼59; William L. MacDonald-John A. Pinto, op. cit., p.23
    • John B. Ward-Perkins, op. cit., pp.139, 156, 163, 172∼173; 하드리 안 황제가 로마제국의 영토에 계획한 건축 사업은 소아시아 에페소스 에 하드리안 신전, 그리스 아테네에 하드리안 기념물, 요르단 제라시에 하드리안 개선문,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사이에 축조한 하드리안 성 벽, 이집트에 그리스 양식으로 건설된 신도시 안티노폴리스 등이 있다.
    • H. Mielsch, op. cit., pp.71∼72, 185
    • AA. VV., op. cit., p.131; Ward-Perkins, John B, op. cit., p.102; Muller, W. - Vogel, G, op. cit., p.215와 주석 6 참조.
    • AA. VV., op. cit., 1978, p.131; Ward-Perkins, John B, op. cit., p.92; Mielsch, H, op. cit., 1990, p.184. 티볼리에는 공화정 말기의 시인이었 던 오라티우스(Oratius), 문인과 예술가들의 후원자로 유명하였던 메체 나스(Mecenas), 정치가와 철학가이었던 살루스티우스(Salustius), 트라 이아누스(Traianus) 황제의 유명한 하계별장들이 있었으며, 아직까 지도 별장들과 신전들의 유적들이 많이 남아 있다.
    • William L. MacDonald-John A. Pinto, op. cit., pp.31∼33
    • 주석 7 참조.
    • Mielsch, H, op. cit., p.142
    • AA. VV., op. cit., p.132의 배치도; Muller, W. - Vogel, op. cit., p.214의 배치도와 p.215 참조.
    • AA. VV., op. cit., p.131과 <Fig.3> 참조.
    • <Fig.2>에서 점선으로 표현된 직사각형 형태는 부지특성에 대한 분석을 위해 부지의 방향과 경계를 중심으로 가로 약 1,000m와 세로 약 2,000m의 길이로서 영역을 설정하였으며, 부지의 중심(해상극장 8)에서의 단축인 가로축(X1-X2)와 세로축(Y1-Y2)를 설정하였다.
    • 부지의 경사도의 분석은 William L. MacDonald-John A. Pinto, op. cit., pp.30, 44∼45의 배치도를 참조하였으며, 경사분석의 방법과 지면의 경사도에 따른 토지이용에 의한 건축물 배치계획의 가능성과 관련된 자 료는 김철수, 『단지계획,』 기문당, 1999, pp.91∼93, 표 3-1을 참조하였 다. <Fig.2>에서 부지 중심부분에서 세로방향의 장축(Y1-Y2)은 약 2,000m의 길이로서 남동쪽의 최고 높이는 약 115m, 북서쪽의 최저 높이는 약 62m이기 때문에, 높이의 차는 53m이다. 그러므로 경사도 는 53/2,000×100=2.7%정도가 된다. 그리고 부지 중심부분에서 가로방 향의 단축(X1-X2)은 약 1,000m의 길이로서 중앙부분의 최고 높이는 약 94m, 북서쪽과 남서쪽의 최저 높이는 약 75m이기 때문에, 높이의 차는 약 19m이다. 그러므로 단축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의 부 지 경계방향으로의 경사도는 각각 19/500×100=3.8% 정도가 된다. 따라서 부지 중심부분에서 가로방향의 장축과 세로방향의 단축은 비교 적 평탄한 경사지로서 건축물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 Mielsch, H, op. cit., p.71; Radcliffe, F, op. cit., p.2
    • 주석 13 참조.
    • William L. MacDonald-John A. Pinto, op. cit., pp.44∼45의 배치 도를 참조하였으며, 경사분석의 방법과 지면의 경사도에 따른 시각적 인 느낌과 관련된 자료는 김철수, 앞의 책, 91∼93쪽, 표 3-1을 참조하 였다. 부지 내부에서 외곽부분을 지각할 수 있는 시각적인 분석은 주 변의 자연경관의 모습을 멀리 내려다 볼 수 있는 조망권이 확보된 세 부분을 중심으로 경사도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부분은 황제궁전(6) 전면에 구성된 북동쪽 방향의 테라스(3)인데, 템페계곡을 중심으로 부 지 경계부분에서 테라스(3)까지의 거리는 약 110m이며, 테라스의 높이 는 약 95m이고, 부지의 경계부분은 약 78m이기 때문에, 높이의 차는 약 17m이다. 그러므로 경사도는 17/110×100=15.4% 정도가 되므로 가 파른 경사지에 의해 템페계곡과 함께 비교적 먼 거리까지 조망이 가능 하였다. 두 번째 부분은 아카데미(26) 하부에 구성된 남서쪽 방향의 테 라스(23)인데, 리시콜리 계곡을 중심으로 부지 경계부분에서 아카데미 (26) 하부에 구성된 테라스(23)까지의 거리는 약 105m이며, 테라스의 높이는 약 109m이고, 부지의 경계부분은 약 85m이기 때문에, 높이의 차는 약 24m이다. 그러므로 경사도는 24/105×100=22.9% 정도가 되므 로 매우 가파른 경사지에 구축된 높은 테라스에서 리시콜리 계곡과 함 께 먼 거리까지 조망이 가능하였다. 세 번째 부분은 페칠레(Pecile)(11) 의 외곽에 구성된 서쪽의 시각적인 방향의 회랑인데, 연장된 리시콜리 계곡을 중심으로 부지 경계부분에서 페칠레(11) 하부에 구성된 회랑까 지의 거리는 약 490m이며, 테라스의 높이는 약 92m이고, 부지의 경계 부분은 약 75m이기 때문에, 높이의 차는 약 17m이다. 그러므로 경사 도는 17/490×100=3.5% 정도가 되므로 비교적 평탄한 경사지로 이루어 졌지만, 이미 약 8m 높이의 인공적인 축대가 구축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망권이 먼 거리까지 조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 주석 16 참조.
    • Ⅰ 그룹뿐만 아니라, Ⅱ-Ⅳ 그룹에 배치된 각각의 건축물의 레벨 은 William L. MacDonald-John A. Pinto, op. cit., pp.44∼45의 배치도 와 M. Canciani et al., p.132, Fig.4에서 시거수준측량법(視距水準測量 法, stadia leveling method)에 의해 측량된 배치도를 참고하였다. 그리 고 경사분석의 방법과 지면의 경사도에 따른 토지이용에 의한 건축물 배치계획의 가능성과 관련된 자료는 김철수, 앞의 책, 91∼93쪽, 표 3-1을 참조하였다. Ⅰ 그룹 부지의 장축방향 중심부분의 길이는 약 500m이며, 가장 높은 지역이 103.0m이고, 가장 낮은 지역이 81.8m이기 때문에, 높이의 차는 21.2m이므로 경사도는 21.2/500×100=약 4.2% 정 도가 된다. 그러므로 Ⅰ 그룹 부지는 완만한 경사지이지만, 별도의 성 토와 절토작업이 없이 건축물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었다.
    • Ⅱ 그룹 부지의 장축방향 중심부분의 길이는 약 330m이며, 가장 높은 지역이 102.6m이고, 가장 낮은 지역이 90.8m이기 때문에, 높이 의 차는 11.8m이므로 경사도는 11.8/330×100=약 3.6% 정도가 된다. 그러므로 Ⅱ 그룹 부지는 비교적 평탄한 경사지로서 별도의 성토와 절토작업이 없이 건축물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었다.
    • Ⅲ 그룹 부지의 장축방향 중심부분의 길이는 약 460m이며, 가 장 높은 지역이 95.5m이고, 가장 낮은 지역이 88.8m이기 때문에, 높 이의 차는 6.7m이므로 경사도는 6.7/460×100=약 1.5%정도가 된다. 그러므로 Ⅲ 그룹 부지는 거의 평탄한 경사지로서 건축물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었다.
    • Ⅳ 그룹 부지의 장축방향 중심부분의 길이는 약 620m이며, 가 장 높은 지역이 115.6m이고, 가장 낮은 지역이 100.0m이기 때문에, 높이의 차는 15.6m이므로 경사도는 15.6/620×100=약 2.5%정도가 된 다. 그러므로 Ⅳ 그룹 부지는 거의 평탄한 경사지로서 건축물의 배 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었다.
    • <Fig.3>에서는 부지의 좌측인 북서쪽 방향으로 접근하여 모두 세 개의 방향으로 별장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계획된 도로가 점선 으로 표현되어 있다.
    • Canciani, M. et al., op. cit., p.131에서 참조.
    • 하드리안 별장에서 건축물과 건축물의 연결을 위한 지하 회랑뿐 만 아니라, 별장의 외곽부분의 연결을 위한 지하 구조물의 통로에 관 한 자료는 Ward-Perkins, John B, op. cit., pp.143∼146; Radcliffe, F, op. cit., p.2; Mielsch, H, op. cit., pp.144∼146; Canciani, M. et al., op. cit., p.131에서 참조.
    • 주석 7 참조.
    • 5장 2절에서의 건축물들이 배치된 부분들에 대한 해면으로부터 의 높이는 Canciani, M. et al., op. cit., p.132, Fig.4 참조.
    • 해상극장(8)은 Ⅰ 그룹의 가장 중요한 황제의 궁전(6)과 Ⅱ 그룹의 가장 중심적인 페칠레(11)의 배치계획뿐만 아니라, 해상극장 주변의 건 축물 배치계획을 위해 관절 혹은 돌쩌귀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 해상극장(8)은 북동쪽 방향에 있는 황제궁전의 중정(5)과의 직 각방향의 통로에 의한 연계, 북쪽 방향에 있는 도서관(4)과의 개구 부에 의한 직접적인 연계, 서쪽 방향에 있는 철학가들의 방(10)과 접하고 있으면서 직각방향의 두 개의 통로에 의한 연계, 북쪽 방향 에 있는 태양열 목욕탕(9)과의 개구부에 의한 직접적인 연계를 통 해, 해상극장을 중심으로 각각의 건축물의 면과 면 및 면과 모서리 를 접하거나, 혹은 끼워 넣는 체계로서 서로 연계되어 배치되었다.
    • 이러한 계획의 모티브는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그리스를 여행 중 에 방문하였던 고대 그리스 테살리아의 올림푸스(Olympus)와 오싸 (Ossa)의 두 개 산 사이에 있었던 경치가 좋은 템페계곡을 조망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재현하기 위해 테라스를 계획하였다; Wheeler, M, Roman Art and Architecture, Thames and Hudson, 1989, p.138
    • Mielsch, H, op. cit., p.73; William L. MacDonald-John A. Pinto, op. cit., pp.50∼52
    • 페칠레(11) 바닥에 레벨은 해발 약 92m이며, 페칠레 하부부분의 외곽 레벨은 약 84m이기 때문에, 페칠레의 구축을 위해 약 8m 높 이의 인공적인 축대가 구축되었다. 그리고 페칠레 하부부분부터 거 대한 홀(16)과 연계되는 우측 벽면 중간부분까지 벽체의 구조적인 보강을 위해 경사진 언덕에는 인공적으로 축조된 약 5m의 축대가 구축되었다.
    • Wheeler, M, op. cit., p.38. 페칠레는 그리스 아테네의 아고라에 유명한 장방형 형태의 스토아 포이킬레(Stoa Poikile)와 외곽방향에 둘러싸여 있는 회랑을 재현하여 계획되었다.
    • AA. VV., op. cit., p.133; Mielsch, H, op. cit., pp.72∼73
    • 페칠레와 같은 유형의 로마 시대의 전차 경기장에 대한 사례는 BC 1세기 후반에 계획된 로마에 있는 맛시모(Massimo) 전차 경기 장이 있다.
    • 페칠레 바닥에 레벨은 해발 90.8m이지만, Ⅱ 그룹의 가장 상부 부분에 배치된 양어장(14)의 레벨은 해발 102.6m 정도가 된다.
    • 주석 27 참조.
    • AA. VV., op. cit., p.133
    • 인공운하 형태의 세로축 부지 경사도를 살펴보면, 수공간 중앙 의 경계부분을 중심으로 좌측부분까지의 거리는 약 45m이며, 높이 의 차이는 약 8m이므로 경사도는 8/45×100=약 17.8% 정도이다. 그 리고 우측부분까지의 거리는 약 45m이며, 높이의 차이는 약 12m이 므로 경사도는 12/45×100=약 26.7% 정도이다.
    • Ward-Perkins, John B, op. cit., p.101; Wheeler, M, op. cit., p.40, 그림 123; Mielsch, H, op. cit., pp.99∼101; Radcliffe, F, op. cit., p.4; 그리스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에 있는 에렉크테이온(Erechtheion) 신전 전면에는 여인상 기둥인 캐리에티드(caryatid)가 구성되어 있 는데, 그러한 여인상들을 복제하여 카노푸스에 배치되어 있었다.
    • Ward-Perkins, John B, op. cit., p.101; Wheeler, M, op. cit., p.38; Mielsch, H, op. cit., p.101; 이러한 계획은 하드리안 황제가 이 집트를 여행 중에 방문하였던 알렉산드리아로부터 동쪽 방향으로 가 까이 위치한 카노푸스로 가는 길에 세라피스 신에게 봉헌되었던 신 전과 함께, 정원과 운하로 연결되어 있었던 것을 자신의 별장에 재현 시킨 계획이었다. 세라피데의 구성체계와 요소는 Mielsch, H, op. cit., p.118과 Radcliffe, F. op. cit., p.3에서 참조.
    • William L. MacDonald-John A. Pinto, op. cit., pp.54∼55
    • Ward-Perkins, John B, op. cit., pp.78∼80
    • 주석 27 참조.

    Reference

    1. Kwak Ki-Pyo (2011)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Hadrian’s Villa ,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27 (3) ; pp.51-60
    2. Kim Cheol-Su (1999) Site Planning , Kimoondang,
    3. AA VV (1978) Lineamenti di Storia dell’Architettura , Carucci,
    4. Ward-Perkins John B (1979) Architettura Romana, Electa,
    5. Franchi dell’Orto L (1982) Roma Antica, Arno e Tevere,
    6. Maggi S (1983) Roma, i Fori , Istituto Geografico de Agostini,
    7. Marta R (1985) Architettura Romana , Edizioni Kappa,
    8. Fietcher B (1987) A History of Architecture , University of London,
    9. Wheeler M (1989) Roman Art and Architecture , Thames and Hudson,
    10. Mielsch H (1990) La Villa Romana, trad , A. Maria Esposito Giunti,
    11. Muller W , Vogel G (1996) Atlante di Architettura , Hoepli,
    12. Zevi B (1997) Storia e controstoria dell’architettura in Italia ,
    13. MacDonald-John A. Pinto William L Valeria trad , Letizia C , Inserra I (1997) Villa Adriana , trad, Electa
    14. Radcliffe F (2009) A Visit to Hadrian’s Villa at Tivoli , Roman Archaeology Group Inc, Vol.4 (4)
    15. Canciani M (2014) A New GIS-Based Map of Villa Adriana , A Multimedia Guide for Ancients Paths,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XL-5 ; pp.129-136
    16. De Franceschini M (2013) http://www.villa-adriana.net, reviewed on February 2013,
    17. http://en.wikipedia.org, “Hadrian”, “Hadrian’s Villa”, reviewed on 27 July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