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598-1142(Print)
ISSN : 2383-9066(Onlin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24 No.5 pp.7-20
DOI : https://doi.org/10.7738/JAH.2015.24.5.007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Drago Galić’s Apartment Designs in Relation to Le Corbusier’s Unité d’Habitation

Sunhee Yoon, Jin-Ho Park*, Seung Yeon Baik

본 논문은 2015 인하대학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Corresponding author : jinhopark@inha.ac.kr
January 22, 2015 June 18, 2015 July 30, 2015

Abstract

Drago Galić (1907-1992) has been acknowledged as one of most important modern Croatia architects of the 20th century and noted for his controversial apartment buildings at 35-35a and 43-43a blocks on Vukovar Street in Zagreb, Croatia. Although the two housings were highly regarded as the best examples of the post-war housing design in Croatia, a plagiarism controversy arose due to its similar exterior looks to Le Corbusier’s Unité d’Habitation in Marseille in 1952. This research intends to comparatively analyze architectural features implemented on the works of apartment of Drago Galić and Le Corbusier’s Unité d’Habitation. The analysis focuses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categorized in three parts: unit plan, community space, and unit combinations. The site survey was carried out to yield more useful information for the analysis. During this process, written and photographic documentations are collected for the further interpretation. In addition, scale drawings are reconstructed for the in-depth analysis of the project.


크로아티아 건축가 드라고 갈리치의 집합주거의 건축특성과 유니테 다비타시옹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윤 선 희, 박 진 호*, 백 승 연
인하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인하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인하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초록


    Inha University

    1.서 론

    1-1.연구의 배경 및 목적

    크로아티아(Croatia, Hrvatska)에 모더니즘이 출현하 기 시작한 것은 1900년대 초반으로, 크로아티아의 수도 인 자그레브(Zagreb)의 규모가 초기 구도심 규모의 두 배로 확장되었던 시기였다. 도시의 이러한 물리적 확장 은 자연스럽게 도시개발과 건축에 대한 실험으로 이어졌 다. 비엔나와 베를린 유학파로부터 전해진 초기 기능주 의 모더니즘으로 시작하여 1930년대에 이르러서는 건축 가의 개성이 드러나는 실험적인 건축으로 크로아티아 근 대건축의 번성기를 열었고,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도시 개발계획이 수립된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에는 좀 더 자유로운 형식의 모더니즘으로 돌아가는 과정을 거쳤다. Fig. 1, 2

    크로아티아 모더니즘의 변화 과정의 이면에는 그 지리 적 조건이 있다. 서유럽의 가톨릭 국가이면서 정교·이슬 람문화가 팽배한 발칸반도에 자리하고 있는 크로아티아 는 양쪽 지역의 최후 전선에 자리한 종교적 교차점이자, 내륙 지역은 중부 유럽의 영향을 받고 해안 지역은 이탈 리아 및 그리스의 영향을 받은 문화적 교차점이기도 하 다. 이렇게 다양한 문화적·지역적 특성이 공존하고 있는 크로아티아에서 각 지역 출신 건축가들의 활동은 1920년 과 1930년대, 도입 초기부터 엄격한 합리주의의 성향을 가졌던 모더니즘을 비평적인 것으로 바꾸어 놓았다.2)

    이러한 1920∼1930년대의 영향으로 이블래르 학파 (Ibler School)의 1940∼50년대 건축가들은 국제건축규 범의 이행보다 전후 기능주의와 같은 광범위한 건축개념 내에서 문화적, 지역적 요소를 인식하는 것에 가치를 두 었다. 자그레브 시청을 설계한 카지미르 오스트로고비치 (Kazimir Ostrogović)를 비롯한 이 시대의 건축가들 중 에는 크로아티아의 집합 주거건축을 선도했던 드라고 갈 리치(Drago Galić)가 있다Table 1.

    갈리치는 자그레브에 위치한 ‘케미칼리자(Kemikalija, chemical)'라고 불리는 아파트 건물과 부카보르(Ulica grada Vukovara)거리의 35-35a 블록과 43-43a 블록에 위치한 두 아파트를 그의 주요 작품으로 남김으로써 크 로아티아 근대 집합주거 건축의 발전에 공헌하였다.3) 이 중 케미칼리자 아파트 건물은 자그레브에서 가장 아름다 운 잔디 광장 중 하나로 꼽히는 스바치치 광장(Svaćić Squre)을 마주하고 있으며 1920년 빅토르 코바치치 (Viktor Kovačić)에 의해 설계된 슬라벡스 궁전(Palača Slaveks)의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다. 드라고 갈리치는 슬라벡스 궁전의 장식적인 파사드에 응하여 그의 주거 건물의 외관에 스그라피토(sgrafitto)4)기법을 사용하여 서로 교차되는 사각형이 만들어내는 기하학적 패턴을 사 용하였다. 이로써 그는 정통 모더니즘에서 거리를 두고 특정 컨텍스트를 위한 해결책을 만들어 내었다. 이렇게 모더니즘의 절대적인 규범보다는 기능주의에 근간을 두 되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해결에 집중하는 갈 리치의 건축관은 이후의 작품에서도 지속된다.

    부카보르 거리 35-35a, 43-43a 블록에 위치한 두 집 합주거는 거의 흡사한 건축적 구성을 가진 연작으로, 갈 리치의 대표작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새로운 도시개 발의 거점이 필요했던 자그레브는 블라디미르 안톨리아 르(Vladimir Antoliær)와 크로아티아 도시개발 학회에 의해 만들어진 도시개발계획 제안에 따라 자그레브 중심 을 가로지르는 철도와 사바 강 사이의 혼란스러운 지역 을 CIAM의 기능적 도시로서 새로 개발하기로 하며 부 카보르 거리는 이 계획의 일환으로 당대 최고의 크로아 티아 건축가들이 대부분 현상 공모를 통하여 계획한 모 더니즘 건축의 전시장이 되었다

    그 중에서도 갈리치의 두 집합주거는 르 꼬르뷔제(Le Corbusier)의 유니테 다비타시옹(Unite d'habitation 이 하 위니테)과 흡사한 외관으로 주목을 받았으며, 후에 이 집합주거는 건축가의 사상이 강조되어 있다는 점과 주거 유닛의 훌륭한 배치, 혁신적인 공간 문제 해결, 높은 품 질의 구조적 결합, 디테일의 순도와 같은 점들에서 크로 아티아 전후 주거의 가장 좋은 사례 중의 하나로 평가되 고 있다.5) 또한 1983년 크로아티아 건축가 협회 (SAH) 의 회장단이 크로아티아 주거 건축 질 향상을 도모하는 드라고 갈리치 어워드를 설립하였을 정도로 부카보르 거 리의 아파트는 크로아티아의 근대 주거 건축 개념을 형 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크로아티아 고층 집합주거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갈리치의 자그레브 부카보르 거리 35-35a, 43-43a 블록의 두 집합주거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크로아티아 근대 주거 건축의 중 요한 전환점이 된 이 건물의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르 꼬르뷔제의 위니테와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분석 을 시도하여 서유럽 국가에서 시작된 모더니즘이 크로아 티아 건축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1-2.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의 고찰

    르 꼬르뷔제의 위니테는 갈리치에게 뿐만 아니라 당시 유럽 주거문제에 대한 보편적 해결안으로서 하나의 유형 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유럽의 건축가들에게 많은 영향 을 주었으며 현대에서 보편적인 주거 유형으로 자리 잡 은 아파트의 원형이기도 한 만큼 집합주거를 주제로 한 수많은 연구에서 간접적으로 위니테를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위니테를 다른 집합주거와의 비교분석 의 형태로 진행한 논문은 그리 많지 않다. 국내 연구 중 에서는 일본의 집합주택의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하루미 고층아파트를 분석하고 고층 집합주거에서 일본 전통의 건축적 특징을 근대적으로 접목시키고자 노력한 흔적을 살펴봄과 함께 위니테와 건축적 특징을 비교한 연구가 진행되었다.6) Fig. 3

    크로아티아 현지에서는 자그레브 대학의 베드란 이바 노코비치(Vedran Ivanković) 교수에 의해 갈리치의 집 합주거가 집중적으로 연구되었으며 특히 위니테와 부카 보르 거리 집합주거가 외관에서 매우 흡사한 모습을 하 고 있는데서 발생한 과거의 표절사태에 대해 갈리치를 옹호하는 입장에서 두 집합주거를 비교분석하는 논문을 발표하였다.7) 르 꼬르뷔제의 위니테와의 유사한 입면 디 테일을 조롱하던 당시 저널리스트들과는 달리, 이바노코 비치 교수는 이 논문에서 갈리치의 접근 방식을 표절이 라는 차원에서 접근하기 보다는 두 집합의 개념, 시공, 평면계획, 도시문맥 및 개인적 접근방식 이라는 점에서 르 꼬르뷔제와 갈리치의 접근방식에 분명 차이점이 있음 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의 비교는 정확한 도면 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분석이라기보다는 두 건축가의 건 축관과 당시 크로아티아의 건축적 배경, 그리고 건축물 들에 나타나는 규모와 단위주호의 수 그리고 공용공간에 대한 건축적 특징들의 단순 비교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크로 아티안 사람인 이바노코비치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 기 보다는 좀 더 이들 주거들을 비교분석 해봄으로써 그 차이점과 유사점을 추론해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니테의 건축적 특성을 고찰하 고, 이를 분석의 틀로 하여 갈리치의 부카보르 거리 집 합주거의 배치, 공용 공간 계획, 단위주호 조합방식, 실 내공간구성, 입면 비례분석, 구조 및 시스템 등의 건축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두 집합주거의 상관성을 도 출하고자 하였다. Table 2

    1-3.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근대 크로아티아의 도시에서 고층아파트를 서민을 위한 주거공간으로 제공하는 첫 번째 계획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자그레브 부카보르 거리 35-35a, 43-43a 블록의 두 집합주거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다. 이 두 건축물은 현재에도 자그레브 시민들의 주거지로 사용되고 있다.

    두 아파트 건물 중에서도 35-35a 블록의 아파트는 43-43a 블록의 아파트보다 앞서 계획되고 완공된 것으 로 43-43a 블록 아파트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두 아 파트의 단위주호 평면은 디테일을 제외하면 거의 일치하 며 단위주호의 조합방식이나 구조 및 시스템도 유사하다. 두 아파트는 각각 1954년, 1956년에 연달아 완공된 것으 로 43-43a 블록 아파트는 당시 35-35a 블록의 아파트의 성공에 힘입어 지어진 연작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갈리치의 대표적인 집합주거 건 물로서 35-35a 블록의 아파트를 중심으로 도면을 통한 건축특성을 분석하고, 43-43a 블록 아파트는 35-35a 블 록 아파트와의 차이점만을 다루기로 한다. 본 연구를 진 행하기 위한 도면 및 기초자료들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첫째, 현장답사를 통하여 43-43a 블록과 35-35a 블록 집합주거의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답사 현지주민 들의 동의를 얻어 옥상부터 1층 홀까지 건물 전체를 조 사할 수 있었고, 단위주호의 실내 방문도 하여 기본 단 위 평면의 내부 공간에 관한 자료도 얻을 수 있었다.

    둘째, 주민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건물의 기본적인 특 성을 파악하고, 이 두 집합주거 건물이 가지는 가치를 확인하였다. 주민들은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건물이 르 꼬르뷔제의 위니테와 닮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 으며, 한편으로는 크로아티아 근대 집합주거를 대표하는 아파트에 살고 있다는 것에 큰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다. 현대에 지어진 보편적인 아파트보다 공용 공간이 넓어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시설이 낙후되어 현재에는 사용하지 않은 공간들이 있었으며, 일부 주민은 내부 공간을 개조하여 사용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현지답사를 토대로 하여 도면자료를 보완하였다. 본 논문에 사용된 도면은 단행본과 논문에 부분적으로 게재된 도면을 바탕으로 현지답사에서 얻은 사진자료와 치수를 근거로 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부카보르 거리 35-35a, 43-43a 블록 집합주거를 설계한 갈리치와 르 꼬르뷔제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이 집합주거가 등장한 1940~50년대 크로 아티아의 근대건축의 역사적 흔적과 근대 집합주거의 등 장, 자그레브의 도시계획과 부카보르 거리에 대해 간단 히 알아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두 집합주거의 원형이라 고 추측할 수 있는 르 꼬르뷔제의 위니테의 등장 배경과 건축적 특징에 관련된 연구를 한다. 이 연구를 기본으로 자그레브 부카보르 거리 35-35a 블록 건물의 배치, 공용 공간 계획, 단위주호 조합방식, 실내공간구성, 입면 비례 분석, 구조 및 시스템 등의 건축특성의 상관성을 현장답 사를 바탕으로 한 사진과 도면과 더불어 고찰하는 순서 로 진행하고자 한다. Table 3

    2.부카보르 거리 35-35a 블록 집합주거 등장 배경

    2-1.크로아티아의 근대 건축가 드라고 갈리치

    드라고 갈리치(Drago Galić)는 1907년 10월, 그의 20 년 선배이자 롤 모델인 건축가 르 꼬르뷔제와 거의 같은 날 태어났다. 그는 1926년 중등 전문학교를 마친 후, 1929년까지 그의 스승 휴고 얼릭(Hugo Erlich) 건축 사 무실에서 고층건물과 관련된 일을 시작한다. 1929년부터 1930년까지는 조지 댄즐레라(George Denzlera)와 믈라 덴 카울라릭(Mladen Kauzlarić)이 운영하는 건축사무실 에서 실무경험을 쌓았으며 그곳에서 드라고 이블래르 (Drago Ibler)를 만나 그가 교수로 재직 중이던 아카데 미8)에서 1930년부터 1933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수료를 마친다. 아카데미에서 공부하는 동안 갈리치는 드라고 이블래르(1894-1964)와 다양한 건축 프로젝트들을 경험 하게 되고, 아카데미를 수료한 후에도 1939년까지 그들 의 사무실을 운영하며 함께 일했다. 그 후 갈리치는 독 립하여 1941년 프레라도비체바(Preradovićeva)거리에 운 동선수들을 위한 호텔 수영장, 부카보르 거리의 아파트, 우글레나(Uglena)광장의 빌딩 등의 프로젝트를 수행하 고, 1947년에는 자그레브 대학의 건축학부에서 교수로서 의 생활을 시작하여 1975년까지 학장의 자리에서 교육에 힘쓰다가 은퇴하였다. 1983년 크로아티아 건축가 협회 (SAH)의 회장단은 크로아티아 주거 건축 질 향상을 도 모하는 드라고 갈리치 어워드를 설립하였다. 이는 그의 대표작인 부카보르 거리의 아파트가 크로아티아의 근대 주거 건축 개념을 형성하는 데 기인하였음을 의미한다. Fig. 4

    갈리치의 일생을 통틀어 봤을 때, 드라고 이블래르 만큼 그에게 건축적 영향력을 미친 사람은 없었다. 그의 스승 이자 건축동료였던 이블래르는 드레스덴 공과 대학에서 건축을 공부한 후 1921년 파리로 가서 르 꼬르뷔제 주변 의 그룹과 에스프리 누보(L'Esprit Nouveau)9)에 합류하 였다. 이후 이블래르는 갈리치를 포함하여 자신과 같은 이상을 가지고 있던 자그레브의 동료들과 함께 1925년에 서 1935년 사이 소위 ‘자그레브 학파(Zagreb School)'10) 라고 불리는 비공식 건축가 그룹을 설립하는데 힘쓴다. Fig. 5

    이러한 그의 사회적 공동체적 노력은 1929년 설립된 ‘Grupa Zemlja(Earth Group)'11)을 이끄는 것으로 이어 진다. 갈리치가 강한 미적 구성 요소와 함께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원칙을 가지는 건축관을 형성하게 된 데에는 이블래르와 작업했던 것이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파리 에서 르 꼬르뷔제의 영향을 받은 이블래르는 1929년부터 1939년까지 갈리치와 함께 작업했던 10년 동안 그에게 건축적 영향을 주었다. 평생을 크로아티아에서만 건축을 배우고, 작업했던 갈리치의 건물이 르 꼬르뷔제의 그것 과 닮아있다는 논란을 일으키게 되었던 것도 이블래르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Fig 6

    2-2.자그레브 도시계획과 부카보르 거리

    자그레브의 부카보르(Vukovar) 거리는 제 2차 세계대 전 이후 몇 년 동안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큰 건설 현장 이었다. 새 정부의 행정 센터가 된 이 거리의 대표적인 공공건축물들은 사회주의 정치 체제에 의해 형성된 새로 운 시대의 정신을 반영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시기에 세워진 모더니즘 건축은 현재까지도 일부가 남아 있어 1950-60년대 정치적, 사회적으로 급변하던 시기의 크로 아티아 건축을 살펴볼 수 있다.

    전 후 초기의 몇 년 동안 이 거리는 바라딘(Varadin) 거리로 알려졌다. 그 후에도 모스코(Moscow)거리, 벨그 라드(Belgrade)거리, 프롤레타리아 여단(Proletarian Brigadeš)거리로 바뀌었다가 크로아티아가 구 유고슬라 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에서 독립한 이후 마침내 부카 보르 거리로 불리게 되었다. 부카보르라는 명칭은 구유 고 내전 당시 크로아티아 부카보르 지역에서 일어난 세 르비아 민병대에 의한 민간학살에서 비롯되었다. 오늘날 까지 80년의 역사를 가진 이 거리의 이름은 각 시대마다 크로아티아가 거쳐 온 역사적 사건들을 함축하고 있다.

    제 2차 세계대전 후 1940년대 말까지 크로아티아는 사회주의 국가로서 예술과 건축이 정치적으로 지배될 수 있었다. 그러나 1948년 스탈린의 내정 간섭에 반대하는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티토(Josip Broz Tito)의 연설과, 1952년 미로슬라프 클레자(Miroslav Krleža)가 예술에 대한 정부간섭의 가능성을 부인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던 류블랴나에서 열린 작가 회의는 유고슬라비아 에서 예술과 건축의 자유를 보장해 주는 사건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는 상황이 정치적 변화 에 따라 달라지는 시기였다. 게다가 건축은 지극히 인도 적이고 사람중심의 사명을 가지고 있기에 항상 두 세계 대전 사이의 기간에 현대적이고 기능성이 뛰어난 디자인 의 방향을 지향했다. 심지어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고도, 건축은 자연스럽게 혁명과 새로운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 의 이상을 반영할 방법을 찾아내었을 것이다.”12) 부카보 르 거리는 사회주의 정치의 반영과 건축가의 이상이 합 쳐져 만들어낸 수도 자그레브의 대표지역이었다.

    결국 이 거리의 설계는 도시 개발 계획에 반대한 건축 가들이 개정을 위한 엄청난 노력과 수많은 제안을 했음 에도 불구하고 정부에 의해 합법화 되거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블라디미르 안톨리아르(Vladimir Antoliær)와 크로 아티아 도시개발 학회에 의해 만들어진 도시 개발 계획 제안에 따라 1949년에서 1956년 사이에 실행되었다. 그 러나 대부분 현상 공모를 통하여 지어진 거리의 건물들 은 건축가의 의지가 충분히 반영되어 있는 결과물이었다. 갈리치의 새로운 아파트 건물은 도시 개발 계획이 발표 된 후 1952년-1953년에 계획되어 지어졌다.

    1956년, 사바(Sava)강 남측 지역인 노비 자그레브 (Novi Zagreb, New Zagreb)의 새로운 영역의 개발 계 획이 결정되었다. 이제까지 가장 큰 건설 현장의 형성이 이루어진 부카보르 거리는 1960년대에 이르러 자그레브 의 동서 주요도로로서의 위상을 잃게 된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노비 자그레브 지역과 함께 츠린예바츠 (Zrinjevac)부터 사바강에 이르기까지의 도시 중심축은 정부의 도시 계획과 표준화된 디자인의 주거 건물의 건 설에 의해 지배되었다.

    3.위니테 다비타시옹 기본고찰

    3-1.위니테 다비타시옹의 등장 배경

    1952년 프랑스 마르세유에 지어진 위니테는 르 꼬르뷔 제가 20년간 고민해온 새로운 도시와 주거에 대한 생각 이 복합적으로 실현된 결과물이다. 위니테에 포함된 여 러 가지 개념 중 단위주호의 기원이 된 것은 ‘도미노 주 택(Maison Domino)’이다. 이 주택은 주거를 ‘살기 위한 기계’로 보는 그의 개념을 구체화 시킨 것으로, 주택은 자동차와 같이 사용자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해야 하는 것이었고 모든 상황에서 보편 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형태여야만 했다. 이러한 개념을 가지고 만들어진 도미노 주택은 세 개의 수평면과 여섯 개의 사각기둥, 두 개의 층을 연결하는 계단으로 된 단 순한 구성체의 개념이다. 1920년을 전후하여 제시된 ‘시 트로앙 주택(Maison Citrohan)13)’은 도미노 주택의 실제 모델로서 이후 발표된 ‘삼백만 인을 위한 도시’의 집합주 택에 거의 그대로 적용되었다. Fig. 7

    1922년 그는 ‘삼백만 인을 위한 도시’를 발표하면서, 많은 수의 단독주택 대신에 대규모의 집합주택을 건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산업혁명 이후 황폐하 진 도심지의 인구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충분한 식수면적 을 제공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르 꼬르 뷔제는 광대한 오픈스페이스에 건폐율 5%의 마천루를 중심으로 도심에 3,000명/ha의 인구를 수용하고 중심에 는 철도나 비행기를 위한 교통 센터를 배치하였다. ‘삼백 만 인을 위한 도시’ 계획안의 개념은 1935년 동일한 체 계로 구성된 ‘빛나는 도시(La Ville Radieuse)’로 이어졌 고, 1952년 거주 인구 1,000명/ha라는 고밀 집합주거인 위니테로 실현된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부족한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짧은 기간 안에 대규모의 주거를 건설해야만 했다. 이러 한 맥락에서 프랑스 정부는 르 꼬르뷔제에게 마르세이유 의 아파트 계획을 제안하게 되고, 1952년에 완공된 위니 테는 당대 건축가들의 상당한 관심을 받으며 같은 상황 에 처해 있었던 유럽의 여러 국가에 비슷한 개념의 고층 주거건물이 생기는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3-2.위니테 다비타시옹의 건축적 특징

    르 꼬르뷔제가 ‘삼백만 인을 위한 도시’와 ‘빛나는 도 시(La Ville Radieuse)’에서 제시했던 고층집합주택의 개 념은 마르세유의 위니테에서 구체화되었다. 그는 사람을 나이에 따라 영아부터 노인까지 7단계로 구분하고, 여러 단계의 사람들이 조합된 6단계의 가족그룹을 위한 단위 주호를 위니테에서 제시하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14가지 의 단위주호로 나타나며, 주거기능을 갖춘 스튜디오와 호텔 등 일부 서비스 시설을 포함하면 전체 337세대의 단위주호가 총 23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1920-30년대 르 꼬르뷔제는 고밀도 집합주거에서 공 용시설의 경제적, 기능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이 개념은 위니테에서 극대화되었는데, 3층마다 반복되는 7개의 중 복도는 단순히 단위주호로의 진입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사회적 교류가 일어나는 내부가로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계획하였다. 7층과 8층에는 상업시설, 오피스 등의 편의 시설과 17층에 옥상정원, 유치원, 탁아소를 삽입하여 주 택 내부의 가사 시설을 최소화하는 대신 주부가 비효율 적인 가사노동에서 해방되는 것을 기대하였다.

    필로티 상부(1층 하부)의 기계실과 옥상의 조형 등이 거대한 선박을 연상시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살기 위한 기계’로서의 주거개념은 위니테에서도 연속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위니테의 14개 주거 유형 중 기본 단위 주호는 ‘시트로앙 주택’과 평면이 유사하다. 또한 이 기 본 단위주호를 기준으로 변형된 나머지 단위주호들도 3 개 층을 기준으로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반복되어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건물의 규모나 단위주호 내부 공간과 디테일 및 가구의 척도를 결정하는 방식에서 그의 모듈러 이론이 구체적이고도 광 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인체척도와 피보나치수열을 응용한 모듈러 이론은 그의 건물의 모든 수치 결정에 중요한 역 할을 하고 있다.14)

    4.부카보르 거리 35-35a 블록 집합주거 분석

    4-1.개요 및 건축특성

    a건축개요 및 규모

    갈리치의 35-35a 블록 집합주거는 1952-53년에 계획 되어 1954년에 완공되었다. 길이 104m, 폭 12.5m, 총 높 이 40m 크기의 이 건물은 7.4m 간격의 14개의 그리드 를 기준으로 설계되었다. 마르세유의 위니테의 길이가 137m, 폭이 25m, 높이가 70m인 것과 비교하면 체적이 약 4.6배 차이로 갈리치의 아파트가 훨씬 작은 규모이다. Fig. 8

    위니테와 35-35a 블록 집합주거는 그 규모면에서 확 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동시에 단위주호들의 배치도 다른 양상을 보인다. 위니테에서는 337세대가 중복도를 기준으로 단위세대들이 촘촘히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 는 반면 35-35a 블록 집합주거에서는 편복도로 횡방향 판상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필로티의 높이도 두 건물의 스케일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데, 지상으로부터 필 로티 위로부터 시작되는 1층 바닥까지의 높이가 위니테 는 약 7.5m, 갈리치의 집합주거는 5m로 사람이 필로티 아래를 이용할 때의 공간감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35-35a 블록 집합주거에는 62개의 단위주호와 6개의 스튜디오를 합하여 총 68개의 주거 유닛이 있으며, 후에 지어진 43-43a 블록의 집합주거는 35-35a 블록 집합주 거보다 19개의 유닛을 더 포함하고 있다. 단위주호 유형 은 총 10개, 스튜디오는 4개 유형으로 총 14개 유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지하 1층, 지상 7층으로, 1층부터 6층까 지는 복층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7층 스튜디오 사이 의 6개 단위주호는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옥상에는 세탁을 위한 공간과 정원등의 공용 공간이 있다.15)

    35-35a 블록 집합주거와 43-43a 블록 집합주거는 모 두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만들어진 골조를 기본으로 단 위유닛을 삽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외장은 노출 콘크리트(béton brut)의 사용으로 재료를 통한 건축적 표현은 기본적으로 위니테를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Fig. 9

    b배치

    마르세유의 위니테 계획안은 판상형 건물로 남북축에 맞추어 배치되어 있어서, 대지의 형상과 건축물이 약 20 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틀어져 놓여 있다. 르 꼬르뷔제가 이런 배치를 택한 것은 건물이 도시 안에서 하나의 상징 으로 보이고 겨울의 북풍을 막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위 니테의 배치는 도시의 공간구조와 기능적 측면에서 기존 공동 집합주택의 배치에 대한 도전이었다. Fig. 10

    마르세유의 집합주거 계획안은 본래 같은 모습의 거대 주거 동들이 여러 채 군집해있는 모습으로, 르 꼬르뷔제 가 도시적 관점에서 설계했던 것이다. 르 꼬르뷔제는 위 니테와 같은 고밀도의 거대 건축물이 상당한 거리를 두 고 떨어져 배치되면, 고밀도의 주거단지가 녹지와 원활 한 자동차 동선을 함께 보유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도 시 주거환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 나 이런 주거환경은 실현되지 않았고, 이 건축물은 기존 의 도시조직과 매우 상반되어 일반인들에게 새로운 시도 라기보다는 기존 질서에 대한 충돌로 인식되고 있다. Fig 11

    반면에 35-35a 블록의 집합주거는 위니테와 같이 판 상형의 건물이지만, 동서로 뻗어있는 부카보르 거리와 평행하게 정남향의 배치형식을 보이고 있다. 갈리치는 새로운 빌딩을 거리와 조화를 이루도록 합쳐 시각적 경 험의 연속성을 달성하려고 하였다. 35-35a블록 아파트의 규모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니테에 비해 매우 작아 주변의 건물들에 비해 위압적이지 않게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불과 몇 블록 옆의 43-43a 블록에 35-35a 블록 집합주거의 후속 작품을 연속적으로 남기게 되었다. Fig 12

    4-2.단위주호의 유형 및 내부특성

    a단위주호 유형

    르 꼬르뷔제는 위니테에서 6개의 가족 유형을 염두에 두고 그들을 위한 14가지 유형의 단위주호를 제시하였 고, 기타 주거기능을 갖춘 스튜디오와 호텔 등의 서비스 시설을 포함하면 전체 단위주호는 23가지 유형으로 나누 어진다. 각각의 단위주호는 주호로 진입하는 복도 기준 으로 위층으로 올라가는 것은 s(superior), 아래층으로 내려가는 것은 I(inferior)보았을 때 이들 s와 I유형이 수 직적으로 대칭인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유형은 면적, 공 간 구성 등이 조금씩 다르다.

    35-35a 블록의 집합주거는 위니테와 비교해 보았을 때 총 15가지의 타입(7층의 스튜디오 포함)의 단위주호 가 있어 언뜻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위니테와는 달리 기 본타입의 대칭형을 각기 다른 유형으로 간주하였기 때문 에 대칭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총 7개(B, C, C1, T1, T2, S1, S2) 유형이 있다.

    갈리치의 집합주거 역시 단위 주거를 복층으로 하여 세 개 층 마다 반복되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편복도를 통해 수평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복층 단위주호의 기 본형을 B라고 두었을 때, 이를 대칭시킨 Bm 그리고 계 단 방향에 따라 각각 s유형과 i유형으로 나뉘어져 총 4 개 유형을 가지게 된다. (B-i, Bm-i, B-s, Bm-s)

    또 다른 복층 단위주호로는 1층, 6층에서 진입하는 복 층 주거가 있는데 두 개의 코어에서 바로 접근하도록 되 어 있어 복도를 거칠 필요가 없으며, 참이 있는 내부계 단의 형태로 위 또는 아래층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평면 이 정방형의 형태로 기본 복층 유형과는 완전히 다른 구 성방식을 보이고 있다. 이 복층 단취주거 타입은 1,2층과 4,5층의 코어부에 위치해 있다. (C, Cm)

    단층형태의 단위주호는 3층과 6층, 7층에 위치해 있다. 3층과 6층의 단층단위주호는 C, Cm 유형과 마찬가지로 코어부에서 접근하게 된다.(C1, C1m) 7층의 단층주거는 스튜디오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총 3개 유형이 있 다.(T1, T2, T2m) 7층의 스튜디오는 총 6개로, 코어를 통해 접근하는 유형과, 남측의 공동 테라스에서 접근하 는 유형이 있다. (S1, S1m, S2, S2m)

    이처럼 35-35a 블록의 집합주거가 기본유형의 단위주 호인 B형의 대칭과 반복을 통해 전체 건물을 구성한 것 으로 미루어 본다면, 르 꼬르뷔제가 의도적으로 현대인 의 개별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위한 다양한 주거유형을 제시하고 그것들을 한 건물 안에 조합하는 방식으로 위 니테를 설계한 반면, 갈리치는 박스 형태의 건물에서 복 층의 단위주호를 조합했을 때 필연적으로 나오는 단위주 호유형의 평면들을 디자인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b실내공간구성

    위니테와 갈리치의 집합주거 실내공간구성의 가장 뚜 렷한 차이점은 복층 공간의 구성이다. 위니테가 거실 층 높이가 두 레벨에 걸쳐 나누어진 스킵플로어 형식을 갖 추고 있는데 반하여, 갈리치의 집합주거의 거실은 1개 층 높이(2.75m)로, 두 개 층이 분리되어 있어 르 꼬르뷔 제가 시트로앙 주택부터 제안해온 ‘가족주거’유형의 틀을 벗어나고 있다. 단위주호로 진입하는 복도의 위치 역시 단위주호공간에서 거실이 가지는 의미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위니테의 경우 기본 단위주호 넓이의 반인 작은 층 쪽에서 진입하게 되고 자연히 이 공간이 거실이 된 다. 위층(또는 아래층)까지 거실 층높이가 통합되어 있어 협소한 공간이 주는 답답함은 조금 해소되지만, 거실에 부엌과 식당, 테라스까지 연결된 형태로 2층의 공간이 전부 침실로 쓰이는 것에 비해 전체 주거에서 거실이 차 지하는 비중은 작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갈리치의 35-35a 블록 집합주거에서 거실은 보 다 전통적인 구성을 택하고 있다. 북측의 외부 편복도를 통해 단위주호에 진입하게 되며, 복도가 없는 레벨인 2 층과 5층에 거실 너비의 반인 침실이 복층으로 있다. 현 관과 가장 가까운 공간은 부엌과 욕실로, 계단으로 분리 된 이 공간을 지나야 비로소 남쪽으로 향한 거실이 나온 다. 거실의 너비는 7m로 마르세유 위니테의 약 2배이며, 위니테처럼 발코니가 전면에 걸쳐있는 것이 아니라 거실 전체 폭의 2/5에 걸쳐 있으나 나머지 부분도 전면에 창 문이 뚫려있어 충분한 채광을 확보하고 있다.

    위니테의 부엌과 식당이 거실과 통합되어 있는데 반하 여, 35-35a 블록의 집합주거를 비롯한 드라고 갈리치의 집합주거에서는 부엌과 욕실이 계단을 통해 거실과 분리 되어 있다. 주방과 거실 사이의 연결통로에는 다용도실 이 있으며 주방의 큰 창은 북쪽을 향해 있어 작업할 때 적당한 빛이 들어오게 되어있다. 43-43a 블록의 집합주 거의 단위주호 평면은 35-35a 블록의 집합주거와 유사 하나 거실의 남측에 외부 테라스가 없다.

    4-3.공용 공간 계획

    위니테는 공용 공간에 대한 꼬르뷔제의 생각이 실험적 으로 반영된 건물이다. 위니테에는 유치원, 어린이 수영 장, 헬스클럽이나 레이스 트랙 등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 었다. 또한 건물 전체 높이의 중간 부분인 7층과 8층에 는 상업시설과 오피스가 위치하고 있는데, 르 꼬르뷔제 의 예측과는 달리 빈약하게 이용되고 있다. 집합주거에 서 요구되는 사회생활 프로그램이 잘못 추정되어 설계되 었기 때문에 마르세유의 위니테는 도시 주거환경의 기능 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마르세유의 위니테 이후 1953년 낭트 레제 (Nante)에 건축된 유니테를 비롯하여 독일의 베를린 (Berlin, 1957), 브리에(Briey, 1963), 퍼미니(Firminy, 1965)의 유니테에는 중간층에 공용시설을 설치하지 않았 는데, 이것으로 원래 르 꼬르뷔제가 생각하던 이상적 공 동체로서의 유니테의 의미는 반감될 수밖에 없었다.16) Fig 13

    갈리치는 35-35a블록의 집합주거에 처음부터 많은 공 용시설을 넣지 않았다. 1층의 필로티와 중심에 대칭인 두 개의 코어로 접근하는 홀, 옥상의 세탁공간과 테라스 가 공용시설의 전부이다. 그러나 갈리치가 제공한 최소 한의 공용시설은 현재도 입주민들에 의해 잘 활용되고 있다. 후에 지어진 43-43a 블록의 집합주거는 이보다 공 용시설이 더 축소되었다. 각 주호로 접근하는 동선과 승 강기의 기계실 위로 솟아있는 마지막 층의 두 개의 방을 제외하면 주민이 공용으로 이용하는 공간은 없다. 이는 전작인 35-35a 보다 합리적인 설계로 19개소의 단위주 호를 더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며 마르세유 위니테의 후 속 유니테의 경우와 같이 가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주거공간을 위해 실용적이지 않은 공용 공간을 최소화 한 것으로 보인다.17) Fig 14

    유니테의 각 주호로 진입하는 내부 복도는 2.15m의 낮은 층높이에 약 130m의 엄청난 길이를 가지고 있으나, 건축물 평면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승강기 홀을 거쳐 유 입되거나, 끝부분에 위치한 피난계단을 거쳐 들어오는 측면 창의 햇빛이 전부이므로 인공조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채광이 부족해 다소 어두운 내부 복도는 열악한 건축 환경을 조성하고 있어 르 꼬르뷔제가 기대했던 사 회적 만남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의 내부가로는 그 역할 을 다 하지 못하고 있다. Fig 15

    반면, 35-35a과 43-43a 블록의 집합주거는 편복도 형 식을 택하고 있다. 편복도는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지 만 갈리치는 두 개의 수직 동선을 제공함으로써 코어와 가장 멀리 떨어진 주호에 이동하는데 거쳐 가는 주호의 수를 줄이려고 했다. 복도는 폭 1.2m로 넓지 않으며, 외 기에 면해 있고 한쪽 면은 낮은 난간으로 막혀있다. 공 간의 규모와 형태로 보아 공용 공간 보다는 단위 주거로 진입하는 기능적 공간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Fig 16

    4-4.단위주호의 조합

    a주호조합방식

    르 꼬르뷔제는 다양한 규모의 가족 구성원을 위한 집 합주거 건물로서, 기본 단위 주거 이외에도 여러 단위주 거를 조합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위니테의 단위 주호가 337개인 것을 감안하면 총 68개의 단위주호에 8 개의 타입을(대칭평면 제외) 가지고 있는 35-35a 블록 집합주거도 다양한 평면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 다. 그러나 대량생산과 확장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위 니테가 다소 복잡한 패턴으로 얽혀있는 반면, 편복도를 두고 복층 기본 유닛과 코어에 접해있는 유닛이 3층 주 기로 반복적인 패턴을 보이는 갈리치의 집합주거는 무한 히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다. Fig 17

    b비례

    1948년 르 꼬르뷔제는 당시 미학에서 널리 통용되고 있던 피보나찌(Fibonacci) 수열에 근거한 황금비와 인체 비례와의 상관관계에 따른 이론인 ‘모듈러(Modulor)를 발표한다.18) 황금비에 의해 산출된 치수들이 건축 실무 에 필요한 다양한 치수 크기를 만들기 위해 블루(blue) 와 레드(red)라는 두 시리즈를 교차시켜 건축에 필요한 치수를 확보하게 된다. 이 이론은 미터 체계로 사용되던 건축물의 치수의 크기를 자신의 체계로 대체하여 건축 공간에 필요한 모든 치수로 사용하려는 것이 그의 의도 였다. 르 꼬르뷔제는 『The Modulor』라는 책의 한 장 (chapter)을 할애할 정도로 위니테에서 모듈러 이론의 실용성과 적용가능성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책에는 위니테의 선반이나, 부엌 가구의 크기나 높이 등 작은 치수 뿐 아니라 평면, 단면, 입면에 이르는 건물의 모든 치수가 모듈러 치수에 기반을 두고 그 가능성을 설명하 고 있다. 그는 또한 모듈러 이론이 건축공간의 척도체계 뿐 아니라, 건축 산업의 표준화 및 대량생산에 까지 고 민하게 된다.19) 이 체계의 우수성을 증명이라도 하 듯, 르 꼬르뷔제는 그의 마지막 작품인 퍼미니 교회 (Firminy Church)까지 모듈러 체계를 일관되게 사 용하고 있다.20) Fig 18

    반면 갈리치의 집합주거의 평면 및 입면 요소에서 르 꼬르뷔제의 모듈러와 같은 비례 체계는 나타나지 않는다. 입면은 단위주호의 거실과 발코니 폭의 비례(약 1:1.4)가 교차·반복되며 단위주호의 조합이 그대로 드러나는 패턴 을 이루고 있다. 르 꼬르뷔제가 위니테의 전체 계획에서 모듈러 체계를 적용시켰음에 반하여 갈리치의 집합주거 에서는 특정 체계에 머물러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Fig 19

    c구조 및 시스템

    갈리치의 집합주거는 위니테와 같이 철근 콘크리트 골 조에 단위유닛을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철근 콘크리트 골격을 지지하고 있는 필로티 기둥은 위니테처 럼 위로 갈수록 굵어지는 형태가 아니라 정면에서 보았 을 때 일정한 굵기로 올라가는 형태로 35-35a 블록 집 합주거의 경우 1층 상가의 벽체와 결합되어 있다. 필로 티 기둥을 비롯한 전체 철근 콘크리트 골격은 베통 브뤼 (Béton Brut, 노출 콘크리트)의 사용으로 표면이 거칠게 마감되어 있으며, 북쪽 입면의 난간에 쓰인 스크린은 조 립식 콘크리트로 위니테에 쓰인 것과 매우 유사하다. 옥 상의 테라스에는 지중해 건축의 특징으로 보이는 기와형 태의 벽돌이 부분적으로 쓰였다. Fig 21

    르 꼬르뷔제는 1930년대 이후 빛을 조절하고 규제하기 위하여 브레이즈 솔레이유(Brise Soleile)를 도입하였으 며 이는 유니테 다비다시옹에도 적용되어 햇빛의 차단과 유입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입면에 조형적 요소로서 기 능하고 있다. Fig 22

    35-35a 블록 집합주거와 43-43a 블록 집합주거의 북 측 입면에서의 차양의 사용은 동일하다. 긴 매스를 관통 하는 두 개의 수직 코어에서 C, Cm 유형의 주거가 위치 한 2층과 5층을 제외하고 격자패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 트 스크린이 덮여 있어 공용 공간에 유입되는 햇빛의 양 을 조절함과 동시에 편복도의 배치로 수평적 요소가 강 조되는 북측 입면에 수직적 요소를 강조함으로써 활기를 불어넣는다. Fig 23

    반면 35-35a 블록 집합주거와 43-43a 블록 집합주거 의 남측 입면에서 차양의 사용에는 평면에 따른 차이가 있다. 35-35a 블록 집합주거의 경우 남측 일부에 발코니 가 있어 자연스럽게 입면의 깊이변화를 만들어 내며 거 실의 창문부분에는 브레이즈 솔레이유를 사용하는 대신 거주자가 직접 햇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루버 (louver)가 설치되어 있다. 거실에 발코니가 없는 43-43a 블록 집합주거의 전면 창에는 브레이즈 솔레이유의 적 극적으로 도입되어 남측 입면이 보다 투명한 인상을 가 진다.

    4-5.소 결

    갈리치의 자그레브 부카보르 거리 35-35a 블록의 집 합주거를 도면과 현지답사를 통한 사진자료로 분석하였 다. 나아가 단위주호, 공용 공간 그리고 주호조합이 라는 세 가지 분석의 틀을 사용하여 르 꼬르뷔제의 위 니테와 비교한 결과 유사점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었 고, 그 결과는 다음의 도표로 정리하였다.

    5.결론

    본 연구에서는 크로아티아의 근대 건축가 갈리치가 설 계한 자그레브 부카보르 거리 35-35a 블록 집합주거를 분석하고 르 꼬르뷔제의 위니테와의 상관성을 확인하였 다. 먼저 갈리치의 건축적 업적과 부카보르 거리 도시계 획의 이해를 통해 35-35a 블록 집합주거의 건축 배경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위니테의 등장 배경을 이해하고 건축적 특성을 배치 및 규모, 단위주호, 공용 공간 및 주 호조합이라는 네 가지 틀로 나누어 기본고찰을 시행하였 다. 이러한 기준은 부카보르 거리 35-35a 블록 집합주거 의 분석의 틀로 사용되었으며, 현지답사와 보완된 도면 자료를 통해 35-35a 블록 집합주거의 건축적 특징을 분 석하여 위니테와의 상관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두 집합주거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갈리치의 집합주거 의 구조와 재료 및 차양시스템 그리고 위에서 언급하지 않은 벽면의 색채 사용 등 외관에서 보이는 많은 부분이 위니테와 유사하다. 또한 337세대의 위니테와 68세대의 35-35a 블록 집합주거가 그 규모면에서도 확연한 차이 를 보이고 있어 필로티 높이와 형태의 육중함, 공용시설 의 면적 등에도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판 단된다. 또한 이 두 집합주거의 단위세대의 배치 양상도 다르게 보이는데 위니테의 경우는 중복도를 중심으로 종 방향으로 단위세대들이 배열되어 있는 반면 35-35a 블 록 집합주거는 편복도형에 횡방향으로 단위세대들이 판 상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물론 대지의 상황이나 주변여 건 혹은 문화적, 지역적 여러 조건이 다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두 집합주거의 규모가 상이한 것과 복층의 단위 주호가 복도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있는 방식을 제외 하고도 공간 계획상의 많은 부분에서 차이점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일련의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자그레브 부카 보르 거리 35-35a 블록 집합주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르세유의 집합주거 계획안보다 체적이 약 4.6 배나 작은 규모로 주변건물의 스케일에 대응한 현실적인 계획안이며 정남향으로 길게 배치된 보편적인 집합주거 의 배치형식을 따르고 있다.

    둘째, 현대인의 개별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일일이 반 영하는 것을 시도하기보다 거실이 강조되는 전통적인 구 성의 가족을 위한 평면을 가지고 있다.

    셋째, 1층의 홀과 옥상의 세탁 공간, 공용테라스 등의 최소한의 공용 공간만을 제공하는 대신 외부의 편복도로 각 단위주호에 접근하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커뮤니티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넷째, 복층의 단위주호를 기본으로 편복도를 사이에 두고 조합되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것이 세 개 층 마다 반복되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보다 단순한 조합방 식으로 주거의 대량생산이라는 본래 건축의도를 충실하 게 반영하고 있다.

    부카보르 거리 35-35a 블록과 43-43 블록의 두 집합 주거는 크로아티아에서 근대건축이 번성하던 시기 자국 출신의 건축가 갈리치에 의해 당시 최대의 도시개발 현 장에 지어진 집합주거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정부의 요청으로 지어진 이 건물은 당시 주거난의 보편적인 해 결책으로 등장한 르 꼬르뷔제의 위니테를 모티브로 하여 계획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비교분석 결과 평면계 획과 단위주호 조합방식, 공용 공간의 계획 등 많은 부 분에서 차이점이 발견되며 이 차이점으로 갈리치가 주택 의 대량생산이라는 소기의 목적에 충실했고, 크로아티아 의 지역적 특성과 시대적 상황에 맞추어 이 집합주거를 설계하였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크로아티아라는 특정 국가의 집합주거 에 한하여 위니테로부터 받은 영향과 지역적 특성이 반 영된 사례를 분석하였으나 추후 이와 관련된 다른 연구 들을 통해 오늘날 보편적인 집합주거의 형태가 된 위니 테의 건축적 특성의 선택적 차용과 발전을 통해 미래 집 합주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 진다.

    Figure

    JAH-24-7_F1.gif

    Palača Slaveks (left) and Kemikalija, Apartment building (right)

    JAH-24-7_F2.gif

    Kemikalija Apartment building showing facade pattern using sgrafitto technique and staircase

    JAH-24-7_F3.gif

    35-35a Block Housing, Vukovar St. (left), 43-43a Block Housing, Vukovar St (right)

    JAH-24-7_F4.gif

    Drago Galić in 1990 and Drago Galić award plaque

    JAH-24-7_F5.gif

    The Wellisch Rental Residential Building, Drago Ibler, 1930

    JAH-24-7_F6.gif

    Vukovar St. Zagreb in 1950s

    JAH-24-7_F7.gif

    Domino System (left) and Maison Citrohan, floor plans (right)

    JAH-24-7_F8.gif

    Piloti, Unité d'Habitation (left) and 35-35a Block Housing (right)

    JAH-24-7_F9.gif

    Unité d'Habitation, plot plan (left), Locations of the 35-35a and 43-43a Block Housing, Vukovar St. (right)

    JAH-24-7_F10.gif

    Kitchen view from the entry hall, 35-35a Block Housing

    JAH-24-7_F11.gif

    Sections of the 35-35a Block Housing

    JAH-24-7_F12.gif

    B-s Type unit plan, 43-43a Block 1H2.o uDsreinssg

    JAH-24-7_F13.gif

    The 35-35a Block Housing, Unit Clustering diagram

    JAH-24-7_F14.gif

    The 35-35a Block Housing, piloti (left) and the 43-43a Block Housing, piloti (right)

    JAH-24-7_F15.gif

    Community Areas, Unité d'Habitation

    JAH-24-7_F16.gif

    The 35-35a Block Housing, community areas

    JAH-24-7_F17.gif

    The 35-35a Block Housing, unit layout

    JAH-24-7_F18.gif

    The Modulor system in the facade, Unité d'Habitation (left) and Le Corbusier’s drawing of the Modulor (right)

    JAH-24-7_F19.gif

    The 35-35a Block Housing Facade, Ulica grada Vukovara

    JAH-24-7_F21.gif

    The 35-35a Block Housing, community terrace and wall decoration

    JAH-24-7_F22.gif

    The 35-35a Housing Block, screen wall on the north elevation

    JAH-24-7_F23.gif

    The 35-35a Block Housing, louvers on the south elevation (left) and the 43-43a Block Housing, brise soleile on the south elevation (right)

    Table

    Program comparison between Unité d′Habitation and 35-35a Block Housing

    Standard housing prototype of the 35-35a Block Housing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between Unité d′Habitation and 35-35a Block Housing

    Footnote

    • Laslo, Aleksander,『Architectural Guide ZAGREB』, p.17
    • Ivanković, Vedran, 『Le corbusier and Drago Galic - Critical Experiments for the Architecture of Apartment Building』, Prostor, 17, 2009, p.29
    • 스그라피아토라고도 함. 서양 건축 공예기법의 하나. 건축에서 초칠도료가 마르기 전 선각에 의해 도양을 나타내는 기법으로 프레 스코 화법과 병용한다.『미술대사전(용어편)』, 1998, 한국사전연구 사.
    • Laslo, Aleksander,『Architectural Guide ZAGREB』, p.200
    • Kim, Kyoung-Yon, Jun, Byung-Kweon,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Kunio Maekawa's High-Rise Harumi Aprtment and Relationship with Le Corbusier's Unite d'Habit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27, No.8, 2011.08, pp.159-167.
    • 1957년 크로아티아의 Arhitektura라는 건축 잡지에서 이 건물을 두고 갈리치의 독창성에 의구심을 표현하는 의견에 대하여, 이바노 코비치 교수가 그 기사를 반박하는 논문을 발표하게 된다. 『Stambena zgrada u Zagrebu − Ulica Proleterskih brigada』, Arhitektura, 1-6 (11): 5-11, Zagreb, Ivanković, Vedran의 논문 『Le corbusier and Drago Galic - Critical Experiments for the Architecture of Apartment Building』, Prostror, 17, 2009에서 참조 하였음.
    • Academy of Fine Arts로, 자그레브 대학의 일부
    • 제1차 세계대전 후 프랑스에서 일어난 예술혁명운동의 하나로, 문학 미술 건축 음악 등 넓은 범위에 걸쳐 그 표현과 형식을 근대 정신에 합치시키고자 했던 시도를 의미한다. 에스프리 누보는 ‘새로 운 정신’이란 뜻으로, 1925년 파리에서 개최된 장식예술박람회에 건 축가 르 코르뷔제가 세운 전시관에 붙여진 명칭이었다.『세계미술 용어사전』, 1999, 월간미술
    • 불필요한 전통주의의 유산(오너먼트, 장식적 입면들)과의 급진 적인 단절을 원하는 모더니즘 건축가로 이루어진 그룹
    • 크로아티아의 예술집단으로 자그레브에서 1929-1935년 활동한 예술가, 건축가, 지식인의 모임. 인상주의나 신고전주의와 같은 외국 의 영향에 대한 자신의 예술적 독립을 목적으로 마르크스주의를 지 향하는 방향이었으나, 사회주의의 현실을 신봉하지는 않았다.
    • Ivanković, Vedran, 『Moscow Bulevard - Vukovar Street in Zagreb, 1945-1956』, Znanstveni Prilozi, 14(2006), p.195
    • 시트로앙 주택(Maison Citrohan)의 ‘시트로앙’이라는 이름은 프 랑스의 자동차 회사 ‘시트로엥(Citroёn)’에서 빌려온 것으로, ‘자동차 와 같은 주택’ 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 Le Corbusier, 『The Modulor 1&2』,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4.
    • Park, Jin-Ho, 「A Highrise Urban Village: A Framework for Tectonic Mutation」, Open House International, Vol.31, No.3, pp.32-42.
    • Sohn, Sei Kwan,『A History of Urban Housing』, Youlhwadang Publishers, 2009, p.321
    • Ivanković, Vedran, 『Le corbusier and Drago Galic - Critical Experiments for the Architecture of Apartment Building』, Prostor, 17, 2009, p.27
    • The Modulor는 1948년 발간되었고 영어로는 Peter De Francia and Anna Bostock에 의해 1954년 번역되어 발간되었 다.
    • Le Corbusier, 『The Modulor 1&2』,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4.
    • Le Corbusier, 『The Church Saint-Pierre at Firminy』, Basel: Birkhauser, 2010.

    Reference

    1. Curtis William JR (2007) 『Modern Architecture』 , Phaidon,
    2. Ivankovic Vedran (2006) 『Moscow Bulevard - Vukovar Street in Zagreb, 1945-1956』 , Znanstveni Prilozi, Vol.14
    3. Ivankovic Vedran (2009) 『Le Corbusier and Drago Galic - Critical Experiments for the Architecture of Apartment Building』 , Prostor, Vol.14
    4. Kim Kyoung-Yon , Jun Byung-Kweon (2011)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Kunio Maekawa's High-Rise Harumi Apartment and Relationship with Le Corbusier's Unite d'Habitatio 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27 (8) ; pp.159-167
    5. Lamza Lida (2008) 『Cultural Sentiment and Urban Space in Modern Zagreb』 ,
    6. Laslo Aleksander (2011) 『Architectural Guide ZAGREB』 , Zagreb,
    7. Le Corbusier (1954) 『The Modulor 1&2』 , Harvard University Press,
    8. Le Corbusier (2010) 『The Church Saint-Pierre at Firmin y』 , Birkhauser,
    9. Park Jin-Ho 「A Highrise Urban Village: A Framework for Tectonic Mutation」 , Open House International, Vol.31 (3) ; pp.32-42
    10. Sohn Sei Kwan (2009) 『A History of Urban Housing』 , Youlhwadang Publishers, ; pp.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