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598-1142(Print)
ISSN : 2383-9066(Onlin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24 No.4 pp.19-28
DOI : https://doi.org/10.7738/JAH.2015.24.4.019

A Study on Diversification of Open Space and Formation of Neighborhood at the Singapore Public Housing in 1950s

Don-Son Woo*, Chung Seok Tak
Corresponding author : woods@karts.ac.kr
April 15, 2015 August 27, 2015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ingapore public housing supplied by Singapore Improvement Trust (SIT) in the 1950s. Focused on the Princess Elizabeth estate and Princess estate of Queenstown, this study surveys their construction backgrounds, site plans, unit plans, architectural designs and meanings. The Princess Elizabeth estate was the model estate for workmen’s flats. This estate showed mixed blocks of flats arranged around a large quadrangled open space for children. The Princess estate was a neighborhood of Queenstown, Singapore’s the first new town. At this Estate, there were some new architectural occurrences departing from the Tiong Bahru Estate. Those are the appearance of high-rise typology, and the increased specificity in the functions of open spaces. Thus the open space became to get hierarchy, and divided an estate to small neighborhood units. For the SIT, open space is synonymous with the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purposeful creation of open space, the SIT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sanitation and to make a neighborhood unit which can be pleasant place for regional community.


1950년대 싱가포르 공공주택에서 오픈 스페이스의 다양화와 근린의 형성에 관한 연구

우 동 선*, 탁 충 석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초록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2012R1A1A2008201

    1.서 론

    싱가포르 개선신탁(Singapore Improvement Trust, SIT)은 영국의 식민정부가 1927년에 싱가포르의 주거환 경을 개선하기 위해 설립된 조직이다.1) SIT의 최초 프 로젝트는 싱가포르 최초의 공공주택단지인 티옹 바루 단 지(Tiong Bahru Estate)의 건립으로, 1936년부터 완공 하기 시작하였다. 이후에 SIT는 1959년에 해체할 때까지 싱가포르 공공주택의 건설을 주도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 싱가포르 사회는 새로운 전환기 를 맞이하였다. 일본의 싱가포르 점령과 영국의 영향력 약화 등을 경험하면서, 싱가포르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 하여 고민하기 시작하였다.2) 또한, 인구과밀과 그에 따른 주택난(住宅難)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에 특히 말레이 반도로부터의 대규모 이주와 1950년대의 베이비붐으로 가속하였다. 인구는 1931년에 560,000명이 1947년에 941,000명으로 증가하였고, 1957년까지 1,445,929명에 달 하였고, 78.6%가 도심에 거주하였다.3) 1950년대 초까지 약 40만 명이 무단 거주지에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 다. 이를 해결해야 할 SIT는, 새로운 도로와 오픈 스페 이스 등의 건설 같은 책임도 지고 있었기에, 주택단지를 건설하는데 자금난과 인력난을 안고 있었다. 주택위원회 (Housing Committee)가 심각한 주택위기를 전담하기 위해 1947년에 SIT 내부에 따로 꾸려졌다.4)

    이 연구의 목적은 SIT가 1950년대 초 싱가포르에 건 설한 두 개의 단지를 통해서 오픈 스페이스의 다양화와 근린의 형성을 살피고자 한다. 싱가포르 개선신탁(SIT) 과 주택개발청(Housing and Development Board, HDB) 양쪽 모두에게, 오픈 스페이스는 도시 환경의 개 선을 의미하였기 때문이다.5) 이 연구는 두 개의 단지에 서 특히 공공주택의 외부공간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단지는 프린세스 엘리자베스 단지(Princess Elizabeth estate)와 퀸즈타운(Queenstown)의 프린세스 단지(Princess estate)이다. 프린세스 단지는 프린세스 마가렛 단지(Pricess Margaret estate)를 줄여서 부르는 명칭이다.6) 전자는 공장지대 주변에 그 근로자들을 위한 주택단지로 계획한 것이고, 후자는 신도시 퀸즈타운에서 맨 처음 건립한 것이다. 전자는 주변에 여러 단지들이 들어서기 전에 시범적으로 지은 소규모의 단지였고, 여 기에서는 단지를 구성하고 있는 개개의 블록들을 다양한 층수와 크기로 구성하였고, 오픈 스페이스들을 기능과 크기에서 다양화하였다. 후자는 보다 대규모의 단지로, 이곳에서는 블록의 형태를 더욱 다양화하였고, 오픈 스 페이스의 기능들을 분화시켰다.

    이 연구의 관심은, 1959년에 싱가포르에 자치령이 수 립하기 직전에, 영국의 식민정부가 이입한 근대적 건축 과 도시의 개념이, 변화하는 식민지 사회인 싱가포르에 서 어떻게 전개되어 나갔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7)

    2.프린세스 엘리자베스 단지(1950)

    2-1.산업지구의 노동자 주택

    프린세스 엘리자베스 단지는 1947년에 진행한 영국의 엘리자베스 공주(Princess Elizabeth)와 에딘버러 공작 (Duke of Edinburgh)의 결혼식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기금으로 건설되었다. 이 기금으로 SIT는 위한 두 개의 주거단지를 건설하였고, 그 중 하나가 부킷 티마(Bukit Timah) 지역에 세워진 프린세스 엘리자베스 단지 (Princess Elizabeth estate)이다. 왕실의 결혼식기념위원 회가 자금을 지원하였고, 프랑스계 은행8)이 12 에이커의 땅을 기부하였다.9) 이 단지는 명칭이나 건립과정에서 영 국 왕실의 ‘자선(philanthropy)’을 드러내고 있다.10)

    싱가포르 무역항과 철도로 연결되는 이 지역은 포드 (Ford) 자동차 공장, 흄(Hume) 배터리 공장 외에도 통 조림, 로프, 석탄, 정유 등의 다양한 공장들이 밀집해 있 던 산업 지구였다.(<Fig.1>) 이 산업지구의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의 주택건립계획이 수립되었는데, 그 계획 중에서 최초로 구현된 것이 프린세스 엘리자베스 단지였다.

    2-2.다양한 블록의 혼용

    1950년에 착공해 1952년에 완공된 이 단지는 총 24개 의 블록으로 구성하였다. 84개의 기능공의 주택(artisan’s quarter)과 84개의 노동자들의 아파트(workmen’s flat), 18개의 기능공들의 공방(artisans’ shop)이 계획되었다. 동서로 긴 형태의 땅 위에, 서측 언덕 위에는 노동자들 의 아파트를 세웠고, 동쪽의 평지 위에는 기능공들의 주 택과 숍하우스를 세웠다. 평지에는 저층의 블록들이 건 설되었고, 언덕으로 올라갈수록 고층의 블록들이 세워진 것이 특이하다. 하나의 단지 내에 여러 형태의 블록들을 모아놓은 모습이다. 각 블록의 층수는 <Fig.2>와 <Tab.1>에 표기하였다.

    단층의 건물부터 7층의 건물까지를 하나의 단지 내에 건축함으로써, 단지가 더욱 다양하고 중첩한 형태를 갖 게 되었다. 이처럼 층수를 달리하는 블록들을 혼용하는 수법은 1940년대 후반부터 서서히 나타난다. 대개는 <Fig.3=과 같이 단층의 기능공의 주택과, 3-4층의 노동 자 아파트를 구역을 정해서 나누어 배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단지는 경제성 등을 이 유로 동일 층수와 동일 형태의 블록들로 구성하였다.11) 예를 들어서, 프린스 엘리자베스 단지와 거의 비슷한 시 기에 건설한 전후(post-war) 티옹 바루 단지도 모두 동 일한 4층에 동일 형태의 블록들로 구성하였다.12)

    2-3.단지 내 운동장의 설치

    프린세스 엘리자베스 단지에서는, 다양한 층수의 블록 들의 등장과 함께, 서로 성격이 다른 오픈 스페이스들이 나타난다. 싱가포르 초기 공공주택 단지에서 나타나는 오픈 스페이스들이, 블록과 블록 사이에 원활한 환기와 채광 등을 위해 ‘비워둔 공간’이었다면, 이 단지의 오픈 스페이스들은 기능을 갖기 시작하였다.

    가장 두드러진 것은 단지 가운데에 보이는 운동장이 다. 마치 운동장을 둘러싸고 단지가 형성한 것처럼 보일 정도로, 단지의 규모에 비해서 이 운동장은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운동장 서측에 블록 하나를 경계로 3개. 의 배드민턴 코트를 두었다. 블록 사이의 보행로와 녹지 공간은 주변 블록들의 높이에 따라 그 넓이를 달리하였 다. 따라서 층수가 높은 블록들 사이의 오픈 스페이스는 저층 블록들 사이의 그것보다 넓었다.(<Fig.4>, <Fig.5>)

    이렇게 오픈 스페이스가 구체적인 기능과 형태를 갖으 면서, 오픈 스페이스 간에는 위치와 규모에 따라서 위계 가 생겨났다. 운동장의 설치는 이후의 싱가포르 공공주 택 단지들에서 필수요건으로 자리를 잡았다. 도면에서 운동장이란 명칭에 대한 표기는 ‘놀이터’, ‘어린이 운동장’ 등으로 단지마다 다르기도 하지만, 이를 명기함으로써 ‘오픈 스페이스’라는 표기와는 분명히 성격을 구분 짓고 있다. 13) 어린이들이 뛰어 놀 수 있는 안전한 곳을 단지 내에 마련하는 작업이, 당시에 중요한 근린 개념의 하나 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Fig.6>)

    소규모의 단지이기 때문에, 블록과 블록 사이에 차량 을 위한 도로는 설치하지 않았고, 보행로만 두었다. 도로 는 단지의 동측과 남측의 경계부에만 두었고, 이 도로까 지 노선버스를 운행하였다.

    단지가 완공된 후 1952년에 커뮤니티 센터(<Fig.2> 의 8번 블록)가 개관했고, 1955년에는 단지의 서남쪽에 면한 곳(<Fig.2>의 21, 22블록의 아래 부분)에 새로 땅 을 기부 받아서 프린세스 엘리자베스 초등학교가 개교 하였다.

    2-4.노동자 주택의 모델

    SIT는 1951년 1월에 ‘싱가포르의 가정들(Homes of Singapore)’이라는 전시회를 개최하였다. 이 전시의 개막 식에서는 싱가포르에 ‘그린벨트’라는 개념을 전파한 도시 계획가 조지 페플러 경(Sir George Pepler)이 연설하였 다.14)(<Fig.7>) 1948년의 첫 번째 전시가 티옹 바루를 중심으로 SIT의 근대적 주택을 선보였던 것이라면,15) 이 번의 전시는 노동자 계층을 위한 주택계획을 알리고자 한 것이었다. 주제는 ‘노동자들의 플랫’이었고, 큰 비중을 캄퐁 실랏 단지(Kampong Silat estate)와 프린세스 엘 리자베스 단지에 두었다.16)

    이 전시회를 기점으로 SIT의 ‘노동자 주택’이 일반화 하고 유형화하였다.17) 그리하여 이후의 노동자들을 위한 주택 계획안들에서 프린세스 엘리자베스 단지가 하나의 유형이 되었다. 프린세스 엘리자베스 단지는 단위 주택 의 설계 요소에서 뿐 아니라 단지 계획 차원에서도 이후 의 경향으로 정착하게 되는 설계 요소들을 많이 내포하 고 있었다. 그 설계 요소들이란, 여러 형태의 블록을 하 나의 단지에 함께 사용하는 것과, 단지 내부에 대규모 운동시설을 설치하는 것과, 다양한 공개공지를 두는 것 을 말한다.

    싱가포르 독립 이후에는 이 단지가 국가적 주요 인사 들이 수차례 방문해야할 만큼 중요한 곳이 되어갔다. 싱 가포르 정부가 공공주택의 효율적인 공급에서 정권의 안 정을 꾀했기 때문이었다. 1963년에 이 단지의 커뮤니티 센터가 이전 개관하였는데, 이때 리콴유(Lee Kuan Yew, 1923-2015) 수상이 머릿돌을 놓았고 기념 연설을 행하였다. 리콴유 수상은 1972년에도 다시 이 단지를 방 문하였다. 고켕쉐(Goh Keng Swee, 1918-2010) 부수상 을 비롯하여, 정부 주요 인사들이 이 단지를 방문했었다. 이 단지는 1996년 철거되었고, 그 자리는 2014년 현재 공지로 남아있다.

    3.퀸즈타운, 프린세스 단지(1953)

    3-1.최초의 신도시 건설, 자족 공동체 도시

    1950년대까지 150만 명이 넘는 인구 중 4분의 3이 싱 가포르 전체 면적의 1%도 안 되는 곳에 모여 살고 있었 다. SIT는 위성도시를 계획하였고, 이전에 늪, 묘지, 농 경지였던 보 베 캉(Bo Beh Kang) 마을을 그 부지로 결 정하였다. 이곳은 영국 식민정부가 1926년부터 도시 개 발과 확장을 위해 가지고 있던 부지로, 총 465ha의 넓이 를 신도시 개발을 위해 배당하였다.(<Fig.8>)

    SIT는 본래 대규모 부지를 구하기가 어려웠는데, 이 퀸즈타운(Queenstown)의 부지는 이전의 군사기지에 저 습지를 더한 것이었다.18)

    퀸즈타운은 싱가포르 최초의 위성도시를 목표로 계획 하였고, 그곳에는 1953년에 최초의 플랫을 건설하였다. 당시 신문기사는 70,000명의 사람들을 위한 위성도시가 500 에이커의 땅에 건설될 것이라고 보도하면서, SIT 의 장 T. P. F. 맥니스 씨(Mr. T. P. F. McNeice)의 말을 인용하여 이곳이 쇼핑센터와 학교, 병원, 극장, 시장, 그 밖의 편의시설들을 갖춘 자족도시가 될 것이라고 하였 다.19)

    신도시 실행부(New Towns Working Party)는 신도 시 디자인과 건설에 몇 가지 원칙들을 만들었다. 이 원 칙들은 신도시를 위한 계획과 도시 디자인, 건축 표준 등과 공동체를 지원하는 편의시설 등을 포함하였다. SIT 가 소개한 위성도시의 개념은, 일종의 자족 공동체인 셈 이었다.20) 이는 거주민을 위한 학교와 시장 등의 주거환 경과 사회적 편의시설들을 갖춘 도시를 의미하였다. 이 계획은 좋은 주거환경뿐만 아니라 쾌적하게 일할 수 있 는 산업지역도 포함하였다. SIT는 이 계획들을 완전히 수행하지는 못했지만, 퀸즈타운 단지를 위해 거주자 수 에 따른 편의시설의 비율을 이끌어내기도 하면서 세밀한 부분까지 계획하였다. 예를 들어, SIT는 5만 명의 거주 민을 위한 계획에서 생필품을 파는 가게를 150명 당 하 나씩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SIT는 10,600명의 학 생들을 위해 18개의 초등학교를, 각 근린마다 하나의 시 장과 하나의 작은 커뮤니티 센터와 몇 개의 가게들로 구 성된 쇼핑센터를, 갖도록 제안했다. 도시의 중심에는 종 합 건강 센터와 쇼핑 단지, 영화관을 두었다.

    처음에는 5개의 근린을 계획하였는데, 여기에는 프린 세스 단지(Princess estate, N1)는 물론이고 더체스 단지 (Duchess estate, N2), 커먼웰스(Commonwealth, N3), 탕글린 할트(Tanglin Halt, N4), 퀸즈 클로스 앤 크레센 트(Queens' Close & Crescent, N5)가 포함된다. 주된 상업 센터는 더체스 단지에 위치하였다. 뒤에 주택개발 청(HDB)이 퀸즈타운의 건설을 맡으면서 공동묘지였던 땅에 2개의 근린(N6, N7)을 추가로 계획하였다. (<Fig.9>)

    3-2.다양한 계층 수용을 위한 노력

    프린세스 단지(Princess estates)는 퀸즈타운에 건설한 최초의 단지이다. 영국 여왕의 동생 이름을 따서 프린세 스 마가렛 단지(Princess Margaret estates) 단지라고도 불렸다. 이곳은 알렉산드라 로드(Alexandre Road), 마가 렛 드라이브(Margaret Drive), 탕글린 로드(Tanglin Road), 스트라스모어 아베뉴(Strathmore Avenue)로 둘 러싸여 있다. 단지 안의 플랫들은 유리창의 색상 때문에 ‘파란 창문 집(Blue Windows)’이라는 애칭을 가졌다.21)

    신도시 실행부는 퀸즈타운에 53,000명의 인구를 제안 하였다.22) 2명이 하나의 방을 나눠 쓰고, 평균적인 거주 공간에는 2-3개의 방들이 있고, 한 집에 평균 6명이 살 도록 계획하였다. 실행부는 이러한 주호밀도를 바탕으로 높은 블록과 낮은 블록을 섞어서 스카이라인을 구성함으 로써 퀸즈타운에 다양성과 경관미를 부여하려고 하였다. 그들은 그런 복잡한 계획이 퀸즈타운으로 하여금 특별한 정체성을 갖는 자족과 균형 잡힌 공동체로서 기능하게 할 것이라고 확신하였다.

    이런 플랫들을 건설하는데 적절한 가격의 산정이 SIT 의 가장 큰 걱정 거리였다. SIT는 그 때문에 저가형 플 랫들을 계획함과 더불어, 부자들을 유인하기 위하여 테 라스 하우스도 세웠다.

    <Fig.10>을 살펴보면, 프린세스 단지는 다양한 형태 의 블록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층의 테라스 하우스에서부터 3, 4, 7, 9, 14층의 여러 블록들로 구성되 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3-5층의 블록으로 구성된 전전 의 티옹 바루 단지와도 전혀 다른 양상이다. 총 125개 블록에 2,433세대로 구성된 프린세스 단지는 규모면에서 도 그 이전 단지들과는 커다란 차이를 갖는다. 이 단지 는 18,000여 명의 주민과 180ppa(person per acre)의 밀 도를 갖도록 계획하였다. 주거 블록의 층수별 구성은 <Tab.2>와 같다.

    다시 <Fig.10>을 살펴보면, 높은 층수의 블록들은 단 지 남쪽과 간선도로변에 면해 모여 있고, 저층의 블록들 은 단지를 관통하고 있는 수로 북쪽에 주로 배치되었다.

    같은 층수의 블록이라 할지라도 다른 평면을 갖는 블 록을 사용해 다양성을 높였다. <Fig.11>의 평면들을 보 면 점선으로 표시한 것들이 모두 3층의 블록인데, 서로 다른 평면을 가지고 있다. 3층의 블록들은 단지의 다른 블록들에 비해 소규모의 플랫으로 구성되었는데, 계단실 을 공유하고, 복도를 두어 여러 세대가 한 층에 위치하 도록 계획했다. 티옹 바루의 전후 블록과는 달리 외부의 복도에 면해 주방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접근 복도의 설 치는 고층의 블록에서 일률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엘 레베이터의 설치가 일반적이지 않던 때에 공공주택에서 그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였다고 생각 된다.

    이중에서 특히 14층의 건물(블록 39)은 당시 싱가포르 에서 주거용 건물로서는 가장 높았다. 1956년 10월에 완 공된 이 건물은 붉은 벽돌을 외장재로 사용했고, 프리캐 스트 콘크리트로 된 발코니를 전면에 두었다. 이 건물은 포파아 하우스(Forfar House)라고 불리며, 프린세스 단 지의 상징이 되었다.23) (<Fig.12> 위)

    프린세스 단지에서는 상점이나 학교 등의 공공시설들 을 여러 채 계획하였다. 82개의 작은 상점들과 4개의 초 등학교, 1개의 중등학교, 1개의 중등 기술학교를 계획하 였다. 이밖에도 분양사무실과 커뮤니티 룸, 레스토랑을 포함하는 프린세스 하우스(<Fig.12> 아래)24), 약 1000석 규모의 극장, 전화교환소, 주유소, 하수 펌프장, 변전소, 두 곳의 종교시설 부지, 두 곳의 유보지 등을 갖췄다.

    3-3.오픈 스페이스의 다양화와 기능의 부여

    다양한 시설과 여러 형태의 블록들이 하나의 단지를 이루면서, 배치에서도 SIT가 건설한 이전의 단지들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각 블록의 배치에서는 티옹 바루의 전전 단지에서 나타나는 몇 개의 블록들이 내부에 하나 의 오픈 스페이스를 공유하는 중정형의 배치와 함께, 티 옹 바루의 전후 단지에서 적용된 판상형의 배치도 볼 수 있다. 다만 중정형의 배치는, 티옹 바루 단지와는 달리, 완전히 외부와 구분되는 중정형이 아니고 한쪽이 열려있 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렇게 중정형 배치와 판상형 배치를 결합함으로써, 프린세스 단지는 다양한 형태의 오픈 스페이스들을 형성하였다.(<Fig.13>)

    이 단지의 오픈 스페이스들은 주차장과 운동장, 놀이 터, 보행로, 단지 내 도로, 녹지 등의 개별 기능을 갖는 것들이었다. 이중에서 특히 눈에 띄는 점은 주차장의 확 보였다. 1970년대까지도 싱가포르에서 자가용 차량의 소 유가 흔한 일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25) 프린세스 단 지에서는 계획단계에서부터 주차장을 고려하였다. 이는 이전 단지들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점이었다. <Fig.13>

    의 배치도를 보면, 몇몇 블록들의 가운데에 적절한 간격 을 두고 주차장을 계획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프린세스 엘리자베스 단지에서 나타났던 커다란 운동장은 이 단지 의 동남쪽 끝에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프린세스 단지는 티옹 바루 단지에서 비롯 한 고층 블록의 유형학과 오픈 스페이스 기능의 특정이 라는 두 가지 현상들을 발전시킨 것이라고 평가된다.26)

    3-4.소규모 근린의 집합

    프린세스 단지가 막 건설되기 시작한 1954년에 ‘저가 주택에 관한 국제전시회’가 인도의 뉴델리에서 개최되었 다.27) 여기에서 싱가포르는 SIT의 전후 주택 계획안에 나타난 2가지 측면, 즉 저가 생산과 단지계획을 통한 커 뮤니티 증진에 초점을 맞췄다. 전시에 앞서 개최된 세미 나의 주제도 ‘커뮤니티’였다.28)

    프린세스 단지에서는 커뮤니티의 증진을 위해 커다란 단지를 여러 개의 작은 근린으로 나누는 작업을 진행하 였고, 근린간의 다양성을 도모하도록 시도하였다. 이 단 지는 주차장을 혹은 비교적 규모가 큰 오픈 스페이스를 중심으로 몇 개 블록들이 자연스럽게 하나의 작은 근린 을 형성하고 있다. 이 단지는 노동자 계층에서부터 부유 한 계층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의 사람들이 함께 살 수 있도록 다양한 블록을 혼용하고 있다. 커다란 운동장과 단지 내 도로 등을 통해서 작은 근린들이 형성할 수 있 는 여지를 만들었다. 이는 당시 세계적으로도 화제가 되 고 있던 커뮤니티의 증진을 이루고자 한 시도의 일환이 었다고 볼 수 있다. <Fig.15>을 보면 하나의 단지임에도 다양한 형태의 근린주구들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퀸즈 타운의 프린세스 단지는 자족 공동체 도시의 건 설이라는 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일률적 인 블록의 반복을 적극 회피하고, 여러 층수의 블록들을 건설하였다. 이 단지는 각기 다른 형태의 배치를 취해서 다양성을 모색하였고, 오픈 스페이스의 기능을 더욱 확 보하려고 하였다. 그 기능을 주차장, 운동장, 놀이터, 보 행로, 단지 내 도로, 녹지 등으로 세분화하였다.

    SIT가 해산한 1959년까지, 퀸즈타운에서는 오직 프린 세스 단지만이 완공하였고 탕글린 할트와 퀸즈 클로스, 더치스 단지는 겨우 착공을 보았을 따름이었다. 주택개 발청(HDB)이 그 후의 건설을 맡았고, 2개의 단지를 추 가하였다.29) 운동장과 유보지 등의 공지들은 나중에 쇼 핑센터, 종합체육관과 노점 센터와 같은 편의시설들로 개발하였다.

    4.결 론

    이상에서 SIT가 공급한 1950년대의 싱가포르 공공주 택에 대하여, 오픈 스페이스의 다양화와 근린의 형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30년대 싱가포르에 최초의 공공주택 단지가 세워지 기 시작한 이후 1950년대까지 극심한 도시화와 전후 주 택난 등의 영향으로 싱가포르는 근대화된 새로운 주택단 지의 건설이 절실하였다. 1950년대에도 싱가포르 도시계 획의 철학은 영국의 전형적인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었고, 당시의 정책 입안자들은 서양의 이론이 보편성을 갖는다 고 보았다.30)

    식민지 정부의 주도 하에서 이루어진 초기의 주택건설 사업은 식민모국의 근대적 이론과 경험을 바탕으로 하였 다. 이 과정에서 싱가포르의 열대 기후와 전통적인 생활 방식 등이 서구의 근대적 이론과 모델이 이식되는데 있 어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때의 핵심 개념은 바로 위생 이었다.

    이 논문이 연구대상으로 삼은 프린세스 엘리자베스 단 지와 퀸즈타운 프린세스 단지는, 1959년에 싱가포르 자 치 정부가 생기면서 SIT가 해산하기 직전에, SIT가 마 지막으로 공급한 주택단지들이었다. 그러므로 이 단지들 의 실험은 1960년에 설립한 HDB의 토대가 되며, 또 극 복해야할 대상도 되는 것이었다.

    우선 프린세스 엘리자베스 단지에서 보이는 블록들의 다양화와 오픈 스페이스의 기능화는 이후의 다른 단지들 에서도 확대되어 나타난다. 특히 어린이들이 단지 내에 서 안전하게 놀 수 있는 커다란 공간을 확보하는 수법은 이후의 많은 단지들에서도 적용되었다.

    싱가포르 최초의 신도시 건립을 목표로 한 프린세스 단지에서는, 블록들의 다양화와 오픈 스페이스의 기능화 가 더욱 두드러져갔다. 단지의 규모도 무척 컸고, 블록의 구성도 매우 다양하였다. 2층에서 14층까지 6종류의 블 록들이 하나의 단지를 이루었다. 그 블록들의 배치는 전 전과 전후의 티옹 바루 단지에서 보이는 중정형 배치와 판상형의 배치를 혼용하였다. 특히 14층의 주거용 건물 과 주차장 계획 등은 이전의 다른 단지들에서는 전혀 볼 수 없었던 특징이다. 오픈 스페이스는 프린세스 엘리자 베스 단지에서 개별 기능을 갖기 시작하였고, 프린세스 단지에서 더욱 구체적인 기능을 갖게 되었다. 프린세스 단지에서 오픈 스페이스는 주차장, 운동장, 놀이터, 보행 로, 단지 내 도로, 녹지 등으로 세분화하였다.

    티옹 바루 단지가 에베너저 하워드(Ebenezer Howard, 1850-1928)와 패트릭 아버크롬비(Patrick Abercrombie, 1879-1957)의 개념들을 싱가포르 현지에 서 구현하려는 시도라고 한다면, 프린세스 엘리자베스 단지와 프린세스 단지는 당시 세계적으로 주목하고 있던 그린벨트와 오픈 스페이스와 근린의 개념들을 의식하고, 이것들을 싱가포르에서 구현하려고 했다고 볼 수 있다.

    1959년에 인민행동당(PAP) 정권이 탄생하면서 긴급한 과제는 공동주택의 건설이었다. 1960년에 주택개발청 (HDB)을 창설하고, 1961년에 “주택건설 5개년 계획”을 작성하여 대규모 주택건설을 개시하였다. 이때 공동주택 이 민족화합을 추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였다. 정부는 의도적으로 화인(華人) 가족과 말레이인 가족과 인도인 가족이 이웃에 어울려 살도록 입거정책을 취했다. 정부 는 각 민족이 인구구성 비율대로 단지에 입주하도록 하 였고, 특정 주호를 임의로 선택할 수 없게 배정하였다.31) 그러므로 근린의 형성은 1959년 이후에 공동주택 단지에 서 더욱 중시되는 계획 이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점은 영국 식민지 정부의 민족별 분리거주정책과 극명 하게 대비된다.

    공공주택 단지는 싱가포르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 한 물적 기반이다. 싱가포르에서는 현재 인구의 80% 이 상이 정부의 공공주택(HDB’s Flat)에서 살고 있다.32)

    이 연구는 연구대상으로 삼은 공공주택단지가 현재 남 아있지 않은데다가 자료가 제한되어 있어서 일정한 한계 를 갖는다. 그렇지만 이 연구는 싱가포르 공공주택단지 계획의 역사에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 1950년대의 단지들 을 블록 배치와 오픈 스페이스의 구성을 통해서 구체적 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

    Sources

    Fig.1 Left and Right: http://ijamestann.blogspot.kr/

    Fig.2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50, Singapore; SIT, 1951, p.4, p.8, Redrawn from orignal by authors

    Fig.3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50, Singapore; SIT, 1951, p.4, p.42, Redrawn from orignal by authors

    Fig.4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51, Singapore; SIT, 1952, p.4, p.47, Redrawn from orignal by authors

    Fig.5 Above and Below: http://ijamestann.blogspot.kr/

    Fig.6 Above: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51, Singapore; SIT, 1952, p.4, p.4, Below: http://ijamestann.blogspot.kr/

    Fig.7 Left and Right: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50, Singapore; SIT, 1951, p.8, p.9

    Fig.8 Above: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53, Singapore; SIT, 1953, p.48, Below: Eunice Seng, 「Habitation and the Invention of a Nation, Singapore 1936-1979」, COLUMBIA UNIVERSITY, 2014, p.197

    Fig.9 National Heritage Board, Queenstown, A Heritage Trail, 2013, p.4

    Fig.10 Above: Eunice Seng, “Habitation and the Invention of a Nation, Singapore 1936-1979”, Ph.D.,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2014, p.144, Below: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55, Singapore; SIT, 1955, p.34

    Fig.11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55, Singapore; SIT, 1955, appendix, Redrawn from orignal by authors

    Fig.12 Above and Below: Tan Kok Yang, FROM THE BLUE WINDOWS: Recollections of life in Queenstown, Singapore, in the 1960s and 1970s, Singapore, Ridge Books, 2013, p.11, p.14

    Fig.13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55, Singapore; SIT, 1955, appendix, Redrawn from orignal by authors

    Fig.14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55, Singapore; SIT, 1955, appendix, Redrawn from orignal by authors

    Fig.15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55, Singapore; SIT, 1955, appendix, Redrawn from orignal by authors

    Tab.1 Made by authors

    Tab.2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55, Singapore; SIT, 1955, appendix, Redrawn from orignal by authors

    Figure

    JAH-24-19_F1.gif

    Factories in the Bukit Timah (left circle: Princess Elizabeth estate), 1958

    JAH-24-19_F2.gif

    Block No. of Princess Elizabeth estate

    JAH-24-19_F3.gif

    Site plan of Havelock Road estate (colored: one storied quarter & shop, others: 4 storied flat)

    JAH-24-19_F4.gif

    Site plan of Princess Elizabeth estate

    JAH-24-19_F5.gif

    Open space at the artisans’ quarter (above) and workmen's flat (below)

    JAH-24-19_F6.gif

    View from playground (above) and the Children’s Party held in playground (below)

    JAH-24-19_F7.gif

    The exhibition ‘Homes of Singapore’ (left: the opening speech of Sir George Pepler, right: housing model)

    JAH-24-19_F8.gif

    Site plan of Queenstown (above: SIT -1953, below: HDB -1960)

    JAH-24-19_F9.gif

    Neighbourhood plan of Queenstown

    JAH-24-19_F10.gif

    Panorama of Princess estate (above), bird's eye view (below)

    JAH-24-19_F11.gif

    Various plans of Princess estate (within dotted line: 3 storied block)

    JAH-24-19_F12.gif

    Forfar House (above), Princess House (below)

    JAH-24-19_F13.gif

    The layout mixed with courtyard-type and flat-type

    JAH-24-19_F14.gif

    Parking lots in Princess Estate

    JAH-24-19_F15.gif

    Various forms of small neighbourhood in Princess estate

    Table

    Block composition of Princess Elizabeth estate

    Building stories and composition

    Footnote

    Reference

    1. (1953) The Straits Times,
    2. (1953) The Singapore Free Press,
    3. SIT (1960)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48-1959), SIT,
    4. William S W Lim (1975) Options for Public Housing in Singapore Some Policy Implications , DP Architects,
    5. Ann E Wee (1987) “Family and Social Policy in Singapore” , Akademika,
    6. Norman Edwards (1990) The Singapore House and Residential Life 1819-1939 , Oxford University Press,
    7. URA (1995) URA,
    8. Gretchen Liu , Graham Byfield (1995) Singapore Sketchbook, Archipelago Press,
    9. Chen Voon Fee (1998) The Encyclopedia of Malaysia 5, Architecture, Editions Didier Millet Pte Ltd,
    10. Ole Johan Dale (1999) Urban Planning in Singapore: The Transformation of a City, Oxford University Press,
    11. Gretchen Liu (2000) Singapore, A Pictorial History 1819-2000, Editions Didier Millet Pte Ltd,
    12. Robert Powell (2001) Singapore Architecture, Periplus,
    13. Gregory Clancey (2003) Asia Research Institute Working Paper Series No. 8, Toward a Spatial History of Emergency: Notes from Singapor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14. Brenda S A Yeoh (2003) Contesting Space in Colonial Singapore: Power Relations and the Urban Built Environment, Singapore University Press,
    15. Belinda Yuen (2005) “Squatter No More: Singapore Social Housing” , The Third Urban Research Symposium: Land Development Urban Policy and Poverty Brazilia,
    16. Hugh Barton , Marcus Grant , Richard Guise (2010) Shaping Neighbourhoods : For Local Health and Global Sustainability, Routledge,
    17. Mah Bow Tan (2011) Reflections on Housing a Nation, Ministry of National Development,
    18. Lily Kong (2011) Conserving The Past, Creating The Future, Urban Heritage in Singapore, URA,
    19. Eunice Seng (2011) “Politics of Greening: Spatial Construction of the Public in Singapore” , Architecture & Modernities, World Scientific,
    20. Eunice Seng (2014) “Habitation and the Invention of a Nation, Singapore 1936-1979” , Ph. D.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21. Mark R Frost , Yu-Mei Balasingamchow (2012) Singapore, a Biography , Editions Didier Millet Pte Ltd,
    22. Peter Lee , Jennifer Chen (2012) The Straits Chinese House, Domestic Life and Traditions , Editions Didier Millet Pte Ltd,
    23. Iain Manley (2012) Tales of Old Singapore , Earnshaw Books Ltd,
    24. Jim Baker (2014) Crossroads: A Popular History of Malaysia and Singapore , Marshall Cavendish Editions,
    25. Iwasaki Ikuo (2007) Azia nido monogatari, Singaporu to Hong Kong , Chuokoron shinsha,
    26. Iwasaki Ikuo (2013) Monogatari singaporu no rekishi , Chuko shinsho,
    27. Clarence Perry , Lee Yongkeun (2013) Neighborhood and Community Planning , Communication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