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598-1142(Print)
ISSN : 2383-9066(Onlin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23 No.4 pp.81-90
DOI : https://doi.org/10.7738/JAH.2014.23.4.081

A Study on the Layout of the 2nd construction in Hwangnyongsa Buddhist Temple Site

Sookyung Kim*
Corresponding Author : sk2kim@hotmail.com
April 15, 2014 July 29, 2014 July 30, 2014

Abstract


황룡사 중건가람배치 연구

김 숙경*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황룡사복원정비사업단 선임연구원)

초록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variation of layout in Hwangnyoungsa buddhist temple site based on studying published the excavation research paper and texts related to layout. According to earlier studies, in 1st construction period(553~569) of Hwangnyoungsa, there were trisection spaces with one main hall and two corridors in inner part and then in 2nd period(584~645), unified one. But actually trisection spaces had been maintained until the middle part of 8th century. And in each space there was the main hall with large yard. That is the 2nd period layout of Hwangnyoungsa. For the attainment this result, each building remains are judged under duplicated situation which one was the previous and next by 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condition and special features of foundation. Although the meaning of trisection system of Hwangnyoungsa is similar with the layout of ancient palace, it could be said to derive from accumulation excavation research in Silla’s archeological site and such studies.


    1.서 론

    황룡사는 진흥왕이 553년에 창건하여 1238년 몽골군 의 병화로 소실되기까지 존속하였던 신라 불교사원이었 다. 창건 이후 진흥왕대에 인도 아쇼카왕과 연관되는 설 화를 가진 장육존상을 주성하였고 10년 뒤 진평왕대에는 금당을 새롭게 조성하였으며 선덕왕대에 이르러 자장의 건의로 구층목탑이 건립되었다. 황룡사가 중영되어 온 과정은 삼국사기․삼국유사 등 문헌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1976년부터 시작된 8년간의 발굴조사로 사원의 실체가 드러나 크게 주목을 받았다.

    『皇龍寺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1984)는 황룡사 회 랑 내곽에 있는 각 건물지에 대한 발굴조사기록이다.여 기에서 발굴조사결과를 토대로 황룡사의 가람배치가 4단 계의 변천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1)하였고 보 고서 발간이후 관련분야의 다양한 연구성과도 이어졌다. 그 중 가람배치에 관해서는 주로 황룡사 가람배치 변천 과정과 그 배경에 관한 연구,2) 황룡사를 고대 가람과 비 교하여 그 특징을 논한 연구3) 등이 발표되었다. 황룡사 와 같은 1탑 3금당 배치는 삼금당 배치가 처음 나타난 고구려 불교사원에서 신라로 그 계통이 이어졌다고 보거 나 중심건물과 좌우에 대옥(對屋)을 둔 중국 궁궐건축의 형식이 전래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4)(<Fig.1> 참조)

    기존의 고대가람배치 연구는 시대적 흐름과 형식적 공 통점을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던 연구방법이 유지되 어 온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관련기관의 발굴조사 결과가 축적되면서 기존의 가람배치형식이나 건물의 구 조에 있어서 새로운 관점이 제기5)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연구대상에 대한 참조틀은 잠시 내려놓고, 유적 그 자체의 정보를 정확히 조사하고 파악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런 의미에서 이 연구에서 황룡사 발굴조사보고서를 검토하면서 가람배치를 재론하게 되는 것은 고대건축의 특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필 요가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기존연구에 따르면 황룡사 창건가람은 세 개의 공간으 로 분할된 상태였고, 그 중앙 공간에만 금당이 있었으나 584년경 금당이 조성된 이후에는 단일원으로 합해진 공 간에 삼금당이 배치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세 금 당 사이에 위치해 있었던 원 동․서회랑지 유구6)를 살 펴보면 세 금당의 건립과 삼원구성체제는 꽤 오래 지속 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초석 이하 유구만 남아있는 유적지에서 건물의 존속시 기는 인접한 건물지 유구와의 상대적 선후관계를 통해 1 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일정한 시기의 황룡사 의 가람구성을 규명하는데 있어 매우 기초적이면서도 중 요한 부분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황룡사의 유구를 발굴자료를 통해 분석7)하고 황룡사의 가람배치를 재검토 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4단계 변천과정 중 특히 중건시기 가람배치에 대한 수정안을 제시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가람배치가 재고되어야 함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가 우리나라 고대건축의 정황을 이해 하는데 일조(一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황룡사 가람조성과정 검토

    황룡사 주요 건물에 대한 기록은 황룡사 가람배치 변 천과정의 중요한 기준시점으로 제시될 수 있다. 황룡사 조영에 관한 기사를 아래 <Tab.1>8)에 요약하여 정리하 였다. 표에서 보는 것처럼 황룡사 가람조성은 4단계로 구분하여 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구분방법은 발굴조 사보고서에서 처음 제시된 이후 기존 연구자9)간의 큰 견 해차가 없었다.

    I.창건가람(553~569년)

    황룡사 창건기록은 불사(佛事)의 시종(始終)을 확인할 수 있을 뿐 그 내용은 언급이 되어 있지 않다. 발굴조사 보고서에서는 중심사역의 내부를 삼분하는 원동 서회랑 이 있고, 작은 규모의 금당과 탑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 측하였다.

    또 황룡사지 중심사역내의 최하층에서 발견된 유구, 또는 중건흔적이 남아있는 건물의 첫 번째 단계의 유구 는 창건가람의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강당지와 강 당동․서편건물지의 최하층에서 ‘ㅁ’자 형태의 줄기초가 동서로 길게 연속되어 있는 건물지10)가 발견되었다. 그 리고 중심사역의 동 서편에는 남북으로 긴 회랑건물이 에워싸고 있는 형식으로 보이나 그보다 앞서 동서 3칸의 건물(승방으로 추정)이 세워졌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리고 남편에는 중문(정면 3칸, 측면 2칸)과 좌우에 남회 랑(단랑)이 이어져 있었다.(<Tab.2> Ⅰ단계)

    II.신라시대 중건가람(584~645년)

    창건가람이 완성된 후 금당과 목탑이 조성되었다는 기 록을 토대로, 신라와 통일신라시대를 지나면서 황룡사가 점차 완성되어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현존하는 중금당 유구는 창건가람의 것이 아니라 584년에 조성된 것으로 파악하게 됨으로써 황룡사는 세 금당이 병렬로 배치된 특이한 형태임을 알게 되었다.

    황룡사의 각 건물지는 여러 차례 중건된 흔적이 발견 되었다. 중금당 좌우에 있는 동․서금당은 각기 3차에 걸친 조영이 있었고, 1차시기의 건물규모가 가장 크고 이중기단까지 갖추고 있었으나 2, 3차시기가 되면 규모 가 점점 축소되고 중금당 방향으로 조금씩 움직인 흔적 이 있었다. 중심사역은 단일원으로 구성되며 그 중심에 목탑이 세워졌다. 현존하는 목탑의 초석배치는 창건시기 의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나 기초구조부는 남아있기 때문에 창건시기의 목탑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강당은 전면 10칸 측면 4칸의 건물이었고, 강당의 좌 우에 붙어 있는 강당동․서편건물은 강당과 초석높이가 거의 비슷하다. 이 건물은 전면 12칸, 측면 3칸의 규모로 대칭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았다. 613년 수나라 사신이 황룡사에 와서 백고좌를 처음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강 당과 같은 대형건물이 조성되었을 수 있고, 강당의 동․서편과 중심사역의 동․서편 등지에는 대규모 승원이 건 축되었을 가능성도 있다.11)

    또한 중심사역의 정문에 해당하는 중문과 좌우의 남회 랑은 남쪽으로 이건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중문은 정 면 3칸에서 4칸으로, 남회랑은 단랑에서 복랑으로 규모 가 더 커졌다. (<Tab. 2> Ⅱ단계)

    III.통일신라시대 중건가람(745년~통일신라말)

    신라시대 중건가람의 전반적인 구성은 그대로 이어졌 다. 이 시기 가장 큰 변화는 종․경루 건립과 맞물려 나 타났다. 종․경루는 1차 남회랑(단랑)의 유구위에 세워졌 기 때문에, 확실히 창건가람에는 없었던 것이 된다. 754 년의 주종기록을 바탕으로 종․경루가 이시기에 세워진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12) 중국 당대(唐代) 불교사원 에서 남쪽에 종루와 경장을 대칭적으로 배치하는 일이 성행하였던 것13)을 비추어 본다면 황룡사의 가람배치가 불교유입과 그러한 영향력 속에서 변화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또 황룡사 종루지 동편 출입구에서 동승방지 방향 으로 보랑이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적심석이 남아있었 다. 두 건물은 사역 남편에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있고 당시의 불교사원 가람배치를 고려해 볼 때 일시에 조성 된 것으로 생각된다.

    종 경루가 설치되면서 중심사역의 남편에도 어떠한 변 화가 있었다. 중문과 남회랑이 더 남쪽으로 이건되었고 남회랑의 단부가 담장이 있는 범위까지 더 뻗어나가도록 증축되고 있는 것이다. 3번째 지어진 중문은 전면 5칸

    측면 2칸의 건물이며 남회랑도 복랑의 규모가 더 커졌 다.(<Tab.2> Ⅲ단계) 이 시기 경문왕대에는 찰주본기의 기록(872)에서 보듯이 심주를 들어 사리공을 확인할 정 도로 대규모의 목탑중건공사가 있었다.

    IV.최종가람(고려)

    황룡사의 가람배치는 고려시대에도 어느 정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다고 보아진다. 각 건물지의 가장 위에서 발견된 유구는 최종시기까지 남아있었던 것이므로 고려 시대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강당은 전면 10칸 건물에서 9칸 건물로 축소되었다. 후대 강당의 초석 하부 적심에서 소토나 고려시대 청자 편 등이 출토되어 고려시대의 중건으로 짐작된다. 강당 동․서편건물은 당초의 대칭적인 정형성에서 벗어나 각 기 3개의 건물로 분립되고 있는데 축소된 강당에 연접하 여 지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 고려시대에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중심사역의 동․서편에 있던 동․서승방 은 복랑으로 지어졌다.(<Tab.2> Ⅳ단계) 목탑은 기록에 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고려시대에도 계속해서 수리와 중 성이 이어졌다. 이처럼 황룡사는 몽골군에 의해 소실될 때까지 그 사맥이 끊이지 않고 유지되었으며 각 건물도 필요에 따라 중수가 이어졌던 것으로 생각한다.

    3.황룡사 중건가람배치 유구 검토

    3.1.건물지 기초구조부 특징

    황룡사지는 발굴조사 시 건물지별로 2~5개의 시굴구 를 파서 조사하였다. 시굴구의 토층면 조사결과로 각 건 물의 기초구조부 축기상태, 초석 하부 적심의 중첩상태 등을 알 수 있다. 황룡사 건물지의 기초구조부는 바닥전 체를 기초구조로 구축한 경우(온통기초), 초석하부에만 깊고 큰 원형적심을 구축한 경우(독립기초) 등 두 가지 방법이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온통기초로 축조된 건물지는 목탑지, 서금당지, 중금당지 등이다. 목탑지와 서금당지는 바닥전체를 기초구조로 한 굴광적석기초라고 할 수 있으며 중금당지는 굴광판축기초14)라고 할 수 있 다. 서금당지의 경우에는 1차적으로 초석자리에만 원형 적심을 구축한 것이 발견되었으나, 3차시기에 온통기초 로 바꾸어 축조되었다. 세 건물지를 제외하면 황룡사의 모든 건물은 독립기초로 구축된 것이다. 그러나 강당지 및 강당동․서편건물지 최하층과 경루지 1차 유구와 같 이 줄기초가 축조된 것도 있기 때문에 벽식구조의 건물 도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독립기초로서 원형적심이 남아있는 건물지는 초석의 배치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건물평면에 대한 1차적 정보 를 얻기 쉽다. 반면에 온통기초는 기초위에 별도의 적심 없이 초석을 놓기도 하고, 적심이 있었더라도 얕고 작게 형성되어 있는 편이다.15) 서금당지와 같이 기초구조부의 상면이 어느 정도 삭평되어버린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에 는 평면구조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발굴조사보고서에서는 원동․서회랑은 동․서승방과 기초 축조방법이 유사하여 동시기에 존재했던 건물로 보 고 있다.16) 동․서승방은 동서 3칸의 건물로 주칸간격이 남북은 평균 약5.5m, 동서는 중앙칸이 약6.7m, 양협칸이 2.5m로 측정되며17) 이 때 가운데 주칸 주열선 위치에는 전돌이 세로로 박혀있어 벽체시설의 하부흔적으로 추정 된다.

    3차 서금당과 목탑은 기초축조방법과 기초내부에서 출 토된 유물 등의 공통점을 들어 역시 동시기에 세워진 것 으로 판단하였다.18) 두 건물지가 굴광적석기초로 축조되 었다는 공통점은 있으나, 유물의 출토위치를 비교해 보 면 차이점도 있다. 목탑은 심초석 하부 적심석 범위 내 에서만 유물이 출토19)되었기 때문에 기초를 축조한 후 심초석을 놓을 때 유물을 매납한 것이었다. 이에 반해, 서금당은 여러 토층시굴구에서 발견되었는데, 유물이 주 로 건물의 중심부이면서 유적의 10~75㎝ 깊이까지 두루 출토20)되었기 때문에 기초구조부를 축조하는 과정중에서 매납21)한 것이었다. 한편 정교한 굴광판축기초로 축조된 중금당지에서는 유물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 때문 에 서금당의 3차시기에 해당하는 온통기초유구는 중금당 이 지어진 후 상당한 시간이 흐른 후에 구축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재의 중금당지는 장육존상의 대좌를 비롯한 19기의 석대좌가 내진에 남아있어서 584년에 건립된 금당의 유 적으로 볼 수 있다. 또 토층시굴구 조사결과, 기초위에 놓인 초석의 하부가 한번도 변경된 적이 없는 초석들도 있는 것으로 보아 중금당의 규모는 처음부터 소실될 때 까지 그대로 유지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22) 중금당은 내진이 있는 측면 4칸의 본체건물과 기단을 낮춘 차양칸 이 이를 에워싸고 있는 평면형태로, 전체규모는 전면 11 칸, 측면 6칸이며 주칸은 약 5m의 정방형이다. 중금당지 의 기초유구를 검토해보면, 하층기단 범위까지 축조되어 있기 때문에, 당시 기초를 구축할 때부터 이미 건물의 규모와 구조를 계획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2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서금당지는 1~3차의 유구층이 중첩되어 있다. 1차시기의 평면은 동금당지에 서만 확인할 수 있다. 1차 동금당은 중금당과 같이 하층 기단에 기둥을 세웠던 형식이며 초석의 배치를 보면 중 앙부에 내진이 있고 이를 외진이 둘러싼 형식이었다. 그 러나 규모면에서는 전면 9칸, 측면 6칸이며 주칸간격도 3.6~4.1m로 중금당보다 작다. 1차 서금당에서도 하층기 단위치에서 독립기초의 흔적이 발견되고 있으므로 이 두 건물은 평면형식이 동일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즉 세 금당은 처음 지어졌을 때는 형식적인 면에서 공통적으로 계획되었고, 차양칸 기둥이 상층기단의 본체 건물 외진 주를 지지하게 하여 중첨(重檐)의 외관을 갖게 한 건물 이었다고 생각된다. 동금당지가 3차 시기에는 건물의 중 심이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하층기단도 없어지고 본체건 물도 조금 축소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목탑이 처음 건립된 것이 7세기 중반이므로 9층 목탑 은 선덕왕대 자장의 건의로 비로소 건립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목탑은 온통기초이나 토층조사결과 현재 남아 있는 초석은 기초구조부의 상면을 일부 제거하고 재정초 한 것이다. 목탑의 초석은 <Fig.1>에서 보는 것처럼 적 심석이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으며 6차에 걸 친 중성기록에 비추어 본다면, 중건의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발굴조사결과 처음 축조한 기초구조부 가 변경없이 사용되고 있었고,2) 토층도에서 심초석은 굴광선이 없어 한번도 변경된 적이 없었던 것24)으로 보 이므로 규모면에서 큰 변화가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기초구조부의 범위가 탑구석 범위까지 미치지 못하 고 있기 때문에 탑구석 설치는 목탑 창건계획에 포함되 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또 사천주 초석하부에서 가공 된 석조부재가 적심석으로 발견된 점, 심초석 하부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유물 등을 들어 현재의 평면구조는 경문왕대나 고려시대에 중건된 목탑25)으로 짐작된다.

    독립기초로 축조된 황룡사의 각 건물지의 큰 특징 중 하나는 후대로 올수록 적심의 깊이가 얕고 작으며 선대 로 갈수록 적심이 깊고 적심의 상면 직경도 매우 크다는 점이다. 또 큰 적심일수록 층단별로 적심석의 배열이 체 계적이고 조밀하여 매우 정교하게, 정성스럽게 축조하려 고 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2

    동금당과 같이 기존 1, 2차의 적심을 그대로 사용하여 그 위에 재정초하는 경우에 3차시기의 적심은 굴광흔적 은 있으나 그 깊이가 매우 얕고(15㎝정도) 직경도 작게 하였다.26) 동금당지 1차 적심은 서금당지 3차 유구 하부 에서 발견되는 적심과 유사하다. 동금당지 2차 적심은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분황사지 1차 중건 금당지27) 및 성동동 전랑지 건물지 적심28)과 축조기법에 있어서 공통 점이 많다.29)

    강당이 전면 10칸의 건물일 때의 적심은 크고 깊으나 전면 9칸으로 축소될 때 적심이 얕고 작은 것을 볼 수 있다.30) 동․서회랑은 동서 3칸의 승방지로 축조된 적심 은 크고 깊으나 동서 2칸의 복랑으로 축소 변경되었을 때의 적심은 얕고 작다.31) 동․서승방지는 남회랑 1차, 2 차 유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계획되어서 상당히 오 랜 기간 유지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동․서승방이 복랑으로 변경된 것은 고려시대로 추정되고 있다.

    3.2.중건가람배치 재조명

    황룡사 가람배치에 관한 기존연구에서 황룡사의 가람 배치 변천과정을 금당과 목탑의 조영을 중심으로 인식하 였던 견해가 삼원과 단일원의 변화시기를 인식하는데 영 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사역을 구분하고 있 는 원동․서회랑의 위치, 익랑의 관계 등에 대한 해석에 서 원동․서회랑의 폐기시점을 목탑조영으로 보고 있다 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32)

    이 부분에 대해 창건가람에서부터 세 금당이 배치되어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기존연구가 몇 있어 주목된다. 만일 중앙공간에만 금당이 하나 있었다면 남북을 가로지 르는 원동․서회랑이 존재해야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또 창건가람에서 세 금당이 계획되었기 때문에 원동․서 회랑이 정확히 세 금당의 중간지점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며 이것은 당시의 보편화된 형식의 일부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33)

    한편으로는 삼금당형식이라는 고구려 불교사원과의 연 관성을 들기도 하고, 평양 정릉사지, 안학궁지와 같이 좁 고 긴 공간이 회랑으로 구획되어진 배치와 관련지어 보 는 견해가 나오기도 하였다.34) 또한 분황사 창건(634년) 당시 삼금당 조성이라는 배경속에서 재차 제기되기도 하 였다.35) 이는 금당이 조영된 2단계 중건가람배치가 실제 로는 창건 가람배치라고 본 것이다.36)

    이처럼 원동․서회랑으로 인한 중심사역 삼분할과 삼 원이라는 구성, 세 금당의 배치 등이 제기된 상황에서도 황룡사 가람배치 변천과정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지지 못 한 것은 익랑의 위치와 존속기간, 폐기시점 등에 대한 견해를 입증할 만한 증거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 다. 이것은 발굴조사보고서에서 밝힌 1차적인 해석의 틀, 특히 창건가람배치37)에 대한 견해가 확고했고 이를 토대 로 가람배치의 변천단계를 보고자 한 발굴조사보고서 기 술상의 문제에서 비롯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4.황룡사 중건가람배치 검토

    4.1.원 서회랑지와 두 금당

    중금당지와 서금당지 사이를 지나는 원서회랑지는 동 서폭 약 3.2m 남북폭 약 3.8m38)의 단랑이다. 이 단랑은 중문에서 서측으로 6번째, 동서 주칸이 좁아진 위치에서 남서회랑과 연결되어 강당서편건물의 동측편 첫 번째 주 칸 위치에 이르는 남북으로 긴 건물이었다. 그리고 원서 회랑의 익랑은 남에서 북으로 20번째, 남북 주칸이 좁아 지는 위치에서 동․서방향으로 1칸씩 뻗어나간 것이다.

    발굴조사보고서에서는 이 익랑이 창건 금당을 위해서 만 연결되었던 것으로 보고, 중금당이 중건되면서 원래 의 익랑이 모두 파괴되고 1칸만 남아 있게 된 것으로 보 았다.39) 또한 서금당지 방향으로 나간 익랑의 적심석은 서금당 원형적심석 위에서 발견되었으므로 3차 서금당과 건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도 하였다.40)

    그런데 발굴조사결과를 종합하는 성격인 「Ⅷ. 황룡사 가람변천에 관한 고찰」41)에서는 중금당 방향의 익랑만 창건가람시대 유구로 다루고 서금당 방향의 익랑을 논외 로 취급해 버렸다. 그래서 세 금당이 병렬로 세워졌던 시대에는 황룡사의 중심사역이 단일원으로 조성되었다는 것이다. 황룡사와 같은 대규모 고대 가람의 건축적 특징 을 가람배치 변천과정이라는 큰 틀로 파악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개별 건물의 조사내용이 세세한 부분까지 고려 되지 못한 결과였다고 생각한다.

    발굴평면도에서 원서회랑의 동익랑 적심은 중금당 외 진주열에서 서쪽으로 약 5.7m거리에서 발견되었지만 중 금당의 판축기초범위는 실제로 이보다 더 서쪽까지, 즉 외진주 주열선에서 서쪽으로 22척(6.67m)까지이기 때문 에42) 원서회랑의 익랑이 중금당 기초 축조 후에 건축된 것이라는 것이 입증된다.(<Fig.3>참조) 이것은 서금당지 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서금당의 판축기초범위는 서금당 동측 외진주열선에서 동측으로 약 4.39m까지이다.43) 이 렇게 되면 익랑의 적심석은 이 판축기초 굴광 시작위치 에 걸쳐서 그 위에 남아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익랑은 3차 서금당의 기초축조 이후에 세워진 것이다.

    이처럼 발굴조사보고서와 도면을 검토해보면 원서회랑 의 동․서 익랑은 서금당과 중금당44)을 연결, 동시기에 사용되었던 건물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중금당과 서금당 사이에는 원서회랑이 지나가 고 있고 동서 양측으로 익랑을 내어 상호 출입이 되도록 하였고 회랑으로 분할된 공간에 각각 금당이 서 있었던 것이다. 중금당은 익랑과 연결되는 위치인 측면 첫 번째 칸에 출입문과 계단이 위치하고 있었다고 보여지며 이는 서금당도 마찬가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45) 동금당지와 원동회랑지 관계는 유구가 파괴된 채로 발견되었기 때문 에 확인할 수 없었으나 동․서가 대칭적으로 배치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4.2.삼원구성의 존속기간

    황룡사가 삼원으로 구성되었던 기간의 하한은 원 동․ 서회랑지의 철거시점과 관련이 있으며 그 시점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는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다.

    원동․서회랑지는 단랑인 1차 남회랑에서 연결되고 있 기 때문에 이후에 건립된 2, 3차 남회랑과는 무관하다. 1 차 남회랑과 연결되는 위치는 중문에서 동․서방향로 6 번째 칸이며 주칸폭이 좁아진 부분이다. 원동․서회랑은 복랑인 2차 남회랑과는 주열선이 전혀 맞지 않고 있기 때문에 2차 남회랑이 서기 전에 철거된 것으로 보인 다.46) 중심 사역내 남동,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종․경 루지는 각각 1차 남회랑의 유구를 파괴하고 들어선 것이 므로 종․경루가 창건되기 전에 원동․서회랑도 철거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원동․서회랑은 세 금당 사이 공간에서 정확히 가운데 로 지나간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차 서금당의 기 초축조시기는 목탑의 건립연대인 7세기 중반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목탑은 645년에 창건된 것이고 종․경루 의 창건시기를 주종시기로 볼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원 동․서회랑이 7세기 중엽에도 존속하였으며 철거시점은 역시 8세기 중반이 그 하한이 되겠다.

    원동․서회랑은 1차 남회랑과 같이 건축되었기 때문에 이들은 실제로 황룡사 중심사역 조영역사속에서 매우 이 른 시기에 지어졌던 것이다. 즉 세 금당이 서게 되는 시 점부터 원동․서회랑이 서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익 랑은 2차 중금당과 3차 서금당의 기초 위에서 발견되었 으므로 중금당이 조성된 시기(584년)가 상한이 될 수 있 을 것이다.

    이상으로 봤을 때 관련 건물의 조영순서는, ‛중금당, 동․서금당 → 원서회랑과 익랑 → 서금당(3차), 목탑 → 원서회랑과 익랑 → 원동․서회랑 및 1차 남회랑 철 거, 종․경루 → 2차 남회랑’의 순으로 볼 수 있다.

    원 동․서회랑 존속기간에 대한 또 하나의 단서는 이 유구를 파괴하고 만들어져 있는 폐와(廢瓦)무지와 그 안 에서 출토된 기와들이다. 발굴조사보고서에 정리된 황룡 사 폐와무지47)는 총 12개소이며 이 중 6개소가 이 원 동․서 회랑지의 유구를 파괴하고 만든 구덩이이다. 발 굴조사보고서에는 이 폐와무지에서 출토된 기와의 편년 에 대해 통일신라시대 2개소, 고려시대 3개소, 고신라~ 고려시대 1개소 등으로 판단하였다.48) 폐와무지가 만들 어진 시기는 적어도 출토기와보다는 후대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폐와무지 6개소를 설치한 시기는 상한이 통일 신라시대이므로 원 동․서회랑 철거시점의 하한은 통일 신라시대 어느 시기라고 볼 수 있다.49)

    4.3.중건가람배치

    원동․서회랑으로 구획된 삼원의 가람구성은 오직 1단 계 남회랑과 관련이 있다. 1단계 남회랑과 연결되는 중 앙공간의 문지는 조사되었으나, 좌․우공간(院)은 발견되 지 않았는데, 이는 종․경루지를 건축하면서 파괴된 위 치에 있었던 것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원 동․서회랑으로 구획된 중앙공간의 내폭은 정확히 강당 이 전면 10칸일 때의 건물 전면 너비와 일치한다. 이를 종합해보면, 원동․서회랑으로 구획된 중심 공간에서는 중문, 목탑, 중금당, 강당이 중축선상에 배치된 가람이었 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좁은 단랑이 이들을 연결하는 통로로 활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황룡사의 중심사역이 삼원으로 형성된 것은 궁궐건축 의 형식에서 시작하였다고 할 수 있으나 불교사원으로서 오랜 기간 유지되었다는 측면에서 백제 미륵사지와 관련 지어 보는 견해가 많다. 그리고 단일원으로 합하여진 것 은 종․경루의 설치에 따른 사원 운영의 변화로부터 야 기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종․경루 설치 후 황룡사 남회 랑을 남쪽으로 옮겨짓고 복랑으로 건축되었다는 사실도 주목된다.50) 복랑의 벽체는 남북 주칸의 중앙에 설치51) 되어 중심사역 내외를 구분한 두 개의 동선이 성립되었 다는 특징이 있다.

    5.결론

    본 연구는 황룡사 가람배치 변천과정에 대한 기존연구 에서 창건가람에서만 존재하였다고 보았던 원동․서회랑 이 황룡사 중건가람배치와 관련이 깊으며 세 금당이 존 속한 시기에 사용되었고 이러한 구성체제가 통일신라시 대에도 존속하였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황룡사 발굴조 사결과를 고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황룡사 개별 건물의 변천과정과 인접한 건물간의 관계, 특히 초 석이하 기초구조부 축조를 통한 선후대 판정이 기초가 되었다. 황룡사의 중건가람배치는 종․경루가 설치되는 8세기중반까지 삼원구성체제를 갖추었다고 본다. 그리하 여 세 금당과 원동․서회랑은 동시기에 존재하였으며 단 랑인 남회랑이 중건가람배치의 시대에도 존속하였다고 보았다. 이것은 기존연구에 비해 남회랑의 변천과정이 중문과 함께 진행되나 중심사역과 관련성을 두었던 기존 가람배치의 논리에 따르지 않음으로써 남회랑과 중문의 중건은 8세기이후 황룡사의 가람배치, <Tab.3>의 3단계 이후에 진행된 것으로 보았다는 큰 차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로 아래와 같은 중건가람배치 수정 안을 제시하면서 결론에 대신하고자 한다.

    발굴조사보고서에서는 황룡사의 가람배치가 고대 불교 사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황룡사에서 만 구현된 특징적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이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삼원체제의 근거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둔 결과, 황룡사 삼원체제의 의미, 세 금당의 기능과 관계, 좁고 넓은 마당에서 일어 난 활동 등 기존 연구에서 언급한 바 있었던 많은 과제 를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앞으로 고대건축에 관한 발굴 조사와 관련 분야의 연구가 더욱 활발해져서 이러한 과 제가 더욱 선명하게 규명될 뿐만 아니라 황룡사 가람배 치에 대해서도 더욱 풍부한 논의가 있기를 기대한다.

    Figure

    JAH-23-81_F1.gif

    Excavation plan of Hwangnyongsa temple site (>황룡사유적발굴조사보고서Ⅰ?, 1984)

    JAH-23-81_F2.gif

    Layer elevation of Eastern Hall in Hwangnyongsa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앞의 보고서, 도면31 채색)

    JAH-23-81_F3.gif

    Excavation plan of Main hall and west corridor

    Table

    Records on construction of Hwangnyoungsa

    The variation of layout(김동현,1992)

    Proposed revision of layout

    Footnote

    Reference

    1.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Bureau(文化財管理局) (1984)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文化財硏究所) , 『Excavation Survey Report of the HwangnyoungsaⅠ(皇龍寺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
    2. Cho You-chon (1986) 『Study on the Hwangnyoungsa inSilla Korea』 ,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3. Shin Chang-Soo (1986) 『Chronology of Silla Roof-TilesUnearthed at Hwangyongsa Temple site』 ,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4. Kim Sung Woo (1990) 「The Development of the Patternof Three Image Halls」 ,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 Vol.6 (1 ) ;
    5. Choi Byeong Hyun (1992) 『Study on Silla tomb(新羅古墳硏究)』 , Iljisa(一志社), Vol.I;
    6. Kim Dong Hyun (1992) 『Study on ArchitecturalPlanning in Hwangnyongsa(皇龍寺の建築計劃に關する硏究)』 , Graduate School Tokyo University(東京大學大學院博士學位論文), Vol.12;
    7. (2001) 『Consideration form various angle of the Hwang-Ryoungtemple』 ,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CULTURE DONGGUK UNIVERSITY, Gyeong-ju,Korea,
    8. Yang Jeong Seok (2004) 『Construction and Royalauthority in Hwangnyongsa(皇龍寺의 造營과 王權)』 , Seogyung(서경),
    9. (2012)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ity of Gyeong-Ju , 『Forum on Reconstruction of theHwangnyongsa Te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