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598-1142(Print)
ISSN : 2383-9066(Onlin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23 No.6 pp.27-37
DOI : https://doi.org/10.7738/JAH.2014.23.6.027

A Study on Assimilation and Transplantation of Public Housing at the Tiong Bahru Estate in Singapore from the 1930s to the 1950s

Don-Son Woo*, Chung Seok Tak
Corresponding Author : woods@karts.ac.kr
August 15, 2014 December 25, 2014

Abstract

Early 20th century Singapore was faced with the problem of overcrowding. The attendant problems of a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density, namely the lack of proper housing and sanitation, resulted in the issue of an appropriate residential environment emerging as an important task in urban planning. It was necessary to construct housing estates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At that time, the British colonial government attempted to transplant modern technology into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residential complex system. However, Singapore’s climate and traditional lifestyle made it impossible to apply the British modern system in a straightforward manner, and in the process, a number of transformations emerged.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Tiong Bahru estate, one of Singapore’s representative public housing projects, from the 1930s through the 1950s, this study intends to look at the way in which such residential estates were assimilated into local surroundings, and the effect of the transplantation of British concepts of modern housing theory. Therefore, the study is divided into an examination of the estate both before and after the turning point of World War II.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war and post-war planning strategies for the Tiong Bahru estate were mad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open space.’


193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싱가포르 티옹 바루 단지에서 공공주택의 동화와 이식에 관한 연구

우 동선*, 탁 충석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과정)

초록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2R1A1A2008201

    1.서 론

    1-1.연구의 배경과 목적

    1819년에 1,000명 수준에 불과하던 싱가포르의 인구는 1860년에는 8만 명을 넘어섰고, 1901년에는 23만여 명이 되었다. 만 30년 후인 1931년에 57만여 명으로 증가하였 고, 1940년에는 무려 77만여 명에 이르렀다. 싱가포르의 급속한 인구증가는 전적으로 이민에 의한 것이었다.1)

    이러한 급격한 인구증가와 도시화는 여러 가지 도시문 제들을 불러왔다. 인구밀도의 급격한 증가는 주택부족 (<Tab.1>2))과 위생의 문제들을 초래하였다.

    예를 들어서, 1905년에는 결핵이 “어둠의 질병”이 되 어서 약 1,429명이 사망하였다고, 해협식민지 정부의 위 생국 정부의 연간보고서는 밝혔다.3) 문제 해결을 위해서 주택단지의 건설이 절실히 필요하였고, 이때 식민지 정 부는 영국의 근대적 제도와 기술을 이식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싱가포르의 기후와 전통적인 생활방식으로 인해 영국의 제도와 기술은 그대로 적용되지 못하였고, 그 과 정에서 여러 가지 변용들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목적은 193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싱가포 르에 건설된 대표적인 주택단지인 티옹 바루를 통해서, 영국에서 이입한 근대 주거이론의 개념들이 어떻게 현지 의 상황에 맞추어 동화되었는지를, 또 얼마나 그대로 이 식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가 비슷 한 시기에 식민지를 경험하면서 외래 주거문화의 이식과 동화를 거쳤던 한국의 사정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4)

    1-2.연구의 대상과 방법

    이 연구의 대상은 싱가포르의 티옹 바루 단지(Tiong Bahru Estate)이다. 싱가포르 개선신탁(Singapore Improvement Trust, SIT)은 과밀, 비-위생 등으로 생 겨난 싱가포르의 주택문제의 해결을 위해 1927년에 설립 하면서부터 1960년에 주택개발청(Housing and Development Board, HDB)의 설립과 더불어 해산할 때 까지 싱가포르의 공공주택 개발을 주도하였다.5) 티옹 바 루 단지는 SIT 초기의 대규모 개발 계획들 중의 하나로, 현재까지 그 상태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곳이다. 이 단지는 제2차 세계대전을 획기로 삼아서 전전과 전후 로 나뉘어 개발되었다. (<Fig.1>, <Tab.2>)

    이 연구에서는 시간적 범위를 1930년대부터 1950년대 까지로 잡고, 단지계획의 획기인 제2차 세계대전을 기준 으로 전전과 전후로 나누어서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려고 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지조사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도면자료들, 신문기사들과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현재 남아있는 각 단지의 배치와, 개별 주거단위의 평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지조사 는 2014년 2월과 6월에 걸쳐 두 차례 진행하였고, 현지 에서도 문헌자료의 수집에 힘을 기울였다.

    2.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의 티옹 바루 -공동 묘지에서 공공주택단지로-

    2-1.주택단지 개발 이전의 티옹 바루

    현재 티옹 바루 단지가 위치한 지역은 20세기 초까지 만 하더라도 공동묘지였다. 이 공동묘지는 인근 차이나 타운의 중국인들을 위한 것이었는데, 이 지명은 그 이전 부터 있었던 테옹 라마(Teong Lama, 오래된 묘지)에 대응하는 것이었다. 티옹 바루는 ‘새로운 묘지’라는 뜻이 다.7) (<Fig.2>)

    이곳은 대부분 묘지이거나 농경지였다가 20세기에 들 어서부터 도로변을 따라 수많은 주택들이 건설되기 시작 하였고, 오두막들이 마구잡이로 들어섰다. 당시 차이나타 운의 인구밀도는 싱가포르의 주요한 도시문제로 다뤄질 만큼 높아갔고, 차이나타운 인근에 위치한 이 지역의 상 황은 더욱 열악해졌다. 1930년의 한 신문기사는 주택단 지개발로 개발되기 몇 년 전의 티옹 바루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지독한 냄새가 나는 습지대가 잔뜩 있는데, 싱가포르 강으로 흘러들어가는 더러운 개울도 있다. 길 양편으로 세 개의 완만한 구릉이 있고 그 위에 더럽고 불결한 오 두막들이 수없이 들어차있다. 무단으로 지어진 돼지사 육장과 쿨리(Coolie)들의 집이다. 이곳으로 접근하기 위 해서는 진흙 길을 통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수도 시설만이 유일한 공공 서비스이며, 2천명이 넘는 사람 들이 최악의 불결한 환경 속에서 살고 있었다. 이런 대 혼란을 바로잡기란 불가능해 보인다.’8)

    2-2.싱가포르 종합병원의 이설

    티옹 바루를 공동묘지에서 주택단지로 변화시킨 큰 요 인들 중의 하나로는 ‘싱가포르 종합병원(Singapore General Hospital)’의 이설을 꼽을 수 있다. (<Fig.3>) 이 종합병원은 1882년에 ‘우트럼 로(Outram Road)’ 옆 의 현 위치로 이설되었다. 1873년과 1878년에 두 차례 걸쳐 싱가포르 전역을 휩쓴 콜레라의 확산이, 이설의 큰 계기였다.9) 이곳은 높고 넓은 지대에 위치하기 때문에 당시에 병원을 위한 최적의 장소라고 생각되었다.

    1905년 인근에 의과대학이 부설되었고, 이후 40여 년 간 이 지역에는 훨씬 더 많은 주택들이 들어섰다. 이곳 은 캄퐁 티옹 바루(Kampong Tiong Bahru)라고 불리며 점차 차이나타운의 배후 주거지로 자리잡아갔다.

    캄퐁 티옹 바루는 종합병원 북쪽의 낮은 지대에 위치 했는데, 1920년대까지 계속된 인구 유입과 도시기반시설 의 부재 등으로 인해 점점 더 열악한 주거지로 전락하였 다. 위생 당국은 병원주변 지역이 지나치게 비위생적으 로 변했다고 생각했고,10) 1924년에 그 지역에 대한 개선 안을 계획하라고 식민지 정부에 요청하였다. 식민지 정 부는 개선안을 세우고 그 지역의 땅을 건조시키는 작업 을 수행하였다.

    2-3.싱가포르 개선신탁의 개발

    싱가포르 개선신탁(SIT)이 캄퐁 티옹 바루의 개선계 획을 수행하였다. SIT는 1927년에 2개의 단지에 대한 개발계획을 “모델 하우징”11)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하였다. 그중의 하나가 티옹 바루 단지였는데, 이 단지는 싱가포 르에서 공공을 위한 최초의 건설 사례였다.

    개발하기 전부터, 주민들 사이에서 티옹 바루 단지에 대한 기대가 매우 컸었던 것 같다. 1926년의 신문기사12) 는 티옹 바루에서 약 69에이커의 땅에 대한 개발안이 싱 가포르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 다. 이 신문기사는 이 계획안을 통해서, ‘짓기 쉬운 평면 으로, 집에 충분한 환기를 제공하고, 적절한 도로와 오픈 스페이스가 제공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SIT는 토지를 매입하고, 무덤을 이전하고, 부지를 정 돈한 뒤인 1936년에서야 티옹 바루에 최초의 블록을 건 설할 수 있었다.

    3.전전의 티옹 바루 단지, 1936-1941

    1936년에 최초의 블록이 건설된 이래 1940년에 가장 큰 블록(마제형(馬蹄形) 블록, 현재 78번 블록)이 완공됨 으로써 전전(pre-war)의 티옹 바루 단지가 완성되었다. 1941년 현재, 이 단지에는 784개의 플랫(flat)들과 54개 의 저가 공동주택(tenement)들과 33개의 숍하우스 (shophouse)들에 6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살고 있었 다.13)

    전전의 단지는, 티옹 바루 도로 북쪽의 몇몇 블록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지금도 잘 남아있는 상태이다. 도 시 재개발공사(Urban Redevelopment Authority, URA) 는 2003년에, 전전의 단지에서 20개 블록들과 36개의 숍 하우스들을 보존대상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14) (<Fig.4>)

    3-1.시범단지 - 근대 주택단지의 이식

    티옹 바루 단지는 일종의 시범단지로서 고려되었다.

    에베네저 하워드(Ebenezer Howard)의 ‘전원도시 (Garden City)’의 개념은 싱가포르에도 영향을 미쳤고, 티옹 바루 단지에서는 ‘새로운 교외’로서 인구의 분산 운 동과 여가활동을 위한 오픈 스페이스에 대한 고려가 중 시되었다.15)

    건축가 알프레트 G. 처치(Alfred G. Church)가 1936 년에서 1941년까지 티옹 바루의 디자인을 맡았다. 그는 아르데코 운동의 후기에 발전한 “유선형 근대 (Streamline Moderne)”라는 양식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 는데,16) 티옹 바루 단지에서 모서리 등에서 곡선형을 강 조하고, 긴 수평선을 디자인 요소로 적극적으로 사용했 다.(<Fig.5>)

    SIT의 건축가들은 한편으로 “유선형 근대”나 국제주 의 양식과 같은 구미(歐美)의 동향에 깊은 영향을 받았 고, 다른 한편으로 지역의 상황에도 매우 민감해서 전통 적인 형태를 반영하여 설계하려고 노력하였다.17) 그들은 티옹 바루 단지에서 배치 계획에서는 서구의 근대 주거 이론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면서도, 개별 평면을 계획할 때에는 싱가포르에서 널리 나타나는 숍하우스의 평면을 각 단위 세대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3-2.중정형 블록 배치

    오픈 스페이스는, 과밀 등으로 인한 위생문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던 싱가포르에서 근대화의 상징인 것처 럼 사용되었다.18)

    전전의 티옹 바루 단지는, 할로우(Harlow, <Fig.6>), 스티븐에이지(Stevenage), 크로울리(Crawley)와 같은 영 국 신도시들을 모델로 삼았고, 작은 근린이 형성되도록 오픈 스페이스 주변에 블록들을 모았다.19)

    전전 단지의 배치는 <Fig.7>과 같이 소위 ‘중정형’을 취하고 있다.20) 중정형은 내부의 커다란 오픈 스페이스 를 중심으로 몇 개의 건물들이 둘러싸고 있는 형상이다. 각 블록들은 모두 길을 향해 정면을 두고 있고, 후문을 통해 나오면 좁은 뒷길(back lane)과 오픈 스페이스로 바로 연결된다. 뒷길은 대개 15-20 피트의 폭을 갖으며 쓰레기 처리와 하수시설을 위해 고려되었다.

    특히 가장 나중에 지어진 ‘마제형 블록(horse shoe block)’은 U자 형의 커다란 건물로, 가운데에 빈 공간을 두고 있다. 인접한 두 개의 블록과 함께 중정형의 배치 를 이루며, 오픈 스페이스를 공유하고 있다. 오픈 스페이 스라 불리는 이 공간은 아이들을 위한 놀이터로 계획되 었고, 현재는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이할만한 것 은 하부에 지어진 방공호이다. (<Fig.8>) 이는 싱가포르 의 공공주택에서 방공호가 건설된 첫 번째 사례인데, 영 국의 제2차 세계대전 참전으로 인하여 싱가포르에서도 본토와 같이 공습에 대비한 여러 시설들이 고려되었 다.21) 방공호는 약 1,500㎡ 면적에, 1,600여명의 사람들 이 대피할 수 있는 규모이다. 방공호는 현재도 남아있으 며, 외부인들에게 공개하지 않는다.

    전전의 단지는 대부분 3-4층의 블록들로 구성되어 있 지만, 마제형 블록은 경사지에 위치하여 일부분이 5개 층으로 되어있다.

    3-3.숍하우스의 변형

    단위 세대의 기본적인 형태는, 싱가포르에서 쉽게 찾 아 볼 수 있는 도시주거유형인 숍하우스를 따르고 있 다.22) 이 단지는 싱가포르의 열대 기후풍토에 맞게 보편 화된 숍하우스 평면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다양하게 변 형한 평면들을 계획하였다. 중정형의 배치를 만들기 위 해서 각 블록들은 크기와 형태가 달랐고, 동일 평면의 단순적층이 아니었기 때문에 개별 블록들 안에서도 모양 이 조금씩 다른 수많은 평면들이 생겨났다. 이 점은 비 용 절감이라는 측면에서 상당히 불리하였고, 4장에서 살 필 전후 단지의 평면과의 커다란 차이점이 되었다.

    단위 세대의 기본 평면은 <Fig.9>과 같다. 이를 자세 히 살피면 다음과 같다. 지상층 전면에는 ‘보행자 통로 (five-foot way)’23)를 두었고, 정면에서 진입하기 위한 계단 외에도 후면에 주방과 직접 연결된 계단을 별도로 두었다. 후면의 것은 대체로 나선형 계단을 두어 공간을 최소화했는데, 이 계단은 주방에서 나오는 쓰레기 처리 등을 위한 통로와, 화재발생 시 피난 통로의 역할을 위 해 고려된 것이었다.

    전반적으로 평면의 형태는 세장(細長)한데, 좌우가 다 른 세대와 붙어있기 때문에 창문이 전・후면에만 생길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중간 부분에 환기나 채광을 위한 작은 중정(中井, air (light) well)을 두었고, 주방은 대부분 후면에 두고 다른 실들 보다 폭을 좁게 했다. 이런 형태 때문에 주방은 외 기와 충분히 접하게 되고, 이 공간(kitchen air well)은 주방에서 나오는 열기와 냄새들이 빠져나갈 수 있는 통 로가 된다.

    마제형 블록에서는 곡선 부분에 단위세대를 넣기 위해 서 전면이 넓고 후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평면 을 볼 수 있다. (<Fig.10>) 전전 단지에는 주거를 위한 평면 외에도 지상 층에 가게들을 위한 공간을 두고 있 다. 주거를 위한 평면에서는 방들을 대부분 전면에 위치 시키고, 방 앞쪽에 발코니를 두었다. 방의 개수는 다양한 데 1개부터 5개까지가 있다. 세장한 형태로 인해 평면 내부에 복도가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화장실과 욕실은 내부 중정 혹은 후면의 오픈 스페이스에 면하도록 배치 해 환기가 잘 이루어지도록 고려했다. 거의 모든 유형의 평면에서 주방은 가장 후면에 위치하였다. 외부에서는 사생활 보호를 위해서 주방을 향한 가림 벽을 세웠다.

    3-4.지역 공동체의 형성

    SIT는 이 단지가 차이나타운의 과밀 문제를 해소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이 단지의 임대료는 일반적인 차이나타운의 임대료보다 5배 이상 높았기 때문에 공가(空家)가 더욱 많았다.

    이 단지에는 주택의 절실한 필요자들 보다는 쾌적한 주변 환경과 수세식 화장실 같은 근대적 편의시설을 누 리고 싶은, 주로 전문직 종사자들이거나 정부 관료였던, 부유한 중국인들과 이주 유럽인들이 많이 살게 되었다. 이런 계층의 주민들이 지역 공동체를 자연스럽게 이루어 나갔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티옹 바루의 공동체는 점점 강한 영향력을 갖게 되었고, 1948년에는 싱가포르 최초 의 지방 자치 시스템을 갖추었다.24) 1951년에 티옹 바루 단지 내 ‘유 친 가(Eu Chin Street)’에 커뮤니티 센터가 건립되었는데, 이곳에서는 회원들과 거주민들을 위하여 영화 상영, 주말 댄스파티 등과 같은 각종 오락 프로그 램들을 운영하였다. (<Fig.11>)

    3-5.근대 주택단지의 현지 동화

    전전의 티옹 바루 단지는 배치나 외형만을 놓고 보면 서구의 주택단지와 흡사하다. 그러나 그 내부를 살펴보 면, 전혀 다른 양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티옹 바루 단지를 건설하게 된 배경인, 차이나타운의 과밀 현상은 <Fig.12>의 1945년 지도로 그 극심한 정도 를 알 수 있다. 이 지도에서는 길을 제외하고는 모두 건 물들로 가득 차 있어, 오픈 스페이스는커녕 제대로 된 환기도 쉽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 여, 몇 개의 블록들이 오픈스페이스를 공유하는 중정형 의 배치가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는데, 이는 위생에 대한 근대적 대응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배치에서 나타난 각 블록들의 평면이다. 각 블록들은 숍하우스의 형태를 기본으로 한 평면들의 집합이라는 것이다. 숍하우스의 세장형 평면이 갖는 환기와 채광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작은 중 정을 가운데 두고 후면의 부엌 폭을 줄여서 욕실과 화장 실과 방이 모두 외기에 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법을 통해서, 숍하우스에 근대적 위생의 개념이 적용 되었다. 전전 단지는 근대적인 주거이론이 열대지역의 주거유형과 만나서 어떻게 변용(變容)・습합(習合)되었 는지를 살필 수 있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25)

    4.전후의 티옹 바루 단지, 1948-1954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 싱가포르는 다시금 심각 한 주택난에 직면하였다. SIT는 도심의 과밀을 해소하기 위한 공공주택 사업의 일환으로 1948년부터 1954년까지 50개의 블록들과 1258개 세대의 플랫(flat)들을 전전 티 옹 바루 단지의 북쪽에 건설하였다. 이 시기에 건립된 전후(post-war) 단지는 4개 층을 갖는데 전전과는 배치 와 평면, 설계 요소에서 달랐다.

    4-1.영국 도시계획의 영향

    도시계획가 패트릭 아버크롬비(Patrick Abercrombie) 는 영국문화원(British Council Center)의 주최로 열린 “도시 계획과 주택(Town Planning & Housing)” 전시 회에 참석하기 위해 1948년 11월 29일에서 12월 2일까 지 싱가포르를 방문하였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후에 ‘대 런던 계획(Greater London Plan, 1944)’으로 유명해 졌고, 그의 이 계획은 영국에서 ‘신도시 법(New Town Act, 1946)’을 제정하는데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그는 이 전시회의 개막 연설에서 도시계획에서 오픈 스페이스 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작은 놀이터 공간을 예로 들면서, ‘이런 오픈 스페이스들은 규칙적이고 짧은 간격 으로, 주변의 어린이들의 수를 고려한 규모의 크기로 설 치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26) 그의 사상은 SIT의 신 도시 계획에 영향을 미쳤다.

    전후 단지의 계획은 SIT의 선임 건축가 링컨 페이지 (Lincoln Page)와 SIT 최초의 현지인 건축가 로버트 FN 칸(Robert FN Kan)이 담당하였다.27) 이 두 건축가 들은 국제주의 양식을 선호하였다. 그들은 상자형의 건 물에 근대적이며 기능적인 외관을 보여주고자 하였고, 각 선들을 깔끔하고 단순하게 사용하였다. 그렇지만, 그 들은 완전한 상자형의 건물을 만들지는 않았는데, 전전 의 단지를 연상시키는, 외부로 돌출된 둥근 계단과 원형 의 계단실 창을 써서 전전 단지와 전후 단지의 연속성을 강조하려고 하였다. (<Fig.13>)

    4-2.판상형 배치

    전전 단지는 중정형 배치를 갖기 위해, 블록들을 몇 개씩 모아 놓은 형태를 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전후 단 지는 각 블록들을 독립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일정한 간 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한국의 판상형 아파트 배 치와 비슷해 보이지만, 한 가지 결정적인 차이점이 있다. 한국의 판상형 아파트의 배치가 대부분 남향을 향해, 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반면, 티옹 바루 단지의 블록들은, 정면은 정면끼리, 후면은 후면끼리 마주보고 놓여 있다 는 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면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사이 공간은 공공의 보행과 차량의 통행, 주차를 위한 공간이 되고, 후면끼리 마주한 공간은 거주자들의 뒷마 당으로 사용된다. 후면의 공간에는 공공의 보행을 막는 어떠한 요소도 없지만, 또한 적극적으로 통행로 등이 설 치되어 있지도 않다. 그리하여 그곳은 대부분 지상 층의 거주자들이 자신들의 뒷마당으로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소위 ‘반사적(semi-private)’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동과 동 사이는 전후로 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일정한 간격을 두어 보행자가 단지 내에서 이동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계획되었다. 한 블록의 크기가 전전의 단지와 비 교해 훨씬 작고, 각 블록이 모여 있지 않기 때문에 전체 적으로 더 여유로운 느낌을 준다.1415

    2014년 현재, 티옹 바루 도로 북쪽과 서쪽의 블록들은 대부분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 고층의 아파트 단지가 들 어서 있다.

    4-3.핵가족을 위한 평면

    전후 단지는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게 많은 양의 주거 세대를 짓기 위해 거의 같은 형태의 건물들을 반복하여 지어나갔다. 각 세대의 평면들도 전전 단지와 달리 모두 같다. 한 세대 평면은 9.1m 폭에 8.3m 깊이를 갖으며, 동일 평면이 계단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한 조(set)를 이룬다. 2개의 조 또는 3개의 조가 하나의 동을 형성하 고 있다. 지상 층의 평면과 2-4층의 평면은 다소 상이한 데, 이 차이는 지상층의 ‘보행자 통로(five-foot way)’ 때문에 생겨난다. 지상층은 보행자 통로를 갖는 반면에, 2-4층은 그 자리에 발코니를 갖는 것이다. (<Fig.16>)

    각 세대는 거실 1개, 방 2개, 주방 1개로 구성되며, 주 방을 통해 들어가는 욕실과 화장실을 각각 1개씩 갖는 다. 안쪽 방의 후면에는 전면의 것 보다 약간 작은 크기 의 발코니가 달려 있는데, 이 발코니는 주방과도 연결된 다. 특이할 점은 주방 후면에 쓰레기 배출 수직 통로가 설치되어서 1층까지 연결된다는 것이다. 내부의 천장 높 이는 3m가 조금 넘고, 방과 방 사이에도 상부에 고창을 두어서 채광과 환기를 고려하였다.

    전전 단지의 평면과 비교해 보면 전후에 그 크기가 전 체적으로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전의 보통 숍 하우스의 면적이 약 105㎡(31.76평)였던 것임에 반해서, 전후의 평면은 지상 층이 75.86㎡(22.94평)이고 2-4층이 84.82㎡(25.65평)인 것이다. 방의 개수도 2개로 줄어들었 는데, 이는 당시 싱가포르 식민지 정부가 정한 표준 가 족 수를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식 민지 정부는 1949년에 가족계획 협회(Family Planning Association, FPA)를 설치하고, 출산율 감소 정책을 펴 나갔다.28) 식민지 정부가 주도한 공공 주택의 단위 세대 평면은 핵가족을 대상으로 하여 계획되었던 것이다.

    4-4.단지 내 부속 시설들

    전전의 티옹 바루 단지에는 거주자들을 위한 학교가 별도로 계획되지는 않았다. 주변 지역의 몇몇 학교들이 새로운 단지의 학생들을 수용했었다. 전후에 단지가 더 욱 커지면서 2개의 학교들이 별도로 계획되었는데, 여기 에는 티옹 바루 지역 공동체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던 것 같다.29) 이 학교들은 각각 1953년과 1956년에 개교하 였고, 그중의 하나는 싱가포르 최초의 ‘국립 중국인 초등 학교’였다. 두 학교는 현재 모두 폐교한 상태이다.

    또 다른 특징은 단지 내에 시장의 형성이었다. 전전의 단지는 숍하우스의 형태를 취하여 지상층에 상점들이 들 어갈 수 있었기 때문에 별도의 시장을 요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전후의 단지는 모두 주거전용의 평면으로 계 획되었기 때문에, 단지 내에 시장을 위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할 수밖에 없었다. 이 시장은 전전의 단지와 전후의 단지가 만나는 ‘셍 포 로(Seng Poh Road)’에 면하여 계 획되었다. 초기에는 단층의 건물이었던 것이 2006년에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재개발되었다.30) (<Fig.17>)

    지금의 시장은 삼각형 부지에 들어선 2층 건물로, 1층 에는 정육점, 생선가게, 각종 식료품점 등과 같은 가게들 이 있고, 2층에는 각종 ‘음식 행상의 매대(hawker)’들이 들어 서있다. 건물 옥상은 주차장으로 쓰이며, 건물 중앙 에는 삼각형의 중정을 두었다. 반원형 계단실과 같은 설 계 요소들을 통해서 전후 단지의 이미지를 이어나갔다.

    4-5.오픈 스페이스의 처리와 싱가포르 공공주택 의 전형

    전후 단지의 계획에서는 오픈 스페이스에 대한 고려가 중시되었다. 이는 전전 단지의 계획에서도 마찬가지였지 만, 오픈 스페이스를 계획하는 방식은 전전과 전후가 달 랐다. 전전 단지의 배치계획이 오픈 스페이스를 먼저 두 고 주변에 블록들을 배치하여 근린을 형성하려고 노력했 던 것에 반하여, 전후 단지의 계획은 블록의 전면과 전 면, 후면과 후면을 마주보게 하는 방식으로 그 사이에 오픈 스페이스를 형성하였고, 이를 통해서 근린이 형성 되기를 꾀하였던 것이다.

    전후의 티옹 바루 단지는 싱가포르 공공주택에서 하나 의 전형으로 자리잡았고, SIT는 이와 유사한 단지계획을 이어나갔다. (<Fig.18>)

    5.결론

    이상에서, 싱가포르 공공주택 사업의 이른 시기 사례 이며 일종의 전형이라고도 볼 수 있는 티옹 바루 단지 를, 제2차 세계대전을 획기로 전전과 전후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전 단지의 배치는 서구 도시의 중정형을 취하고 있 었다. 배치는 몇 개의 블록들이 군을 이루어 내부에 하 나의 오픈 스페이스를 공유하고 있었다. 외관의 디자인 이나 배치만을 보면, 서구의 단지계획의 단순 이식인 것 으로 보이지만, 각 블록들의 개별 평면은 현지 주거유형 의 영향을 깊게 받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이 평면들 은 싱가포르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숍하우스를 기본 으로 하고, 세부적인 변형을 갖는다. 또 이 평면들은 환 기와 채광에 중점을 두어서 각 실들이 외기에 조금이라 도 면할 수 있도록 위생을 고려하고 있었다.

    전후의 단지는 각 블록들을 일률적으로 배치하되, 전 면과 전면, 후면과 후면이 마주보게 하였다. 개별 주거단 위의 평면은 표준화되었고 단순해졌다. 비교적 정방형에 가까운 평면이 좌우로 반복되고 상하로 적층되어 하나의 블록을 이루었다. 그 배경에는 비용 절감의 필요성과 핵 가족 지향의 인구정책 등이 작용하고 있을 것이다. 이후 SIT의 작업은 전후의 티옹 바루 단지를 일종의 전형으 로 놓고 진행되었다.

    양자를 통해서 같은 오픈 스페이스 개념을 두고서도 계획하는 방식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후속 연구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서구에서 생겨난 근대 주거의 개념이 열대 식민지라는 현실에서 어떻게 변용・습합되었는지를 살펴 보려고 한 것이었다. 이렇게 변용・습합의 과정을 거쳐 서 생겨난 티옹 바루 단지는 현지민이 애정을 갖고 보존 하려는 대상이 되었고31), 싱가포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소로 거듭나고 있다.32)

    이 연구는 제한된 자료와 조사기간으로 인하여 일정한 한계를 갖는다. 그렇지만 이 연구는 한・일간의 비교연 구만으로 한국 근대주거의 정체성을 규명하려는 일정한 연구동향에 대해서 다른 관점을 제시하려고 하였다는 점 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싱가포르 현지에 서 티옹 바루 단지에 대하여 자세히 살피는 일과 식민지 경험을 갖는 여타 지역에서 유사한 사례를 비교하여 살 피는 일을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Figure

    JAH-23-27_F1.gif

    Site plan for Tiong Bahru estate

    JAH-23-27_F2.gif

    Tiong Bahru and Tiong Lama

    JAH-23-27_F3.gif

    Singapore General Hospital on 1900’s map

    JAH-23-27_F4.gif

    URA’s conservation area of Tiong Bahru estate

    JAH-23-27_F5.gif

    Exterior of the pre-war block

    JAH-23-27_F6.gif

    New town plan of Harlow

    JAH-23-27_F7.gif

    Site plan of the pre-war estate

    JAH-23-27_F8.gif

    Air raid shelter under the horse-shoe block

    JAH-23-27_F9.gif

    Unit plans based on shophouses and a building section

    JAH-23-27_F10.gif

    various adjustments of unit plan

    JAH-23-27_F11.gif

    Tiong Bahru community center (above: 1951, below: 2014)

    JAH-23-27_F12.gif

    Tiong Bahru estate and chinatown in 1945

    JAH-23-27_F13.gif

    Exterior of the post-war block

    JAH-23-27_F14.gif

    The spaces between front and front (left), and back and back (right)

    JAH-23-27_F15.gif

    Site plan of the post-war estate

    JAH-23-27_F16.gif

    Unit plans of the post-war block (left: ground floor, right: upper floor)

    JAH-23-27_F17.gif

    The second floor plan of Tiong Bahru market (left) and staircase at the courtyard (right)

    JAH-23-27_F18.gif

    Queenstown princess estate, 1952-1964

    Table

    Population and building density in early Singapore

    Comparisons between the pre-war and post-war estates in Tiong Bahru

    Footnote

    Reference

    1. The Straits Times, 15 June 1926, 24 November 1927, 26 June 1930, 11 August 1948,
    2. SIT, The Work of the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27-1947 , SIT, The Work of the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27-1947, Singapore: SIT, 1948,
    3. (1960)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48-1959) , Singapore; SIT,
    4. William SW Lim (1975) Options for Public Housing in Singapore Some Policy Implications , Singapore; DP Architects,
    5. Ann E Wee (1987) “Family and Social Policy in Singapore” , Akademika,
    6. Norman Edwards (1990) The Singapore House and Residential Life 1819-1939, Oxford University Press,
    7. Sohn Sei-Kwan (1993) A History of Urban Housing , Seoul; Youlhwadang,
    8. (1995) URA, Chinatown, Historic District , Singapore; URA,
    9. Chen Voon Fee (1998) The Encyclopedia of Malaysia 5, Architecture , Singapore; Editions Didier Millet Pte Ltd,
    10. Robert Powell (2001) Singapore Architecture , Singapore; Periplus,
    11. Gregory Clancey (2003) Asia Research Institute Working Paper Series No8, Toward a Spatial History of Emergency: Notes from Singapore , Singapor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12. Johannes Widodo (2003) “Modernism in Singapore” , DOCOMOMO,
    13. Brenda S A (2003) Yeoh, Contesting Space in Colonial Singapore: Power Relations and the Urban Built Environment , Singapore; Singapore University Press,
    14. Yu In Sun Yang Seung-Yoon (2004) “A History of Singapore” , Singapore, Seoul, HUFS Press,
    15. Belinda Yuen (2005) “Squatter No More: Singapore Social Housing” , The Third Urban Research Symposium: Land Development, Urban Policy and Poverty Reduction, Brazilia,
    16. Julian Davison (2010) Singapore Shophouse , Singapore, Talisman Publishing Pte Ltd,
    17. Mah Bow Tan (2011) Reflections on Housing a Nation, Singapore , Ministry of National Development,
    18. Lily Kong (2011) Conserving The Past, Creating The Future , Urban Heritage in Singapore , Singapore; URA,
    19. Eunice Seng (2011) “Politics of Greening: Spatial Construction of the Public in Singapore” , Architecture & Modernities, Singapore; World Scientific,
    20. Mark R Frost , Yu-Me Balasingamchow (2012) Balasingamchow, Singapore, a Biography, Singapore; Editions , Didier Millet Pte Ltd,
    21. Peter Lee , Jennifer Chen (2012) The Straits Chinese House, Domestic Life and Traditions, Singapore; , Editions Didier Miller Millet Pte Ltd,
    22. Iain Manley (2012) Tales of Old Singapore , Hong Kong Earnshaw Books Ltd,
    23. Kevin YL Tan (2013) Tiong Bahru Heritage Trail , Singapore; National Heritage Board,
    24. (2013) Urban Sketchers Singapore, We Love Tiong Bahru , Singapore Epigram Books,
    25. Iwasaki Ikuo (2013) Singaporu no rekishi , Tokyo; Chuko bunko,
    26. Tan Kok Yang (2013) From the Blue Windows , Singapore; NUS Press,
    27. Fig.1, Fig.2, Fig.7, Fig.11 (above), Fig.15 ; Kevin YL Tan, Tiong Bahru Heritage Trail , Singapore; National Heritage Board, 2013, p.5, p.4, p.5 (Redrawn by Authors), p.29, p.5 (Redrawn by Authors),
    28. Fig.3, Fig.12 ; http://www.themaphouse.com,
    29. Fig.4 ; http://www.ura.gov.sg,
    30. Fig.5, Fig.13, Fig.14, Fig.17 ; Author’s Photo,
    31. Fig.6, Fig.18 ; http://www.google.com,
    32. Fig.8 ; http://www.nhb.gov.sg,
    33. Fig.9 ; Authors’ drawing ,
    34. Fig.10 ; http://www.tiongbahru.sg, (Redrawn by Authors),
    35. Fig.16 ; Authors’ Drawing,
    36. Tab.1 Belinda Yuen, “Squatter No More: Singapore Social Housing”, The Third Urban Research Symposium: Land Development, Urban Policy and Poverty Reduction, Brazilia; April 2005, p.6,
    37. Tab.2 Authors’ collection from following materials; Kevin YL Tan, Tiong Bahru Heritage Trail , Singapore; National Heritage Board, 2013, SIT, The Work of the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27-1947, Singapore: SIT, 1948, SIT, Annual Report: Singapore Improvement Trust (1948-1959) , Singapore; SIT,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