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598-1142(Print)
ISSN : 2383-9066(Onlin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23 No.6 pp.7-20
DOI : https://doi.org/10.7738/JAH.2014.23.6.007

A Study on the Architecture and Extension Project for the Church of St. Lorenzo

Seok-Man Kim*
Corresponding Author : kimseokman@kumoh.ac.kr
July 31, 2014 September 12, 2014 December 20, 2014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architecture and extension project for the Church of St. Lorenzo. This study is composed of a through analysis of the extension elements on the church building and extension type for extension project of the Church of St. Lorenzo.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he extension project for the Church of St. Lorenzo was basically consisted of the concept of a horizontal extension plan through both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 of the church building. This project was the plan of concept of additional or affixing extension through existing spaces with necessary spaces to make up for the previous simple space and form as well as functional aspect.

The unit spaces of the nave, the aisle, the small chapels bilaterally adorning the aisles, the transept and the chapels around transepts, and the sacristies by the extension project for the Church of St. Lorenzo is composed of regulation, balance and harmony as geometric space composition according to simple proportion system on whole and parts as well as parts and parts, through the definite articulation by each space zoning.

The most important innovative aspect different to previous churches in the extension project for the Church of St. Lorenzo is the compositive system of each other symmetrical spaces through long centrical axis of central part, applying the module system for horizontal arrangement. In particular, the use of regular module on repetition and proportion of rhythm from architectural composition system was precisely composed with the alter that consists of visual focus to express more accurate perspective.


성 로렌조 교회의 건축과 증축계획에 관한 연구

김 석만*
(금오공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초록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1.서론

    1-1.연구배경 및 목적

    성 로렌조 교회는 이태리 플로렌스에서 역사적인 중심 지역인 성 로렌조 광장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시와 종교 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교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교회는 르네상스 시대 건축의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건 축이지만, 역사적으로는 아주 복잡한 건축과정을 가지고 있는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성 로렌조 교회의 모 습은 1419년에 메디치 가문의 의뢰를 받아 브루넬레스키 F. Brunelleschi(1377-1446)에 의해 기존의 로마네스크 시대의 교회를 교회의 증축을 위한 계획으로부터 시작되 었다. 이러한 브루넬레스키의 계획은 교회 내부공간과 구 성구실 Old Sacristy의 증축을 중심으로 그의 교회 건축계획에 대한 의도와 르네상스 시대의 교회건축을 잘 나타낸 최초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그 이후에 미켈란 젤로 B. Michelangelo(1475-1564)에 의해 신 성구실 New Sacristy과 라우렌지안 Laurenzian도서관에 대한 증축이 계획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 이후 17세기에는 니제티 M. Nigetti(1570-1648)에 의해 메디치 가문의 무 덤을 위한 메디치 채플 Medici Chapel이 증축되었다.

    위와 같이, 성 로렌조 교회의 건축역사는 오랫동안 매 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처음에는 초기 그리스도 시대의 교회로서 축조되었지만, 지금의 교회는 로마네스크 시대에 개축된 교회 건물을 중심으로 교회의 내부공간뿐만 아니라, 주변에 다양한 기능을 위한 증축 개념의 확장공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성 로렌조 교회의 건축에 대한 부분은 이미 연구가 되어 있 지만, 교회의 증축계획의 과정과 관련된 체계적이면서 종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성 로렌조 교회의 건축과 증축계획에 관한 연구를 통해, 르네상스 시대의 건축에 대한 이해와 함께, 기존 교회의 건물을 중심으로 내부와 외부의 증축된 여러 가지의 시설들이 어떠한 관계로부터 계획되었으며, 그리고 어떠한 건축 및 증축계획의 특성 이 있는 지를 연구하기 위함이다.

    1-2.연구범위 및 방법

    일반적으로 건물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후화되기도 하고, 새로운 시대에 요구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변경, 교체와 증축 등의 계획이 필 요하게 된다. 이러한 계획들 가운데 증축에 대해 살펴보 면, 증축을 필요로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기존 건물 에서 수용하여야 할 새로운 기능에 대한 요구이며, 대부 분의 건물 증축은 수직적인 증축보다는 수평적인 증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증축계획은 기본적으로 기존 건물과 부지의 상태, 기존 건물의 조건들에 대한 분석, 새롭게 요구되는 기능, 새롭게 요구된 기능과 기존의 건 물과의 상호 관계 등에 대한 검토를 하여야 한다.

    성 로렌조 교회는 초기 그리스도 시대의 교회로서 축 조되었지만, 이후에 로마네스크 시대에 개축된 교회 건 물을 중심으로 르네상스 시대부터 증축계획이 브루넬레 스키와 미켈란젤로뿐만 아니라, 이외에 많은 건축가들과 함께, 이후에 17세기까지 연속하여 작업이 이루어져 완 성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범위는 로마네스크 시대의 성 로렌조 교회를 중심으로 르네상스 시대와 그 이후에 이미 지어져 있는 건물에 덧붙여 더 늘리기 위해 계획된 증축부분에 대한 계획을 중심으로 한정한다.

    연구의 방법은 첫 번째로 성 로렌조 교회의 일반적인 고찰을 통해 교회의 전반적인 특성을 살펴본다. 두 번째 는 성 로렌조 교회의 증축계획 이전의 계획에 대한 고찰 을 통해 평면계획을 유추한다. 세 번째는 유추된 증축계 획 이전의 평면계획을 중심으로 성 로렌조 교회의 증축 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의 확장계 획을 교회의 내부부분과 외부부분의 증축으로 각각 구분 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기존 교회 건물과 새로운 증축부 분에 대한 여러 가지의 시설들이 어떠한 관계로부터 계 획이 이루어졌으며, 또한 건축 및 증축계획의 특성에 대 해서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는 연구와 분석된 내용을 중심으로 결론을 도출한다.

    2.성 로렌조 교회의 일반적인 고찰

    성 로렌조 교회는 플로렌스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 된 교회이면서 주교가 관장하는 교구 내에서 가장 중심 적인 교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회의 역 사는 처음에는 로마 시대에 로렌조 성인이 258년에 발레 리안 Valerian(재위기간 255-259) 황제에 의해 순교되었 는데, 그 이후 393년에 성인의 순교를 기억하기 위해 밀 라노 주교인 성 암브로시오 S. Ambrosio(340-397)에 의 해 축성되었다. 성 로렌조 교회의 원래 모습은 남아있지 는 않지만, 여러 번 개축되어진 이후에 로마네스크 시대 인 1059년에 다시 축성되었다.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에 성 로렌조 교회는 도시의 중심지역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메디치 궁전과 가까운 거리에 인접하여 있으면서 메디치 가문의 교구를 위한 교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 다.1) <Fig.1>

    성 로렌조 교회에 대한 증축계획은 처음에는 교회의 수도원장이었던 돌피니 M. Dolfini로부터 시작되었는데, 1418년 12월에 이전 교회의 좌․우 익부부분인 수랑과 후진부분의 증축을 위해 요구되는 부지 확보가 필요하였 기 때문에, 수랑 주변의 많은 주택에 대한 철거뿐만 아 니라, 도로 및 작은 광장의 해체를 플로렌스 공화국의 통치자에게 승인을 받았었다.2) 실제적인 교회의 증축계 획은 돌피니 수도원장에 의해 1421년 8월에 공사의 시작 을 축성하기 위한 종교적인 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당시에 플로렌스에서 부유한 은행가이었던 메디치 가문 의 조반니 디 아베라르도 Giovanni di Averardo(1360-1429)는 재정적인 후원자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구 성구실 계획은 이미 1419년부 터 브루넬레스키에 의한 계획이 진행 중에 있었으며, 교 회의 전체적인 증축을 위한 브루넬레스키의 계획은 전반 적으로 1421년 수도원장인 돌피니의 죽음 이후에 시작되 었다. 그러나 교회의 증축계획은 1425년에 공사를 위한 재원의 부족으로 인해 아주 느리게 진행되었다가, 마침 내 1429년에는 원래 계획의 수정과 보완 및 공사를 위한 재원의 부족으로 공사가 거의 중단된 상태로 지속되었 다.3)

    교회의 증축계획은 1442년에 조반니 데 메디치의 아들 인 코시모 데 메디치 Cosimo de' Medici(1389-1464)의 재정적인 책임에 의해 다시 시작되었으며, 중단된 공사 는 부분적으로 해소되면서 1470년까지 지속적으로 브루 넬레스키의 계획안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1446년 브루넬레스키의 죽음 이후에, 공사감독 은 성 로렌조 교회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메디치 궁전 에서 작업을 하고 있었던 미켈로쪼 Michelozzo di Bartolomeo(1396-1472)와 협조자인 마네티 A. Manetti(1404-1460)에 의해 1450년까지 계속하여 진행 되었다.4) 1450년 이후에는 마네티가 공사감독의 역할을 하였으며, 1460년에는 주랑과 수랑이 교차하는 부분에 교회의 중심공간인 제단과 제단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의 수랑의 확장과 그러한 수랑 주변의 채플들 뿐만 아니 라, 제단 상부의 둥근 천장계획을 중심으로 증축공사가 완성되었다.5) 따라서 제단은 제단을 중심으로 수랑의 확 장계획에 의한 수평적인 전개와 제단 상부의 둥근 천장 계획에 의한 수직적인 상승으로서 새로운 공간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1460년 이후에는 주랑 양측의 기둥 들의 교체계획에 대한 작업이 시작되었으며, 기존 교회 의 내부공간의 부분적인 구조물들이 해체되기 시작하면 서 교회의 내부공간에서 가장 중요한 주랑과 측랑의 개 축 및 측랑 양 측면의 채플에 대한 공사는 1470년경에 완성되었다.6)

    한편, 제단이 완성된 이후인 1464년에 코시모 데 메디 치가 죽게 되었으며, 그의 시신은 네 개의 사각기둥을 중심으로 난간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중앙 제단 아래에 위치되어 있는 지하 무덤에 묻히게 되었다. 위와 같은 증축계획 이외에도, 미켈란젤로에 의해 신 성구실과 라 우렌지안 도서관에 대한 증축을 위한 계획이 있었으며, 니제티 M. Nigetti(1604-1648)에 의해 메디치 가문의 무 덤을 위한 메디치 채플이 교회의 후진 외부부분에 증축 계획이 이루어졌다.7)

    현재 교회 내부는 중앙부분에 주랑과 양 측면의 측랑 과 함께 벽체를 따라 구성된 작은 채플, 그리고 주랑과 교차하면서 채플로 둘러싸여 있는 수랑과 반원형 형태의 후진에 의해 라틴 십자가 형태의 평면계획으로 구성되어 있다.<Fig.2, 12> 교회 내부의 바닥마감을 위한 디자인 은 주랑과 측랑부분에는 기본적인 주랑의 기둥과 기둥사 이의 구획에 의해 기둥을 중심으로 두 개의 가는 회색의 대리석 띠가 서로 교차하면서 같은 크기의 정사각형 형 태로서 반복적인 기하학적인 패턴으로 계획되었다.8) <Fig.3> 이러한 구성체계는 수직방향의 주랑의 원기둥 들과 측랑의 벽기둥들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평면계획을 중심으로 수직적인 구조체계가 서로 일치하여 계획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주랑 바닥의 중앙부분에는 내부공간의 주축과 대칭적인 구성을 강조하기 위한 굵고 긴 대리석 띠의 형 태는 제단방향으로의 시각적인 초점과 공간 속을 지나는 통로와 같이 동선을 유도하고 있다.<Fig.4> 따라서 교회 내부에 중앙부분의 출입문에 서서 주랑 바닥의 굵고 긴 대리석 띠를 중심으로 제단방향을 보면, 바닥의 반복적 인 기하학적인 패턴의 정사각형 형태와 규칙적으로 계획 되어 배치된 기둥과 기둥에 의해 형성된 반원형의 아치 와 아치 상부의 코니스 및 천장의 모든 선들이 원근법에 의해 제단방향으로의 시각적인 축선을 통해 시선의 집중 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있다.<Fig.5> 특히, 주랑부분의 천장은 우물격자 형태의 장식에 의해 넓고 평평한 판넬 로서 마감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마감을 위한 정사각형 형태의 기하학적인 패턴과 서로 같은 유형의 통일성을 나타내고 있다.

    교회의 정면계획은 미완성된 상태로 남아 있었는데, 1518년 메디치 가문의 출신인 레오 10세 교황 주문에 의 해 쥴리아노 다 산갈로 Giuliano da Sangallo(1445-1516), 라파엘로 S. Raffaello(1483-1520), 미켈란젤로와 같은 당시에 유명한 예술가들이 현상설계 에 참가하였었다.9)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켈란젤로의 작 품이 당선되었지만, 정면계획은 당시에 재료공급 및 구 축기술과 재정적인 측면의 문제로 인해 실현되지 못하였 으며, 지금까지도 어떠한 정면계획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벽돌마감으로 남아 있다. 현재 정면모습은 내부공간 의 평면을 중심으로 중앙의 높은 부분에는 주랑, 양 측 면의 보다 낮은 부분에는 측랑과 양 측면 끝의 가장 낮 은 부분에는 작은 채플에 의해 높이가 위계적으로 결정 되어 단순하고 간결하게 구성되었다.<Fig.6>

    3.성 로렌조 교회의 증축계획 이전의 계획에 대한 고찰

    성 로렌조 교회의 증축계획에 대한 분석은 가장 먼저 브루넬레스키의 계획 이전인 로마네스크 시대 교회의 기 본적인 공간인 주랑, 측랑과 수랑 및 제단을 중심으로 어떻게 계획되어 있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계획을 유추하기 위해 첫 번째는 교회의 증축 계획을 위해 가장 먼저 실행되었던 이전 교회의 좌․우 익부부분인 수랑과 후진부분의 증축계획을 위해 요구되 는 부지확보를 위한 계획을 참고하였다.10) 두 번째는 성 로렌조 교회가 위치한 플로렌스을 중심으로 비슷한 시기 에 계획된 교회들의 사례에 대한 참고와 세 번째는 15세 기 중반에 그려진 그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브루넬레스 키의 계획 이전의 평면과 입면계획에 대한 구성을 대략 적으로 유추할 수 있다.11)<Fig.7-8> 그러한 유추된 평 면과 입면을 통해 브루넬레스키 계획과 그 이후에 많은 건축가들에 의해 완성된 현재 전체적인 교회의 평면계획 과 교회의 모습을 비교하여 증축계획 이전의 평면계획을 도출하려고 한다.

    산 미니아토 알 몬테 교회는 플로렌스에서 힐데브란트 Hildebrand 주교에 의해 첫 번째 순교자인 미니아토 성 인을 위해 1018년에 시작되어 1063년에 완성되었다. 평 면계획은 교차형 볼트 천장으로 계획된 주랑과 양 측면 의 측랑에 의한 바실리카 형태의 평면으로서 수랑부분이 없는 단순한 사각형 형태와 반원형 형태의 후진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12)<Fig.7> 위와 같은 계획에서 긴 장축 에 의해 구성된 교회의 중심공간인 주랑은 같은 길이의 모듈로서 규칙적으로 배치된 기둥들에 의해 구성되었다. 그리고 주랑과 측랑을 포함한 단변의 길이와 긴 장축에 의해 구성된 주랑의 중심축의 길이는 1:2와 주랑과 측랑 의 폭은 2:1의 비례체계로 정확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후 진은 주랑의 폭과 일치하면서 반원형 형태로서 이루어졌 다. 산 미니아토 알 몬테 교회의 평면계획은 초기 그리 스도교회 시대와 로마네스크 시대 건축을 거처 초기 르 네상스 시대에 브루넬레스키의 교회건축으로 이어지는 발전과정의 한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13)

    다음에는 <Fig.8>의 그림을 통해 브루넬레스키와 그 이후에 많은 건축가들의 증축계획에 의해 완성된 현재 교회의 전체적인 평면도 <Fig.2, 13>와 <Fig.8>과 거의 같은 방향에서 보여지고 있는 현재 교회의 모습<Fig.9> 을 중심으로 서로 비교하면서 자세히 분석하여 보면, 다 음과 같은 사항으로 정리할 수 있다.

    <Fig.8>을 중심으로 평면과 입면계획에 대해 분석하 여 보면, 먼저 평면계획으로서 첫 번째는 교회의 후면 좌측방향에는 브루넬레스키 계획에 의해 완성된 구 성구 실 상부부분의 둥근 지붕의 모습이 보이고 있으며, 두 번째로 우측에는 수랑 상부부분에 두 개의 채플 중에 하 나의 채플이 구성되어 있다. 세 번째는 측랑 우측부분에 측랑과 연계하여 외부방향으로 증축된 작은 채플들은 아 직도 완성되어 있지 않았으며, 네 번째는 우측부분에 수 랑과 측랑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 부분에는 사각형 형태 의 채플이 계획되어 있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회 내부 에 주랑과 측랑이 교차하는 부분에 지붕뿐만 아니라, 수 랑의 우측부분의 신 성구실과 상부부분도 증축이 완성된 계획처럼 아직도 구성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입면계획으로서 첫 번째는 기본적으로 주랑 과 측랑을 중심으로 교회 건물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주 랑부분은 좌․우 측랑보다 높게 하면서 정면에는 원형 형태의 창과 측면에는 현재 교회와 같이 일곱 개의 작은 창으로 계획되어 있었으며, 지붕의 형태도 현재 교회와 같이 삼각형 형태의 박공지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두 번째로 정면부분은 전면이 돌출된 모두 일곱 개의 반원 형 형태 아치로서 구성된 회랑 현관에 의해 입구가 계획 되어 있는데,14) 좌․우 측면의 끝부분에는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같은 크기의 다섯 개 반원형 형태의 아치보다 작은 크기의 아치로서 구성되어 있었다. 세 번째로 측랑 부분은 중앙부분에 부출입구가 구성되어 있으며, 그러한 부출입구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각각 두 개의 창 들이 계획되었다. 마지막으로 현재 교회와 다르게 교회 후면에 구성된 높은 탑이 철거되었다.

    결과적으로, 첫 번째는 증축계획 이전에 교회의 좌․ 우 익부부분인 수랑과 후진부분의 증축계획을 위해 요구 되는 부지확보를 위한 계획, 두 번째는 성 로렌조 교회 가 로마네스크 시대에 축성된 당시인 11세기에 플로렌스 에서 거의 비슷한 시기에 계획된 세 개의 교회 건축물들 에 대한 분석된 내용,15) 세 번째는 <Fig.8>을 통해 나 타난 교회의 모습에 대해 분석된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 토하여 <Fig.10>과 같은 평면계획을 도출되었다.

    <Fig.10>과 같은 성 로렌조 교회의 증축계획 이전의 평면계획은 주랑과 양 측면의 측랑에 의한 바실리카 형 태의 평면으로서 수랑부분이 없는 단순한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긴 장축에 의해 구성된 교회의 중심공간 인 주랑은 같은 길이의 모듈로서 규칙적으로 배치된 기 둥들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이러한 주랑의 폭과 기둥을 중심으로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2:1의 비례체계로서 정 확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랑은 주랑의 폭에 1/2 길이만큼 계획되어 있으며, 기둥을 중심으로 가로와 세 로의 길이가 1:1의 비례체계로서 주랑의 양 측면에 서로 대칭으로 계획되었다. 중앙부분은 높은 주랑과 좌․우에 는 측랑이 낮게 구성되었으며, 수랑은 좌․우의 길이가 주랑과 측랑의 폭만큼 구성되었고, 주랑과 수랑이 교차 하는 부분의 후면에는 후진이 주랑의 폭과 일치하면서 반원형 형태로서 단순하고 간결하게 이루어졌다.16)

    4.성 로렌조 교회의 증축계획에 대한 분석

    4-1교회의 평면계획

    브루넬레스키의 증축계획은 처음에 <Fig.10>을 중심 으로 계획이 시작되었는데, 조반니 디 아베라르도의 요 구에 의해 구 성구실 계획이 첫 번째로 시작되었으며, 두 번째는 수랑의 증축계획과 그 주변의 채플, 세 번째 는 측랑의 개축, 네 번째는 측랑의 양 측면에 각각 여섯 개씩의 작은 채플과 외부의 중정계획을 순서로 진행되었 다.17) 그러므로 구 성구실 계획과 신 성구실 계획 및 외 부의 중정계획을 제외한, 수랑과 그 주변에 채플의 증축, 측랑 천장부분의 개축, 측랑의 좌․우 양 측면에 각각 여섯 개씩의 작은 채플을 위한 교회 내부공간을 중심으 로 외부방향으로 확장하는 개념의 증축계획은 다음과 같 다.<Fig.2-1>, <Fig.13-1>

    브루넬레스키는 수랑 주변의 채플들에 대한 계획 이전 에, 먼저 수랑을 양 측면 방향으로 측랑의 폭만큼 기존 의 기능을 확장하는 개념으로 증축하였으며, 이러한 계 획은 1421년-1429년사이에 시작되어 1460년 마네티에 의해 완성되었다.18) 다음에는 구 성구실 계획과 함께, 수 랑 주변의 채플계획과 이전의 반원형 형태의 후진을 주 랑의 폭과 일치한 정사각형 형태의 후진으로 계획하였다. 그리고 주랑과 수랑이 교차하는 부분에 교회의 중심공간 인 제단과 제단 상부에는 둥근 천장이 계획되었다. 제단 을 중심으로 계획된 수랑 주변의 채플들은 현재의 교회 에서 수랑을 주변으로 양 측면부분의 세 개의 면에 각각 다섯 개의 채플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모두 열 개가 구성되었다.19) 위와 같은 채플들은 측랑의 단위적인 정 사각형 형태의 공간 폭과 일치하면서 측랑과 같은 돔형 의 둥근 형태로 이루어진 천장구조로서 계획되었다.

    수랑 양 측면의 상부 모서리부분에 배치된 채플들은 구 성구실과 신 성구실의 출입구를 고려하면서 배치되었 다. 결과적으로 위와 같은 채플들의 증축계획은 측랑의 크기와 형태와 같은 반복적인 모듈러의 확장 개념으로 수랑의 좌․우 부분뿐만 아니라, 상부와 하부부분에 서 로 대칭으로 구성되어 수랑을 완전히 둘러싸여 배치되었 다. 이와 같은 증축은 수랑을 둘러쌈으로 인해 원래 수 랑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도 있지만, 이러한 둘러쌈에 의 한 유형의 증축은 공간과 형태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도 통일시키면서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기능의 채플공간 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브루넬레스키에 의해 수랑에 구 성된 채플의 증축계획은 플로렌스에서 르네상스 시대 이 전인 1246년에 계획된 산타 마리아 노벨라 S. M. Novella교회와 1294년에 계획된 산타 크로체 S. Croce 교회와 같은 평면계획에 대한 수랑과 수랑 주변에 채플 들의 계획을 성 로렌조 교회에서의 증축계획을 통해 재 생시키는 개념에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20)<Fig.11>

    주랑과 측랑은 코린트 주두양식으로 장식된 원형 형태 의 기둥에 의해 반원형 형태의 연속된 아치로서 구분되 어 있다. 주랑부분의 천장은 우물격자 형태의 장식에 의 해 넓고 평평한 판넬로서 마감되었으며, 그러한 주랑을 중심으로 양 측면의 측랑에 대한 개축은 1434년에 이전 의 측랑에 구성되어 있었던 교차형 볼트 천장을 새로운 구조적인 형태로서 계획되었다.21) 이러한 계획은 주랑 폭에 1/2길이만큼의 정사각형 형태의 평면계획으로서 상 부부분에는 돔형의 둥근 형태로서 이루어진 천장구조로 서 구성되었다. 위와 같이 측랑에서 정사각형 형태의 평 면을 구성하는 기둥들 사이의 간격은 10브라치아 braccia만큼의 길이로서 브루넬레스키에 의해 1419년에 계획된 오스페달레 델리 이노첸티 Ospedale degli Innocenti에 정면 회랑의 정사각형 형태 평면크기와 동 일할 뿐만 아니라, 돔형의 둥근 형태로 이루어진 천장구 조도 서로 일치하고 있다.22) 한편, 교회 양 측면에 계획 된 측랑은 오스페달레 델리 이노첸티의 정면에 구성된 회랑의 대칭적인 전개와 같이 계획되었는데, 이와 같은 구성체계와 요소는 르네상스 시대에 교회건축에서 성 로 렌조 교회 내부에 처음으로 적용된 사례가 되었다.

    다음에는 1442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1470년경에 완성 된 측랑의 양 측면을 중심으로 증축에 의해 계획된 각각 여섯 개씩의 작은 채플은 이미 계획된 수랑 주변에 둘러 싸여 있는 채플과 같은 연속적인 개념으로서 측랑의 양 측면에 서로 대칭으로 계획되었다.23) 이와 같은 측랑의 양 측면의 증축은 기존의 측랑 가로방향의 기둥을 중심 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구조체가 외부방향 으로 반복적인 측랑의 모듈러의 확장하는 개념의 증축으 로 계획되었다.

    이러한 채플은 반원형 형태의 아치를 중심으로 코린트 주두양식의 줄무늬로 장식된 사각 벽기둥에 의해 구분되 어 구성되었다.24) 위와 같은 채플은 수랑 주변의 채플보 다 크기는 작고, 높이는 낮게 계획하면서, 가로의 길이는 측랑의 1/2에 해당되는 크기와 세로의 길이는 측랑과 같 은 폭으로 연속적으로 계획되었기 때문에, 가로의 길이 는 주랑의 폭에 1/4과 측랑의 1/2길이 만큼인 1:4와 1:2 의 비례체계의 평면계획으로서 구성되어 있다.25) 한편, 측랑 양 측면의 작은 채플은 이전의 바실리카 유형의 평 면계획에서 뿐만 아니라, 산타 마리아 노벨라 교회와 산 타 크로체 교회와 같은 평면계획에서 찾아볼 수 없는 새 로운 개념에서의 측랑과 연계된 공간계획이었으며, 이후 에 성 스피리토 교회에서도 측랑의 양 측면에 같은 개념 에서의 채플이 계획되었다.

    결과적으로 성 로렌조 교회는 이전 교회에서의 초기 그리스도 교회와 같은 바실리카 평면형태에서 교회 내부 에서 외부방향으로 확장하여 증축되어진 이후에는 라틴 형 십자가의 평면형태로 변형되었다.26) 한편, 르네상스 시대에 인본주의 측면에서 프란체스코 디 조르조 마르티 니 Francesco di Giorgio Martini(1439-1502)가 교회의 평면과 인간의 모습을 비교하면서 그린 그림에서와 같 이,<Fig.12> 성 로렌조 교회의 평면형태는 서 있는 인간 의 모습과 유사하면서 교회의 기본적인 주랑과 수랑 및 후진의 공간구성을 중심으로 라틴형 십자가 형태의 교회 의 구성체계를 이루고 있다.27)<Fig.13>

    4-2.구 성구실 계획

    구 성구실의 계획은 1419년 조반니 데 메디치에 요구 에 의해 브루넬레스키로부터 시작되었지만, 1421년에 착 공되어 1428년에 완성되었다. 이러한 계획의 가장 중요 한 목적은 첫 번째로 세례자 요한에게 봉헌하기 위함이 었으며, 두 번째로는 메디치 가문의 통치자이었던 피에 트로 데 메디치 Pietro de' Medici(1416-1469)와 조반니 데 메디치 Giovanni de' Medici(1421-1463)를 위한 무 덤을 계획하기 위함이었다.28)

    구 성구실의 증축을 위한 배치계획은 수랑의 좌측 상 부부분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수랑에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채플과 서로 면하고 있으면서, 교회 건물을 중심으 로 부가하는 개념으로부터 측랑의 규모와 형태가 같은 반복적인 모듈러의 확장에 의해 구성되었다. 이러한 계 획은 수랑과 그 주변에 증축계획된 채플과 함께, 구 성 구실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교회 내부에서 수랑을 통한 접근성을 고려하여 구 성구실 우측 하부 모서리부분의 출입구로부터 연결되어 구성되었다.29)<Fig.2-2>,<Fig.13-2>

    위와 같은 계획은 르네상스 시대 1400년 초에 대표적 인 작품이 되었으며, 그러한 평면계획은 중심공간과 부 속공간으로 구분되어 제단을 중심으로 가로방향의 대칭 축에 의해 중앙 중심형 평면의 교회형태로서 원형과 사 각형 형태에 의한 단순한 기하학적인 구성체계로서 이루 어졌다.30) 구 성구실은 중심공간과 부속공간의 크기와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면서, 중심공간은 교회 주랑과 같 은 폭의 길이의 정사각형 형태와 좌측의 부속공간은 가 로길이가 3:4:3의 비례체계로서 분할되어 중앙부분에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단과 양 측면에는 작은 부속실들이 계획되었다.31)

    중심공간은 상부와 중간부 및 하부부분으로서 정확하 게 구분된 높이에 의해 각각 1:1:1의 비례체계로서 구성 되어 있다.<Fig.14> 하부와 중간부 부분은 기본적인 정 사각형의 평면을 중심으로 정육면체의 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러한 하부부분의 벽면은 엔터브레이처를 중심 으로 코린트 양식의 주두에 의한 사각형의 줄무늬 벽기 둥에 의해 장식이 배제된 간결한 공간을 위해 구성되었 다. 그리고 중간 부분에는 반원형의 둥근 천장을 지지하 기 위한 펜던티브가 각각의 벽면에 구성되었고,32) 상부 부분에는 중간부분에 네 개의 펜던티브에 의해 지지된 열두 개의 아치형 서까래로부터 나누어진 장식에 의해 반원형의 둥근 천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러한 장식 은 수직적으로 보다 상승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도로서 계획되었다.

    한편, 구 성구실의 구성체계는 고대 로마 시대에 건축 인 로마에 있는 판테온과 유사하게 이루어졌다. 판테온 은 상부와 하부구조로서 구분된 1:1의 비례체계에 의해 구성되었는데, 구 성구실의 하부구조는 정사각형 형태의 평면계획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반원형의 둥근 천장으로 계획되어 높이에 의한 2:1의 비례체계에 의해 기하학적 으로 구성되었다.

    4-3.중정계획

    1434년경 브루넬레스키 계획에 의해 증축된 중정은 그 의 죽음 이후에, 그의 제자인 마네티에 의해 1457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어 1460년에 완성되었다.33) 중정이 계획된 부지는 중정 좌측에 이미 계획되어 있었던 교회에서 필 요한 주거시설과 수도사를 위한 여러 가지의 시설들과 함께 결정되었다.

    따라서 중정의 배치계획은 교회 건물을 중심으로 자연 스럽게 외부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교회 건물의 좌측 외 벽과 직접 면하면서, 이미 계획된 교회와 수도원에서 필 요한 기존 시설이 포함된 장방형 형태로서 증축되었다. 이와 같은 중정의 증축계획은 교회 건물을 중심으로 외 부방향으로 확장하는 개념의 계획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교회와 접근성을 고려하여 교회 내부와 외부의 출입구로 부터 연결되어 있다.<Fig.2-4>

    이러한 계획은 가로와 세로의 비례체계가 약 2:1인 사 각형 형태를 중앙부분에 회랑을 통해 두 개로 구분되어 있다. 우측부분의 중정은 정사각형 형태의 정원이 계획 되었으며, 좌측부분의 중정은 중앙부분에 회랑을 중심으 로 좌측면에 수도사를 위한 주거시설이 계획되었고, 중 정 좌측에 회랑과 면하고 있는 외곽부분에는 수도생활을 위한 지원시설이 계획되었다.34) 그리고 중정에서의 회랑 구조는 2층 규모로 계획되어 있는데, 1층은 반원형 형태 의 아치와 2층은 처마도리에 의해 구성되었다.<Fig.15>

    한편, 중정의 회랑은 중정의 통로역할도 하지만, 교회 와 라루렌지안 도서관과 기능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연결 시키고 있는데, 우측 상부방향의 모서리부분에는 교회의 좌측 측랑과 연계되는 출입구와 우측 상부방향에는 라루 렌지안 도서관의 전실과 연계되는 출입구가 구성되어 있 다. 그리고 교회 좌측면에 중정과 면하고 있는 부분에는 외부로부터 중정 내부로 직접 진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계획되어 있다.

    4-4.신 성구실계획

    신 성구실 증축계획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메디치 가 문의 로렌조 Lorenzo Ⅱ(1492-1519)와 그의 조카인 쥴 리아노 Giuliano(1479-1516)을 위한 무덤을 계획하기 위 함이었다. 신 성구실은 미켈란젤로의 최초의 건축작품으 로서 1519년 레오 Leo Ⅹ 교황(재위기간 1513-1521)에 의해 계획이 시작되었는데, 그의 건축과 조각 및 장식이 조화롭게 이루어진 계획으로서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 인 작품이 되었다. 미켈란젤로는 1524년 건축부분 공사 가 완성된 이후에 1534년 공사가 완전하게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마로 떠나게 되었으며, 이후에 바사리 G. Vasari(1511-1574)와 암만나티 B. Ammannati(1511-1592)에 의해 1555년에 완성되었다.36) 신 성구실의 증축계획은 브루넬레스키가 계획한 수랑 의 좌측 상부에 배치된 구 성구실과 서로 대칭으로 수랑 의 우측 상부부분의 모서리에 배치되었다. 이러한 성구 실은 두 개의 채플과 서로 면하고 있으면서 교회 건물을 중심으로 부가하는 개념으로부터 측랑의 규모와 형태가 같은 반복적인 모듈러의 확장에 의해 구성되었다. 특히, 위와 같은 증축계획은 이미 계획된 구 성구실과 같이, 신 성구실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교회 내부에서 수랑을 통한 접근성을 고려하여 신 성구실 좌측 하부 모서리부 분의 출입구로부터 연결되어 구성되었다.<Fig.2-3>, <Fig.13-3>

    실제로 미켈란젤로의 신 성구실의 증축계획을 위한 기 본적인 개념은 브루넬레스키가 계획한 구 성구실의 배치 계획뿐만 아니라, 평면계획을 중심으로 계획되었다. 그러 나 신 성구실의 평면계획은 구 성구실과 같이 구성되었 지만, 내부공간은 구 성구실보다 높게 하면서 다양한 구 조와 장식에 의해 화려하게 구성되었다. 중심공간은 상 부와 중간부 및 하부부분으로서 정확하게 구분된 높이에 의해 각각 1:1:2의 비례체계로서 구성되어 있 다.<Fig.16> 하부부분은 기본적인 정사각형의 평면을 중 심으로 정육면체의 공간이 구성되어 두 개의 층으로 구 분하면서 계획되어 있는데, 그러한 아랫 부분의 벽면은 이중의 엔터브레이처을 중심으로 두 개씩 세워진 사각형 의 줄무늬 벽기둥에 의한 분절을 통해 벽감 및 메디치 가문의 로렌조와 쥴리아노의 무덤과 조상이 화려하게 장 식되어 있다. 그리고 에틱 attic층과도 같은 윗 부분에는 작은 줄무늬 벽기둥에 의해 분절되어 중앙 부분에는 반 원형의 아치와 양 측면에는 벽감이 장식되어 있다.37) 중 간 부분에는 반원형의 둥근 천장을 지지하기 위한 펜던 티브가 구성되어 있고, 상부 부분에는 중간 부분에 네 개의 펜던티브에 의해 지지된 반원형의 둥근 천장에는 로마에 있는 판테온과 같은 정사각형 형태의 격자무늬 장식과 중앙 부분에는 원형 형태의 개구부가 구성되었 다.38)

    4-5.라루렌지안 도서관

    라루렌지안 도서관은 1519년에 메디치 가문의 출신인 클레멘테 Clemente Ⅶ(재위기간 1523-1534) 교황이 되 는 쥴리오 데이 메디치 Giulio dei Medici 추기경에 의 해 미켈란젤로에게 위탁하여 메디치 가문이 소유하고 있 는 서적과 휘귀본을 보관하기 위해 계획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는 1534년까지 참여하였다가 중단하였으며, 이 후에 미켈란젤로의 계획안을 중심으로 바사리와 암만나 티에 의해 1559년에 완성하였다.39) 실제로 이러한 도서 관은 기능적으로 교회와 완전하게 분리된 독립적인 계획 이 될 수도 있었지만, 교회 건물을 중심으로 외부방향으 로 확장하는 개념의 증축계획으로서 기본적으로 교회 좌 측부분의 벽체와 이미 계획된 중정의 상부부분을 중심으 로 길게 배치되었다. 위와 같은 도서관의 증축계획은 교 회 건물을 외부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중정과 서로 인접하 여 있으며, 교회 내부와 외부의 출입구로부터 접근성을 고려하면서 교회와 연결되어 있다.<Fig.2-5>

    도서관의 배치계획에서 도서관의 가로 길이는 중정의 상부부분과 면하면서 수랑 좌측에 구성된 채플의 외부벽 체에서 중정의 좌측 벽체부분까지 결정되었으며, 세로의 길이는 수랑 좌측에 채플의 외부벽체와 면하면서 측랑과 측랑 측면에 작은 채플의 폭과 일치하여 이루어졌다. 그 리고 전실 우측부분에 계획된 도서관의 출입구는 교회 내부에서는 좌측 상부모서리에 배치된 출입구와 교회 외 부에서는 중정 우측부분에 배치된 출입구로부터 중정 우 측부분의 회랑을 통해 접근하여 진입할 수 있게 계획되 었다.

    평면계획은 전체적으로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약 5:1의 비례체계로서 전실과 열람실로서 구성되었는데, 정 사각형의 형태의 작은 전실은 수직적인 상승과 긴 장방 형 형태의 열람실은 수평적인 전개의 공간적인 개념에서 계획되었다. 열람실 바닥보다 낮게 계획된 전실은 벽면 에 삽입된 원형과 사각형 형태의 벽기둥, 코니스, 벽감과 소용돌이 등의 장식 및 창문 등으로 구성되었다.40) 한편, 계단은 세 부분으로 구분된 동적이면서 조형적인 형태로 서 계획되었으며, 그러한 계단을 통해 열람실로 직접 진 입할 수 있는데, 열람실은 중앙부분의 통로를 중심으로 양 측면에는 개가식의 서가가 배치되어 있다.<Fig.17>

    4-6.메디치 가문의 채플

    메디치 가문의 채플에 대한 증축계획은 이미 증축된 구 성구실과 신 성구실 이후에 세 번째의 성구실이라고 할 수 있는 메디치 가문의 대공들의 무덤을 위한 비교적 규모가 큰 건물이다. 처음에는 1568년 조반니 데 메디치 에 기본적인 계획과 부온탈렌티(B. Buontalenti 1531-1608)계획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1604년 훼르디난 도 Ferdinand Ⅰ에 의해 다시 시작되어 1640년에 니제 티로부터 완성되었다.41) 이러한 계획은 교회 건물을 중 심으로 부가하는 개념의 증축으로서 산 로렌조 교회 바 로 뒤에 후진과 직접적으로 면하면서 배치되었으며, 채 플으로의 진입은 교회와는 완전하게 구분되어 교회 외부 에서 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Fig.2-6>

    위와 같은 채플의 지하 납골소에는 메디치 가문의 사 람들이 안치되어 있고, 지하층의 상부부분에는 내부가 팔각형 형태의 평면계획에 의한 거대한 공간이 구성되었 다. 이러한 내부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팔각형 형태의 한 변의 길이는 모듈러의 확장에 의한 증축개념으로서 교회 주랑의 폭과 일치하고,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가로 축의 외부길이는 수랑의 전체 길이와 서로 일치하고 있다. 내 부에는 메디치 가문의 대공들을 위해 기념비적으로 시체 가 없는 무덤들이 화려한 대리석으로 계획되었고, 상부 에는 팔각형 형태의 평면을 중심으로 여덟 개의 아치형 서까래에 의해 둥근 천장으로 계획되었다.42) 특히, 메디 치 가문의 채플계획을 위한 특성은 교회의 주축인 주랑 과 같은 축 방향에 배치되면서 후진에 직접적으로 면하 여 완전하게 분리되어 계획되어 있지만, 후진과 함께 축 에 방향으로 확장되어 후진과 동일한 기능을 부여하는 공간과도 같이 계획되었다.1

    6.결론

    본 연구는 성 로렌조 교회의 건축과 증축계획에 관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가. 성 로렌조 교회의 증축계획에 대한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나. 성 로렌조 교회의 증축계획에 대한 교회의 건물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다. 성 로렌조 교회에 대한 증축계획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성 로렌조 교회의 증축계획을 위한 가장 중요한 이 유는 기존 교회로부터 교회의 기능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내부에는 수랑부분, 후진, 크고 작은 채플과 성구실 들, 외부에는 수도원의 중정과 도서관의 증축을 통하여 종교와 문화의 복합적인 기능을 새롭게 수용하기 위한 계획이었다.

    2. 성 로렌조 교회의 증축계획은 기본적으로 교회 건 물의 주랑과 측랑의 기본적인 모듈을 중심으로 수평적인 확장계획의 개념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계획은 이전의 단순한 공간과 형태 및 기능적인 측면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들을 기존 교회의 공간들을 통해 부가적인 확장과 첨부하는 개념의 계획이었다.

    3. 성 로렌조 교회을 위한 브루넬레스키의 증축계획은 플로렌스에 있는 고딕 시대의 교회인 산타 크로체 교회, 산타 마리아 노벨라 교회와 같은 평면계획뿐만 아니라, 로마 시대의 판테온과 엔타브레이쳐, 코니스, 아치, 삼각 형 형태의 박공 등과 같은 고대 건축의 구성체계와 요소 를 통해, 르네상스 시대의 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고대 건축의 재생이라는 개념으로부터 이루어졌다.

    4. 성 로렌조 교회의 증축계획에 의한 주랑, 측랑과 측랑 양 측의 작은 채플, 수랑과 수랑 주변의 채플 및 성구실의 단위적인 공간들은 각각의 공간구획에 의한 명 확한 분절을 통해 전체와 부분 및 부분과 부분을 중심으 로 단순한 비례체계에 의한 기하학적인 공간구성을 통해 규칙과 균형 및 조화를 이루면서 계획되었다.

    5. 성 로렌조 교회의 증축계획에서 이전의 교회들과 다른 가장 중요한 혁신적인 측면은 수평적인 배열을 위 해 모듈체계를 응용하면서 중앙부분에 긴 중심축을 통한 서로 대칭적인 공간들의 구성체계이다. 특히, 건축적인 구성체계에서의 리듬의 반복과 비례에 의한 규칙적인 모 듈의 이용은 보다 정확한 원근법을 나타나게 하기 위해 시각적인 촛점이 되는 제단을 중심으로 명확하게 구성되 었다.

    Figure

    JAH-23-7_F1.gif

    View around and attached buildings with the Church of St. Lorenzo

    JAH-23-7_F2.gif

    Present general site and floor plan of the Church of St. Lorenzo

    1. 교회의 본당, 2. 구 성구실, 3. 신 성구실, 4. 중정, 5. 라우렌지안 도서관 6. 메디치 채플

    JAH-23-7_F3.gif

    Inside view of the Church of St. Lorenzo-1

    JAH-23-7_F4.gif

    Inside view of the Church of St. Lorenzo-2

    JAH-23-7_F5.gif

    Inside view of the Church of St. Lorenzo church analysed by perspective

    JAH-23-7_F6.gif

    Present front view of the Church of St. Lorenzo

    JAH-23-7_F7.gif

    Floor plan of the St. Miniato al Monte church

    JAH-23-7_F8.gif

    View of the Church of St. Lorenzo in the mid 15th century

    JAH-23-7_F9.gif

    Present view of the Church of St. Lorenzo

    JAH-23-7_F10.gif

    Predictive floor plan prior to extension project of the Church of St. Lorenzo

    JAH-23-7_F13.gif

    Floor plan extended on the interior space of the Church of St. Lorenzo

    JAH-23-7_F11.gif

    Floor plan of the St. M. Novella church and the St. Croce church

    JAH-23-7_F12.gif

    Figure of church and human drawn by Francesco di Giorgio Martini

    JAH-23-7_F14.gif

    Section plan of the Old Sacristy

    JAH-23-7_F15.gif

    View of the Courtyard35)

    JAH-23-7_F16.gif

    Section plan of the New Sacristy

    JAH-23-7_F17.gif

    Partial section and floor plan of vestibule with reading room of the Laurenzian Library

    Table

    Year of plan/completion, Planning architect by Parts of extension project for the Church of St. Lorenzo

    Footnote

    Reference

    1. Burckhardt J (1987) The Architecture of The Italian Renaissance(1867) , Penguin books,
    2. James S Ackerman (1968) L'architettura di Michelangelo , Einaudi,
    3. Benevolo L (1968) Storia dell'architettura del Rinascimento , Laterza, Vol.I;
    4. Heydenreich L H , Lotz W (1974) Architecture in Italy 1400 to 1600 , Penguin Books,
    5. AA VV (1978) Lineamenti di Storia dell'Architettura , Carucci,
    6. Kubach H E (1978) Architettura Romanica , Electa,
    7. Grodecki L (1978) Architettura Gotica , Electa,
    8. Murray P (1978) Architettura del Rinascimento , Electa,
    9. Bartoloni R (1979) Florence , Becocci,
    10. Fanelli G (1980) Brunelleschi , Becocci,
    11. Risebero B (1980) Il racconto dell'architettura occidentale , Sansoni,
    12. Adolf K Placzek (1982) Macmillan Encyclopedia of Architects , The Free Press,
    13. Battisti E (1989) Filippo Brunelleshi , Electa,
    14. Argan G C (1982) Storia dell'arte italiana , Sansoni, Vol.I-II;
    15. Fletcher B (1987) A History of Architecture, 9th ed , Butterworths,
    16. Argan G.C , Contardi B (1990) Michelangelo architetto , Electa,
    17. Pavsner N , Fleming J , Honour H (1992) Dizionario di Architettura , Einaudi,
    18. (2014) www.wikipedia.org, Basilica of San Lorenzo,Florence,